Survey of Bedrock Quality and Suitable Site for Crushed Stones using GIS in the Wondeung Area

GIS를 이용한 원등일대의 기반암품질과 골재개발적지 분석

  • 이진영 (한국지질자원연구원 지질환경재해연구부) ;
  • 양동윤 (한국지질자원연구원 지질환경재해연구부) ;
  • 김주용 (한국지질자원연구원 지질환경재해연구부) ;
  • 홍세선 (한국지질자원연구원 지질환경재해연구부) ;
  • 윤현수 (한국지질자원연구원 지질환경재해연구부)
  • Published : 2005.12.30

Abstract

Investigation of bedrock quality and the legal restriction for developing the aggregate resources were carried out with GIS in the Wondeung area Gokseong-gun, Jeollanam-do province. Firstly, we surveyed the exposed bedrocks in the field and examined in physical properties in the lab. Secondly we analyzed the legal restriction by using GIS based on bufferzone and viewshed analysis. At the results of this study, the area can be used totally as the crushed stones. However the suitability sites of crushed stone have various regulations. So the legal restriction is the principal standard to develop the crushed stone in the Wondeung area. Suitable site for crushed stones are about 30% in the Wondeung area.

전라남도 곡성군 남부에 위치한 원등지역에서 기반암의 품질을 검토하고 지리정보시스템(GIS)을 이용하여 개발난이도를 분석하였다. 기반암의 품질을 알기 위하여 야외조사를 수행하였고, 실내에서 물성을 분석하였다. 또한 GIS를 이용한 개발난이도 분석에서 가시권분석과 거리분석을 통해 법적개발제한지역을 분석하였다. 원등일대 연구지역의 기반암 품질과 개발난이도를 분석한 결과, 모두 개발이 가능한 품질을 가지고 있으며, 개발제한사항에 해당되는 정도에 따라 개발난이도가 구분되었다. 또한 개발 난이도가 가장 낮은 조사지역의 약 30 % 지역이 개발 가능한 것으로 나타났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