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ingle-subject research design

검색결과 152건 처리시간 0.025초

기억력 향상을 위한 작업치료 중재 연구 분석: 국내 단일대상연구 중심으로 (Analysis of Occupational Therapy Intervention Research for Improving Memory: Focus on Single-Subject Research Design in Korean Academic Journals)

  • 정유진;최유임
    • 재활치료과학
    • /
    • 제10권4호
    • /
    • pp.39-52
    • /
    • 2021
  • 목적 : 본 연구의 목적은 기억력 장애를 가진 성인 환자를 대상으로 기억력 향상을 위한 작업치료 중재를 수행한 단일대상연구의 특성을 확인하고 질적 수준을 알아보는 것이다. 연구방법 : 본 연구는 2011년부터 2020년까지 기억력 향상 작업치료 중재 연구 중 단일대상연구 설계를 적용한 총 6편의 논문을 분석한 문헌연구로, 연구내용에 대한 일반적 특성 및 연구방법의 질적 수준을 분석하였다. 결과 : 분석대상의 질적 수준은 66.7%(4편)가 중간 수준이었고 33.3%(2편)는 높은 수준이었으며, 낮은 수준의 연구는 없었다. 단일대상연구 설계 유형은 모두 반전설계로 ABA가 가장 많았다. 대상자는 뇌졸중, 치매, 경도인지장애 환자였으며, 대상자 수는 1~3명이었다. 독립변수는 오차배제훈련, 어플리케이션 활용 중재, 전산화인지훈련, 시간차회상훈련이었다. 종속변수는 공통변수인 기억력과 함께 집중력, 뇌파변화, 수단적 일상생활활동 및 우울이었다. 중재시간은 30~40분, 중재회기는 6~15회기였으며, 총 연구기간은 3~8주로 다양하였다. 중재 결과 모든 연구에서 중재 후 종속변수가 향상된 것으로 보고되었다. 결론 : 기억력훈련에 대한 단일대상연구 적용 작업치료 중재 연구들은 모두 중간 이상의 질적 수준을 보여 임상에서 적용 시 근거기반자료로 의의가 있으며, 기억력 향상에 효과적인 연구들이라는 것을 확인하였다.

자폐스펙트럼장애 아동의 문제행동에 대한 긍정적 행동지원 중재 연구의 체계적 고찰: 단일대상연구 설계를 중심으로 (A Systemic Review of Positive Behavior Support Intervention Studies on Problem Behaviors of Children With Autism Spectrum Disorders: Focusing on Korean Single-Subject Research Design)

  • 유영미;최유임
    • 재활치료과학
    • /
    • 제10권4호
    • /
    • pp.7-24
    • /
    • 2021
  • 목적 : 본 연구는 자폐스펙트럼장애 아동의 문제행동 개선을 위한 긍정적 행동지원 중재 연구 중 단일대상연구 설계를 적용한 문헌의 특성을 살펴보고 질적 수준을 알아보는 것이다. 연구방법 : 본 연구는 문헌연구로써, 분석 대상은 2011년부터 2020년까지 국내에서 게재된 9편의 단일대상연구 논문이었고, 대상 논문을 연구방법의 내용에 따라 일반적 특성과 질적 수준으로 나누어 분석하였다. 결과 : 대상 논문을 분석한 결과, 연구 대상은 취학 전 아동과 초등학령기 아동이 동일한 비율로 나타났고, 연구 설계는 중다 기초선 설계 중 행동 간 중다기초선 설계 연구가 가장 많았다. 모든 논문에서 사회적 타당도, 중재 충실도, 관찰자 신뢰도를 제시하고 있었고, 문제행동은 자해 및 공격행동, 방해행동, 자리이탈행동, 음식 거부 및 구강자극 행동 순으로 나타났으며, 종속변인은 부분 간격 기록법으로 측정한 연구가 가장 많았다. 중재 효과 확인 결과, 중재, 유지는 중재 결과가 효과적이었으나, 일반화의 결과와 효과를 제시한 연구는 제한적이었다. 분석 논문의 질적 수준은 모든 연구에서 높은 질적 수준을 보이고 있었다. 결론 : 본 연구를 통해 자폐스펙트럼장애 아동의 문제행동을 위한 긍정적 행동지원 중재 연구 중 단일대상연구 설계를 적용한 논문의 내용과 질적 수준을 확인하고 긍정적 행동지원 중재가 자폐스펙트럼장애아동의 근거기반 중재를 위한 효과적인 중재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뇌성마비 아동을 위한 작업치료 중재에 대한 체계적 고찰: 국내 단일대상연구를 중심으로 (A Systematic Review of Occupational Therapy Interventions for Children With Cerebral Palsy: Focus on Single-Subject Research Design)

  • 신채은;최유임
    • 재활치료과학
    • /
    • 제12권2호
    • /
    • pp.25-42
    • /
    • 2023
  • 목적 : 본 연구에서는 뇌성마비 아동을 대상으로 작업치료 중재를 시행한 국내 단일대상연구들의 연구 특성을 종합적으로 분석하고 방법론적 질적 수준을 확인하여 근거 기반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 본 연구는 2022년 5월 20일부터 29일까지 Research Information Sharing Service (RISS), National Digital Science Library (NDSL), Koreanstudies Information Service System (KISS), E-article에 게재된 문헌들을 대상으로 하였다. 검색어는'뇌성마비' AND '단일대상연구' OR '개별대상연구'였다. 11편의 논문을 최종 선택하여 일반적 특성과 방법론적 질적 수준을 분석하였다. 결과 : 11편의 분석 논문에서 방법론적 질적 수준은 중간 수준인 연구가 가장 많았다. 대상자는 학령전기 아동과 경직성 편마비 아동이 가장 많았고, 실험설계는 단일대상연구 설계에서 중재 제거 설계가 가장 많았으며 그 중에서 ABA 설계가 가장 많았다. 중재의 종류는 보조기기, 강제유도치료, 신경발달치료 접근, 감각통합치료가 각각 2편이었고, 상지운동훈련, 상호작용 메트로놈, 인지 기반 작업수행이 각각 1편이었다. 측정 도구는 최소 2개에서 최대 4개를 사용하여 종속변인을 측정하였고, 자세조절능력, 보행 및 균형, 손기능, 상지기능 등에서 긍정적인 효과 및 유의한 향상이 나타났다. 결론 : 본 연구는 작업치료 중재를 적용한 뇌성마비 대상자의 특성과 중재 회기 및 시간, 중재효과, 측정도구와 방법론적 질적 수준을 제시함으로써 뇌성마비를 대상으로 작업치료 중재를 적용할 때 도움이 될 것으로 확인된다.

초등학교 지적장애 학생의 수업 참여도 중재 연구에 관한 체계적 고찰 : 국내 단일대상연구 설계 중심으로 (A Systematic Study on the Intervention Study of Intellectual Disability Students in Elementary Schools : Focusing on the Design of Single-Subject Research in Korea)

  • 황인비;최유임
    • 대한감각통합치료학회지
    • /
    • 제19권3호
    • /
    • pp.44-60
    • /
    • 2021
  • 목적 : 이 연구는 초등 지적장애 학생의 수업 참여도 중재에 대한 단일대상연구의 특성을 확인하는 것이다. 연구방법 : 총 5편의 논문을 선정하여 일반적 특성과 단일대상연구의 질적 수준을 알아보았다. 결과 : 연구 대상자는 12명이었으며, 중재는 모두 교실에서 진행되었다. 연구 설계는 모두 중다 간헐 기초선 설계를 사용하였다. 독립변인은 긍정적 행동지원, 장점강화활동, 자기결정교수학습모델, 자기점검법 등이었고, 종속변인은 수업참여 행동만을 측정(4편)하거나 수업참여 행동과 수업방해 행동을 함께 측정(1편)하였다. 분석 논문의 질적 수준은 모두 높은 수준으로 확인되었다. 결론 : 초등 지적장애 학생의 수업 참여도 중재 연구들은 효과적인 중재를 제공하고 질적 수준이 높아 근거 기반중재로 유용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경피신경자극치료와 경직억제기술이 뇌성마비의 경직에 미치는 효과 (Effects of TENS and Inhibitive Techniques on Spasticity in Cerebral Palsy: A Single-Subject Study)

  • 김원호
    • 한국전문물리치료학회지
    • /
    • 제4권1호
    • /
    • pp.70-77
    • /
    • 1997
  • An A-B-A-C single subject research design was used to assess the effectiveness of transcutaneous electrical nerve stimulation(TENS) and inhibitive techniques on spasticity in a 10-year-old girl with cerebral palsy. Stimulation electrodes were placed over the sural nerve of the right leg. The standard method of cutaneous stimulation, TENS with impulse frequency of 100 Hz, was applied. Inhibitive techniques including stretch, antagonist contraction, and weight bearing were used. The tonus of the leg muscle was measured by means of a surface-EMG biofeedback unit. Visual analysis of data indicate that the child showed clinically significant reduction of spasticity in passive ankle movement following 30 minutes of TENS and inhibitive techniques application, respectively. The effect of TENS on spasticity inhibition was similar to that of inhibitive techniques. This result suggests that for this child with cerebral palsy, the application of TENS to the sural nerve may induce short-term post-stimulation inhibitory effects on the spasticity of cerebral palsy. Replication of this study with a more complex single-subject design involving more subjects is recommended to confirm this result.

  • PDF

감각통합치료효과에 대한 단일대상연구의 특성과 질적 수준에 대한 고찰 (Study on the Characteristics and Quality Level of Single Subject Researches in the Sensory Integration Therapy Field of Korean Occupational Therapy)

  • 곽성원;심제명;노효련
    • 대한감각통합치료학회지
    • /
    • 제12권2호
    • /
    • pp.25-36
    • /
    • 2014
  • 목적 : 본 연구는 감각통합치료효과에 대한 단일대상연구의 특성을 파악하고 질적 수준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 대한작업치료학회, 국가과학기술정보센터(NDSL), 누리미디어(DBpia), 학술연구정보서비스(RISS), 한국학술정보(KISS), 국회도서관의 원문제공 서비스를 이용하여 2002년부터 2013년 까지 발간된 논문 중 '감각통합', '단일대상연구', '응용행동분석'을 주요검색용어를 사용하여 검색하였다. 17편의 단일대상연구 논문을 선별하여 연구방법과 연구 설계의 질적 수준을 분석하였다. 결과 : 연구 설계 방법으로는 반전설계가 가장 많았으며, 총 회기와 연구기간, 중재시간은 다양하였고 중재 장소는 작업치료실과 감각통합실에서 이루어졌다. 대상자는 지적장애가 가장 많았다. 질적 수준은 모든 연구들이 중간수준이상으로 나타났다. 결론 : 단일대상연구의 질적 수준은 어느 정도 보장되고 있었으나 연구방법에 대한 논의와 보완이 필요한 것으로 보인다.

지적장애 아동의 균형과 호흡 기능 향상을 위한 감각통합치료: 개별 실험 연구 (The Improvement of the Balance and Breath Abilities for Mental Retardation by Sensory Integrative Intervention: Single Subject Research)

  • 김경미;홍은경
    • 대한감각통합치료학회지
    • /
    • 제9권1호
    • /
    • pp.33-44
    • /
    • 2011
  • 목적 : 감각통합치료는 개별아동에 맞는 감각의 기회를 제공하고, 적절한 도전의 과제를 제공하여 적응반응을 이끌어 내는 아동 중심의 접근법이다. 본 연구는 지적장애 아동에게 적합한 감각통합치료를 적용하여 아동의 균형과 호흡능력의 변화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 연구 대상은 만 5세 3개월의 남아로 지적장애 진단을 받았다. 실험기간은 2009년 5월 25일부터 2009년 8월 13일까지이었다. 실험설계는 개별실험연구(single-subject research design) 중 AB 설계를 사용하였고, 기초선 A(감각통합치료) 3회기와 중재 B(감각통합치료, 감각식이) 21회기이었다. 실험기간 동안 아동의 문제점인 균형과 호흡의 변화를 측정하였다. 결과 : 첫째, 감각통합치료는 아동의 호흡능력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둘째, 감각통합치료는 아동의 균형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었다. 결론 : 작업치료사는 지적장애아동의 균형과 호흡능력을 향상시키기 위해 감각통합치료를 지속적으로 적용, 확대하는 것이 필요하다.

  • PDF

뇌졸중(腦卒中) 후(後) 수부부종(手部浮腫)에 대한 주관법(走罐法)의 효과(效果) (Effect of Moving Cupping Therapy on the Post-stroke Hand Edema;Single Subject Design)

  • 이로민;이상훈;남상수;김용석
    • Journal of Acupuncture Research
    • /
    • 제25권3호
    • /
    • pp.1-17
    • /
    • 2008
  • Objectives : This study was designed to evaluate the effect of moving cupping therapy on the edema of paretic hand in stroke patients. Methods : The subjects were stroke patients with flaccid hemiplegia. Each subject's routine therapy program was maintained throughout single subject ABAB design. During the first week, baseline data were gathered. During the second and fourth week, intervention was provided(total 20minutes of moving cupping therapy, from contralateral to ipsilateral, distal to proximal). During third and fifth week, data were gathered with treatment withdrawn. Edema was measured with hand volumeter and measuring tape. Basically Bayesian analysis was performed using WinBUGS(ver. 1.4), for addition, visual graph and mean score were also presented for comparison between treatment(moving cupping therapy) and non-treatment. Results : The visual graph and mean score showed decrease in edema during the treatment weeks. Overall decrease in edema by moving cupping therapy was verified significantly by using Bayesian ana-lysis(95% credibility intervals). Conclusions : This study suggests that moving cupping therapy could be applicable for reducing post-stroke hand edema. Further research would be needed to establish guidelines for use.

  • PDF

Wind design spectra for generalisation

  • Martinez-Vazquez, P
    • Wind and Structures
    • /
    • 제30권2호
    • /
    • pp.155-163
    • /
    • 2020
  • Previous research has shown that wind acceleration components produce a signal that can vibrate single-degree of-freedom oscillators, whose dynamic responses enable to configure design spectra for structures subject to wind. These wind design spectra present an alternative method for evaluating the dynamic response of structures and are a suitable tool for running modal analyses. Here, a generalised method for producing wind design spectra is proposed. The method consists of scaling existing spectra to adjust to a wider range of building properties and terrain conditions. The modelling technique is tested on a benchmark building to prove that its results are consistent with experimental evidence reported in the past.

淸州市 開新洞 單獨 住宅地의 住居環境 改善에 관한 硏究 (A Study on Housing Environmental Design for Detached House in Cheung-Ju)

  • 김낙춘;조중근
    • 한국주거학회논문집
    • /
    • 제10권1호
    • /
    • pp.1-9
    • /
    • 1999
  • The subject of this study is housing environmental design of single family housing in urban, which intends to study the way of enhancing the quality of our housing environment through comparative research and analysis in Cheong-ju & Tama. The elements of the environmental design were reviewed for forming of street, open space and park, housing utilities, and environmental facilities. The results are as follows: 1. The plans require informally related influential factor. 2. To make street in housing area as not traffic facilities but a space residents life. 3. In order to improve housing environment, We have to design the elements efficiently for comfort of life.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