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ingle step adhesive

검색결과 38건 처리시간 0.026초

중간레진의 친수성이 상아질 접착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INTERMEDIATE RESIN HYDROPHILICITY ON BOND STRENGTH OF SINGLE STEP ADHESIVE)

  • 김용성;박상혁;최기운;최경규
    • Restorative Dentistry and Endodontics
    • /
    • 제32권5호
    • /
    • pp.445-458
    • /
    • 2007
  • 단일과정 접착제를 이용함에 있어 복합레진과의 부적합성을 개선하고자 중간레진이 결합에 영향을 미칠 것으로 사료된다. Experimental single step system (Bisco Ltd., Schaumburg, IL)을 대조군으로 하고 6종의 중간레진을 접착제의 중합여부, 복합레진의 광중합-자가중합 여부로 분류하였다. 상아질에 대한 광중합 또는 자가중합형 복합레진의 결합강도를 측정하고 접착계면에 대한 투과전자현미경 관찰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중간레진의 적용은 광중합형 복합레진의 결합강도를 증가시키지 않았다. 2. 자가중합형 복합레진의 결합강도는 중간레진을 적용할 경우 증가하였다. 3. 중간레진의 적용 전 접착제의 중합여부는 결합강도의 변화에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4. 중간레진이 친수성일 때 소수성 중간레진을 적용할 때 보다 높은 결합강도를 나타냈으나 통계적 유의차는 없었다. 광중합형 복합레진의 수복 시 단일과정 접착제를 사용하는 것은 초기 결합강도에 영향을 미치지 않으며, 자가중합형 복합레진을 단일과정 접착제와 사용할 때는 접착층의 투과도를 감소시키는 소수성의 중간레진을 적용하여 부적합성을 해소할 수 있을 것이다.

The effect of different adhesive system applications on push-out bond strengths of glass fiber posts

  • Kivanc, Bagdagul Helvacioglu;Arisu, Hacer Deniz;Uctasli, Mine Betul;Okay, Tufan Can
    • The Journal of Advanced Prosthodontics
    • /
    • 제5권3호
    • /
    • pp.305-311
    • /
    • 2013
  • PURPOSE. Over the past years, the adhesion of fiber posts luted with simplified adhesive systems has been a matter of great interest.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assess the post retentive potential of a self-adhesive resin cement using different adhesive systems to compare the push-out bond strengths of fiber posts. MATERIALS AND METHODS. The post spaces of 56 mandibular premolar roots were prepared and divided into 4 experimental groups and further divided into 2 subgroups according to testing time (n=7). The fiber posts (Rely X Fiber Post) were luted with a self-adhesive resin cement (RelyX Unicem) and one of the following adhesive systems: no adhesive, a total-etch adhesive resin (Single Bond), a two-step self-etch adhesive resin (Clearfil SE Bond) and a one-step self-etch adhesive resin (Clearfil S3 Bond). Each root was cut horizontally, and 1.5 mm thick six root segments were prepared. Push-out tests were performed after one week or three months (0.5 mm/min). Statistical analysis were performed with three-way ANOVA (${\alpha}$=.05). RESULTS. Cervical root segments showed higher bond strength values than middle segments. Adhesive application increased the bond strength. For one week group, the total-etch adhesive resin Single Bond showed higher bond strength than the self-adhesive resin cement RelyX Unicem applied without adhesive resin at middle region. For 3 months group, the two-step self-etch adhesive resin Clearfil SE Bond showed the highest bond strength for both regions. Regarding the time considered, Clearfil SE Bond 3 months group showed higher bond strength values than one week group. CONCLUSION. Using the adhesive resins in combination with the self-adhesive resin cement improves the bond strengths. The bond strength values of two-step self-etch adhesive resin Clearfil SE Bond improved as time passes.

지각과민억제제 적용이 수종 접착제의 미세인장결합강도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A DESENSITIZER ON MICROTENSILE BOND STRENGTH OF DIFFERENT ADHESIVES)

  • 황성연;이경하;유미경;이광원
    • Restorative Dentistry and Endodontics
    • /
    • 제28권5호
    • /
    • pp.378-384
    • /
    • 2003
  • This study evaluated the influence of a desensitizer(MS coat) on microtensile bond strength of different adhesives:a three-step adhesive(All-Bond 2), a two-step adhesive(Single Bond), a one-step adhesive(One-up Bond F). Non-caries extracted human molars were used. Dentin surface was obtained by horizontal section on mid-portion of crown using a water-cooled low speed diamond saw. Teeth were randomly divided into 6 group. AMO(MS coat + All Bond), SMO(MS coat + Single Bond)- and OMO(MS coat + One-up Bond F)-dentin surface were treated with 17% EDTA before bonded adhesive. AMX-, SMX- and OMX-dentin surface were bonded with All-Bond 2, Single Bond and One-up Bond F, respectively. with no previous treatment with MS coat and 17% EDTA. About 1cm high resin composite($Z-250^{TM}$) were incrementally build-up on the treated surface. The specimens for the microtensile test were serially sectioned perpendicular to the adhesive layer to obtain $0.7{\times}0.7mm$ sticks. 30 sticks were prepared from each group. After that. tensile bond strength for each stick was measured with Microtensile Tester at a 1mm/min crosshead speed. Fractured dentin surfaces were observed under the SEM. The results were statistically analysed by using a One-way ANOVA and Tukey's test(p<0.05). Value in MPa were: $AMO-44.35{\pm}13.21;{\;}SMO-39.35{\pm}13.32;{\;}OMO-31.07{\pm}10.25;{\;}AMX-49.22{\pm}16.38;{\;}SMX-56.02{\pm}13.35;{\;}OMX-72.93{\pm}16.19$. Application of MS coat reduced microtensile bond strengths of both Single Bond and One-up Bond F, whereas microtensile bond strengths of All-Bond 2 were not affected significantly.

열순환이 상아질 접착제의 결합 내구성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THERMOCYCLING ON THE DURABILITY OF DENTIN ADHESIVE SYSTEMS)

  • 문영훈;김종률;최경규;박상진
    • Restorative Dentistry and Endodontics
    • /
    • 제32권3호
    • /
    • pp.222-235
    • /
    • 2007
  • 이 논문의 목적은 열순환이 4종 상아질 접착 시스템의 결합 내구성에 미치는 영향을 측정한 것이다. 제3대구치의 상아질층을 노출시킨 후, 무작위로 8개군으로 나눈다: 3단계 산부식 시스템 (Scotchbond Multi-Purpose Plus; SM, All Bond-2 ; AB), 2 단계 산부식 시스템 (Single Bond; SB, One Step plus, OS), 2단계 자가부식 시스템 (Clearfil SE Bond; SE, AdheSE; AD), 1 단계 자가부식 시스템 (Promp L-Pop ; PL, Xeno III; XE). 8개 군에 각 상아질 접착제를 제조사의 지시에 따라 도포하고 복합레진 (Z250)을 적층한 후, 광조사한다. $37^{\circ}C$ 증류수에서 24시간 보관한 후, 각 군마다 정해진 프로그램으로 0, 1000, 2000회 열순환한 후, 저속 diamond saw로 $1\times1mm$ 막대형 시편을 제작한다. Universal testing machine (EZ-test; Shimadzu, Japan)으로 미세인장 결합강도를 측정하였고, 유의수준 0.05 level에서 ANOVA / Duncan's test로 통계분석 하였다. 상아질측 파단면과 접착계면에 대한 주사전자현미경 관찰을 시행하였다. 이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3단계 상아질 접착제의 결합강도는 열순환 전후에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변화를 나타내지 않았다. 2단계 산부식형 상아질 접착제의 결합강도는 열순환 처리에 의하여 유의하게 감소되었다. 2. 2단계 자가부식형 접착제 (SE)의 결합강도가 가장 높았고, 1단계 자가부식 접착제 (PL, XE)는 실험군 중 가장 낮은 결합강도를 보였다. 3. 모든 접착제는 주로 접착성 파괴가 발생하였고, 열순환에 의하여 산부식형 접착제는 접착성 파괴가, 1단계 자가부식형 접착제에서는 혼합형 파괴가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이상의 결과로, 상아질 접착제의 접착단계/과정이 결합내구성에 영향을 미침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접착과정의 단순화가 반드시 접착에 효과적이라고 할 수 없다.

중간층 레진 적용이 단일 접착과정 상아질 접착제의 접착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the additional application of a resin layer on dentin bonding using single-step adhesives)

  • 최승모;박상혁;최경규;박상진
    • Restorative Dentistry and Endodontics
    • /
    • 제32권4호
    • /
    • pp.313-326
    • /
    • 2007
  • 본 연구는 단일 접착과정 상아질 접착제와 복합레진 사이에는 부적합성이 존재하며, 이를 개선하기 위해 중간 레진층이 필요하다는 가설을 규명하기 위해 시행되었다. 발치된 치아의 협설측 상아질에 3종의 단일 접착과정 상아질 접착제를 도포 후 광중합, 2종의 중간 레진층 적용, 광중합 또는 자가중합형 복합레진의 사용여부에 따라 30개의 실험군으로 분류하였다. 미세전단 결합강도를 측정하고 투과전자현미경 (TEM)을 이용하여 접착계면에서의 미세 누출과 수분의 이동경로를 관찰하여 접착제의 투과성을 평가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중간 레진층을 적용 시 접착층의 투과도가 감소되었고 복합레진에 대한 단일 접착과정 상아질 접착제의 결합강도가 증가되었다. 따라서 시간 절약 및 간단한 접착과정을 선호하여 단순화된 상아질 접착제를 선택하는 것은 재고되어야 한다.

Microleakage and characteristics of resin-tooth tissues interface of a self-etch and an etch-and-rinse adhesive systems

  • Xuan Vinh Tran;Khanh Quang Tran
    • Restorative Dentistry and Endodontics
    • /
    • 제46권2호
    • /
    • pp.30.1-30.13
    • /
    • 2021
  • Objectives: This study was conducted to compare the microleakage and characteristics of the resin-tooth tissue interface between self-etch and etch-and-rinse adhesive systems after 48 hours and 3 months. Materials and Methods: 40 extracted premolar teeth were randomly divided into 2 groups: 1-step self-etch adhesive system - OptibondTM All-In-One, and 2-step etch-and-rinse adhesive system - AdperTM Single Bond 2. Both groups were subjected to 500 thermocycles (5℃-55℃) before scanning electron microscope (SEM) analysis or microleakage trial at 48-hour and 3-month time periods. Results: SEM images showed the hybrid layer thickness, diameter, and length of resin tags of the self-etch adhesive (0.42 ± 0.14 ㎛; 1.49 ± 0.45 ㎛; 16.35 ± 14.26 ㎛) were smaller than those of the etch-and-rinse adhesive (4.39 ± 1.52 ㎛; 3.49 ± 1 ㎛; 52.81 ± 35.81 ㎛). In dentin, the microleakage scores of the 2 adhesives were not different in both time periods (48 hours/3 months). However, the microleakage score of etch-and-rinse adhesive increased significantly after 3 months (0.8 ± 0.63 and 1.9 ± 0.88, p < 0.05). Conclusions: The self-etch adhesive exhibited better long-term sealing ability in dentin when compared to that of the etch-and-rinse adhesive. The greater hybrid layer thickness and dimensions of resin tags did not guarantee reliable, long-lasting sealing in the bonding area.

상아질 접착제의 용매 증발이 접착 효율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solvent evaporation of dentin adhesive on bonding efficacy)

  • 조민우;김지연;김덕수;최경규
    • Restorative Dentistry and Endodontics
    • /
    • 제35권5호
    • /
    • pp.321-334
    • /
    • 2010
  • 연구목적: 본 연구는 상아질 접착제의 잔류 용매가 접착 효율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고자 하였다. 연구 재료 및 방법: 본 연구에서는 5세대 2단계 산부식형 접착제와 7세대 단일과정 자가부식형 접착제를 사용하였다. 상아질 접착제의 증발률과 전환률, 적용 후 용매의 공기건조 방법에 따른 미세인장결합강도를 측정하였으며 접착 계면을 FE-SEM을 이용하여 관찰하였다. 결과: 1. 시간에 따라 접착제의 증발률은 증가하나 접착제의 종류에 따라 증가 양상이 서로 달랐다. 2. 대부분 전환률은 증발률에 비례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3. 공기건조 방법에 따라 결합강도는 대부분 under군, control군, over군 순으로 증가하는 양상을 나타내었다. 4. FE-SEM에서 아세톤을 용매로 사용하는 접착제는 공기건조 방법에 따라 droplet이나 gap이 관찰되었다. 결론: 상아질 접착제의 잔류 용매는 접착 효율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상아질 접착제의 선택과 사용 시 용매의 종류와 특징에 대한 적절한 이해가 필요할 것이다.

접착시스템의 종류에 따른 유동성 레진과 법랑질의 미세전단 결합강도 (Microshear bond strength of a flowable resin to enamel according to the different adhesive systems)

  • 김정호;조영곤
    • Restorative Dentistry and Endodontics
    • /
    • 제36권1호
    • /
    • pp.50-58
    • /
    • 2011
  • 연구목적: 이 연구는 2종의 전부식 접착제와 4종의 자가부식 접착제를 이용하여 유동성 레진을 법랑질에 접착할 경우, 접착제에 따른 미세전단 결합강도와 파절양상을 비교하기 위하여 시행하였다. 연구 재료 및 방법: 발거된 60개의 대구치 치관의 법랑질을 이용하였고, 사용된 접착시스템의 종류에 따라 6개의 군; OS 군(One-Step), SB 군(Single Bond), SE 군(Clearfil SE Bond), TY 군(Tyrian SPE와 One-Step Plus), AP 군(Adper prompt L-Pop), GB 군(G-Bond)으로 분류하였다. 각 군의 법랑질 표면에 배정된 접착시스템을 적용한 후, Tygon tube를 이용하여 법랑질 표면에 유동성 레진(Filtek Z 350 flowable resin)을 접착하였다. 각 군의 미세전단 결합강도를 측정한 후 주사전자현미경하에서 파절양상을 비교하였다. 결과: 1. SB 군의 결합강도는 다른 모든 군보다 통계학적으로 높게 나타났고, GB 군의 결합강도는 다른 모든 군의 결합강도 보다 통계학적으로 낮게 나타났다(p < 0.05). 2. OS 군과 SE 군 및 AP 군의 결합강도는 SB 군보다 낮게 나타났지만, TY 군과 GB 군보다 통계학적으로 높게 나타났다(p < 0.05). 3. TY 군의 결합강도는 GB 군보다 통계학적으로 높게 나타났다(p < 0.05). 4. 접착성 파절은 TY 군과 GB 군에서 가장 많이 나타났고, 혼합파절은 SB 군과 SE 군에서 가장 많이 나타났으며, 응집성 파절은 OS 군, SB 군, SE 군 및 AP 군에서 각각 1개씩 나타났다. 결론: 접착 단계가 같은 접착시스템이라 해도 법랑질에 대한 유동성 레진의 미세전단 결합강도는 서로 다르게 나타났다.

한 단계 자가 산부식 접착제의 적용 방식이 미세인장 결합강도에 미치는 효과 (Influence of application methods of one-step self-etching adhesives on microtensile bond strength)

  • 최철규;손성애;하진희;허복;김현철;권용훈;박정길
    • Restorative Dentistry and Endodontics
    • /
    • 제36권3호
    • /
    • pp.203-210
    • /
    • 2011
  • 연구목적: 이 연구의 목적은 다양한 방식의 한 단계 자가 부식 접착제의 적용이 직접 복합 레진 수복의 미세 인장 강도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는 것이었다. 연구 재료 및 방법: 36개의 발거된 대구치를 사용하여, 3종류의 한 단계 자가 부식 접착제(Clearfil Tri-S Bond, Adper Prompt L-Pop, G-Bond)와 적용 방식에 따라 12개의 군으로 나누었다. 접착제를 다음의 방식으로 상아질에 적용하였다. 1) single coating, 2) double coating, 3) manual agitation, 4) ultrasonic agitation. 접착제 적용 후, 광중합 복합 레진으로 수복하였다. 24시간 동안 실온의 증류수에 보관한 후, 각 군당 15개의 시편을 준비하여 미세인장 결합 강도를 측정하였다. 결과: Manual agitation, ultrasonic agitation군은 single coating, double coating군에 비해 유의하게 높은 미세인장 결합 강도를 보였다. Double coating군은 single coating군에 비해 유의하게 높은 미세인장 결합 강도를 보였으며, manual agitation군과 ultrasonic agitation군 간에는 미세인장 결합 강도의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접착제 종류에 따라 미세인장 결합 강도의 유의한 차이가 있었고, 그 중 Clearfil Tri-S Bond가 가장 높았다. 결론: 한 단계 자가 산부식 접착제의 적용 방법과 재료에 따라 미세인장 결합 강도에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접착제 종류에 관계없이 manual agitation과 ultrasonic agitation은 유의하게 높은 미세인장 결합강도를 보였다.

복합레진의 지연충전이 미세인장 결합강도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DELAYED COMPOSITE RESIN FILLING ON MICROTENSILE BOND STRENGTH)

  • 박현식;조영곤;박병철;김종욱;최희영;김종진;진철희;유상훈;기영재
    • Restorative Dentistry and Endodontics
    • /
    • 제29권3호
    • /
    • pp.233-238
    • /
    • 2004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effect of immediate or delayed composite resin filling on dentinal microtensile bond strength (${\mu}TBS$) after applied the adhesive. The coronal dentin of human third molars was exposed. Single-Bond or One-Step was applied on the dentin surfaces. and composite resin were constructed immediately (group 1) or 5min., 10min., 15min., 20min. and 30min. (groups 2-6) after an adhesive was applied. The specimens were sectioned and made bar-shaped. Each surface area of them was about $1\textrm{mm}^2$. The ${\mu}TBS$ test was performed by EZ test. The results were analysed by One-way ANOVA and Tukey's test at 95% significance level. The results suggested that the ${\mu}TBS$ of Single-Bond to dentin was decreased when the composite resin was constructed 20min. and 30min. after Single-Bond was applied. But the ${\mu}TBS$ of One-Step was not affected by delayed composite resin filli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