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idewalk Landscape

검색결과 26건 처리시간 0.03초

도시가로 보행자 공간의 만족요인 분석에 관한 연구 -대전시 도시 가로 보행자 공간을 중심으로- (A Study on the Analysis of the User's Degree of Satisfaction in Urban Pedestrian Sidewalk -Case Study of Urban Pedestrian Sidewalk in Taejon City-)

  • 김대현
    • 한국조경학회지
    • /
    • 제22권3호
    • /
    • pp.29-40
    • /
    • 1994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factors and variables which have significant effects on satisfaction of urban pedestrian sidewalk in taejon city, and to suggest basic information for urban pedestrian sidewalk. These works consist of two phase; The first, tested the user's degree of satisfaction for 37 spots of pedestrian sidewalk slide and then selected 10 spots slide by the stratified random sampling method. The second, analyzed factors and variables of satisfaction of urban pedestrian sidewalk using the semantic differential scale method, and then processed by mean score, correlation, factor analysis, multiful algorithm. The results were summarized as follows; 1)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man group and the woman group was highly correlated as well as between the student group.1 and the student group.2 hense these groups statistically showed no difference in satisfaction ratings. 2) Pedestrian sidewalk width, cleanness, pavement materials and construction condition can be significant variables of satisfaction of urban pedestrian sidewalk. 3) Factors covering the satisfaction of urban pedestrian sidewalk have been found to be Environment of pedestrian sidewalk, Vegetation of pedestrian sidewalk and Form of pedestrian sidewalk. By using the control method for the number of factors, C.P. has been obtained as 62.8%.

  • PDF

인간의 감성을 고려한 보도경관 설계모형에 관한 연구 (Design of Sidewalk Landscape Considering Human Sensibility)

  • 이병주;박상명;남궁문
    • 대한교통학회지
    • /
    • 제24권6호
    • /
    • pp.119-127
    • /
    • 2006
  • 최근 도시의 급속한 발전과 시민들의 교통문화 의식이 향상되어 물리적인 요인뿐만 아니라 정서적인 측면을 동시에 고려한 보다 나은 보행환경을 요구하고 있는 실정이다. 또한 최소의 물리적인 설계 기준만을 충족시킨 기존의 보행공간이 보행 기피의 한 원인이 되고 있으므로 보행환경의 개선이 필요한 실정이다. 보행환경 개선을 위해서는 우리나라 보행자들이 편안하고 쾌적하게 느끼는 보행환경이 무엇인지를 파악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고 볼 수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SD 척도의 조사기법을 이용하여 인간의 정서적인 측면을 고려할 수 있는 감성공학을 적용한 보행환경 실험을 실시하였다 그리고 SD 척도에 의한 감성형용사의 감성인지를 분석하는데 유용한 LISREL 모형을 이용하여 보도경관의 인지평가 모형과 보도 설계요소의 감성인지 모형을 구축하였다 그 결과 보도 설계시 감성공학을 도입함으로써 쾌적하고 편안한 보도환경 구현이 가능하며 가로수 등의 식재를 통한 녹색환경을 조화롭게 구성하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함을 알 수 있었다

가로 활성화를 위한 가로변 노천카페의 유형별 설계요소 평가 (An Evaluation of Design Factors with Sidewalk Cafes for Street Revitalization)

  • 김동찬;최우영
    • 한국조경학회지
    • /
    • 제41권2호
    • /
    • pp.47-58
    • /
    • 2013
  • 본 연구의 목적은 국내 노천카페의 유형을 분류하고, 평가기준을 선정하여 유형별로 평가함으로써 추후 노천카페 가이드라인을 만들 때 기초자료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가로와의 관계성 관점에서 노천카페의 유형을 분류하기 위하여 가로변 노천카페의 전수조사가 시행되었다. 그리고 평가기준을 선정하기 위하여 문헌 조사와 중요도 조사가 사용되었고, 데이터의 분석에는 기술통계분석, 요인분석 등과 같은 통계방법들이 사용되었다. 그 결과, 노천카페의 유형은 가로와의 관계성 관점에서 가로돌출형, 가로개폐형, 혼합입체형, 가로앙각형, 사인제공형 등 5개 유형으로 분류되었다. 평가항목의 5개 요인은 접근성, 심미성, 정체성, 환경성, 문화성이었는데, 이 5개 요인의 누적기여율은 68.731%로 높은 편이었다. 이러한 평가항목을 토대로 조경 전문가 4인이 5점 리커트 방식으로 평가를 실시하였다. 유형별 평가 결과, 가로돌출형과 가로개폐형은 '심미성'과 '문화성'의 평가점수가 가장 낮았고, 혼합입체형은 '문화성'의 평가점수가 가장 낮았으며, 가로앙각형은 '접근성', '심미성', '문화성', 사인제공형은 '접근성', '정체성', '환경성'의 점수가 낮았다. 지표별 평가 결과, '문화성'의 평가점수가 가장 낮았고, 항목별 평가 결과, '장애인의 안전성', '프로그램의 흥미성', '출입의 개방성'의 평가점수가 가장 낮았다. 본 연구는 국내에서 요구와 관심은 높지만 연구가 미흡한 분야인 노천카페의 유형을 분류하고, 유형별 평가를 수행하여 정책적 시사점을 제공하였다는 것에 의의가 있다. 그러나 소로변의 노천카페만 대상으로 하였으므로 추후 주변 환경의 차이에 대한 고찰을 위하여 다양한 환경의 노천카페를 대상으로 해야 할 것이다. 또한 전문가가 평가를 시행하였으므로 추후 이용자 입장에서의 중요도와 만족도 조사도 시행되어야 할 것이다.

학교통학로 녹지가 보행자의 만족도와 조성 방향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Greenspace on School Commuting Routes on Pedestrian Satisfaction and the Future Direction of Creation)

  • 김민경
    • 한국조경학회지
    • /
    • 제50권1호
    • /
    • pp.20-32
    • /
    • 2022
  • 본 연구는 학교통학로 녹지가 보행자의 만족도와 조성 방향에 미치는 영향을 도출하기 위하여, 서울시 학교통학로 녹화사업이 완료된 2개 학교와 가로 녹지가 조성되지 않은 비교 대상지인 2개 학교의 학생을 포함한 보행자 313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설문 결과를 분석하였다. 녹지 만족도 분석 결과 녹지가 조성된 학교는 만족도 8개 항목에 대해 모두 만족하였고, 전반적인 만족도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항목으로는 '보도의 폭'(37%), '주변 경관과의 조화'(24.97%), '나무나 풀, 꽃의 배치'(18.30%), '전반적인 관리 상태'(10.44%)였다. 즉, 녹지 만족을 영향을 미치는 항목으로는 녹지가 위치하는 보도의 폭(너비)이 적정히 확보되어 보행에 문제가 없어야 하는 기능적 측면에 대해 가장 중요하게 생각하였고 녹지의 세부적 구성 요소보다는 전반적인 경관과의 조화에 대해 더욱 중요하게 인식하고 있었다. 이것은 기존 보도에 녹지를 조성하는 현재 사업 형태에 대한 재검토가 필요하며, 보행 편의성을 위한 보도폭의 확보가 가로녹지 조성 사업 시 가장 중점적으로 고려해야 할 사항임을 나타낸다. 녹지 조성 방향에 대한 인식 차이를 분석하면, 학교통학로 녹화사업을 통하여 가로녹지에 대한 경험을 한 응답자는 풀과 꽃 등 자연 소재에 대해 더욱 중요하게 인식하고 경관과 조화에 대해 중요하게 생각하였다. 녹지에 대한 관심도가 높고 필요성을 높게 인식하는 응답자 또한 나무와 풀, 꽃 등을 조성하는 등 자연 소재의 배치에 대해 중요하다고 인식하고 있었다. 또한 녹지의 기능성과 효과성에 대한 장점을 인지하는 그룹이 녹지 만족도가 높았다. 따라서 녹지 만족도를 향상하기 위해서는 녹지 효과성에 대한 환경 교육과 홍보, 안내판 조성 등을 통하여 효과성에 대한 인식을 확대할 필요가 있다. 또한 획일적 형태보다는 지역과 학교 특성을 반영하는 등의 노력이 더욱 필요할 것이다.

가로녹지 조성 및 관리를 위한 가로환경 영향요인 분석 연구 - 서울시 관리도로를 대상으로 - (Influence Factors of Street Environment for Provision and Management of Street Green)

  • 한봉호;곽정인;김홍순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
    • 제27권2호
    • /
    • pp.253-265
    • /
    • 2013
  • 본 연구는 서울시 가로노선 중 시 관리도로 93개 노선(629.2km)의 가로녹지 조성 및 관리 현황과 가로환경에 대한 조사를 실시하여 가로녹지 조성 및 관리와 가로환경간의 관계를 분석하였다. 조사된 총 629.2km 구간 중 띠녹지 조성 구간은 17.5%이었다. 조성된 띠녹지는 폭 1~2m가 11.6%로 가장 많았다. 관리 현황으로 가로수 보호시설은 보호틀과 보호덮개 모두 설치된 구간이 60.1%로 가장 많았고, 전정되지 않은 구간은 63.5%이었으며, 수형은 보통이 47.9%로 대부분이었다. 가로환경에서 차도폭은 8차선 이상이 51.3%, 보도폭은 폭 3~6m가 84.1%이었다. 토지이용은 상업 및 업무지가 70.3%이었고 전선 및 통신선은 수관 경합이 33.6%이었다. 보도는 16.3%가 점용되고 있었다. 가로녹지 조성 및 관리와 가로환경간의 ANOVA 분석결과 가로녹지 조성 측면에서 띠녹지는 보도폭 3m 이상에서 조성이 효과적인 것으로 분석되었다. 도심 외곽의 자연녹지와 공업지가 띠녹지 조성여건이 양호하였으며 보도점용에 대한 관리가 필요하였다. 보호시설은 보도폭이 좁은 구간에서 설치 강도가 낮았다. 전정은 좁은 차도폭 및 보도폭, 전선 및 통신선과의 경합지에서 강도가 높았고 수형도 유사한 경향을 보였다. 가로수 전정과 수형은 유의적인 상관관계를 보였다. 따라서 향후 가로녹지의 효과적인 조성과 관리를 위해 충분한 보도폭 확보와 토지이용을 고려한 조성 및 관리가 필요하였고, 전선 관리 및 가로수 수형과 경관을 고려한 수종 선정과 전정관리가 필요하였다.

감성데이터를 이용한 보도환경의 경관평가에 관한 연구 (Landscape Evaluation of Sidewalk Environment using Sensibility Data)

  • 이병주;박상명;남궁문
    • 대한토목학회논문집
    • /
    • 제26권2D호
    • /
    • pp.265-273
    • /
    • 2006
  • 최근 고유가 시대를 맞이하여 자가용 이용을 억제하고 대중교통을 활성화 시키려는 정책을 추진하는데 있어 보행환경의 개선은 매우 중요한 요소이다. 보행환경은 보행자가 느끼는 감성이 중요하게 작용한다고 판단되므로 보도 설계시 보행자가 느낄 수 있는 쾌적성 등과 같은 감성적인 측면을 고려한 연구가 수행되어야 할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사람들이 가진 감성이나 이미지를 구체적인 물체로 만들기 위한 공학적 방법으로 최근 주목을 끌고 있는 감성공학을 적용하여 감성적 표현을 정량화 하고 보행환경에 대한 주성분을 파악한 후 보도 설계요소와 보행환경 선호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규명함으로써 보행자가 편안하고 쾌적한 보행환경을 보장받을 수 있는 보도를 설계하기 위해서 고려해야 할 요인이 무엇인지를 제시하였다.

노인의 거주지 주변 보행환경 인식이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Influence of Perceived Neighborhood Walking Environment on Satisfaction for the Elderly)

  • 박영은;정성관;이우성
    • 한국환경과학회지
    • /
    • 제28권12호
    • /
    • pp.1111-1121
    • /
    • 2019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effect of perceived walking environment around neighborhood on satisfaction for old adults in Daegu. The study was conducted using 407 questionnaires were collected through the survey. The walking environment was categorized into accessibility to neighborhood walking facilities and walking environment around path. Regarding perception of walking accessibility, access to 'public transit stops' and to 'medical facilities' was relatively high. For walking environment, 'pavement condition', 'continuity of sidewalk', and 'slope of sidewalk' were rated relatively high.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after factor analysis of walking environment variables showed that religious and convenient facilities, park and leisure facilities, and medical and welfare facilities had a significant effect on satisfaction in walking accessibility. For walking environment the convenience for walking, safety for walking, and amenities for walking had a significant effect on satisfaction. The findings from this study can be used for improving the walking environment for old adults.

중국 이주민 거주지역 내 시장공간의 문화경관해석 - 서울시 대림동 중앙시장을 대상으로 - (Cultural Landscape Analysis of Market Space in Chinatown - A Case Study of the 'Chung-Ang Market of Dairimdong' -)

  • 천현진;이준;강용;김성균
    • 한국조경학회지
    • /
    • 제40권5호
    • /
    • pp.73-87
    • /
    • 2012
  • 국내에 중국인의 유입이 증가하면서 중국 이주민 거주지가 많이 생겨나고 있다. 이러한 이주민 거주지역은 도시내의 독특한 경관을 형성할 뿐 아니라 도시경관에 있어서 문화적 다양성이 드러나고 있다. 그래서 본 연구에서는 중국 이주민 거주지 내의 시장공간을 대상으로 문화경관을 해석하고자 한다. 연구대상지는 서울시 영등포구 대림동 중국 이주민 거주지내의 중앙시장으로 하였으며, 연구방법은 참여관찰법이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해 보면 다음과 같다. 중국인 상인들은 보행자 도로에 탄즈나 상품더미와 같은 개인의 물건을 놓고 거기서 상행위를 하고 있으며, 큰 규모의 차양을 설치하여 보행자 도로를 완전 점유함으로써 보행자 도로를 가게의 내부공간으로 변형시켰다. 또한 보행자 도로를 이용하는 행인들은 차량용 도로를 통해 이동하게 되어 차량용 도로가 자동차만의 공간일 뿐 아니라 보행자를 위한 공간으로 변형하게 되었다. 이러한 변화를 통하여 원상태의 공간분류인 건물 - 보행자 도로 - 차량용 도로에서 건물 - 보도 및 탄즈 겸용공간 - 차도 및 보도의 겸용공간으로 변형되었다. 중국인 거주자에 의해서 중앙시장의 공간의 이용행태는 원상태의 공간의 이용행태하고는 본질적으로 다르며, 공간 구분에서도 기존의 공간구분과는 다르다. 그리고 이러한 공간에 대하여 중국 이주자들이 어떻게 인지하는지를 살펴보면 먼저 중앙시장에서 상행위를 하는 중국상인은 가게공간에서 탄즈와 같은 중국식 시설물을 설치함으로써 공간을 이용하기가 편리한 공간으로 인식하고 있었다. 그리고 중앙시장을 이용하는 중국인 고객은 중앙시장을 중국의 음식이나 일상용품을 쉽게 구매할 수 있는 공간으로 생각하고 있었다. 또한 중앙시장의 경관이 중국현지 경관과 유사하다고 생각하고 있어 이 공간을 친근하고 익숙한 공간으로 생각하고 있었다. 이처럼 중앙시장은 중국인이 중심이 되는 소비의 공간이자 한국 안에 위치하는 작은 중국으로 생각하고 있었다. 본 연구의 결과는 차이나타운의 건설 시 중국인 거주자의 입장에서 계획이 될 수 있도록 이론적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다. 또한 참여관찰법을 통한 연구는 실질적이고 깊이 있는 정보를 현장에서 직접 수집하는 방법으로 조경분야에서도 정보를 수집하는데 방법론적 의미를 가질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가로수 식재 유형에 따른 보도의 시각적 특성평가 - 대전광역시를 대상으로 - (Visual Characteristic Assessment of Sidewalk According to Street Planting Types - Focus on Sidewalk in Daejeon Metropolitan City -)

  • 정대영
    • 한국환경복원기술학회지
    • /
    • 제11권6호
    • /
    • pp.49-60
    • /
    • 2008
  • In this study, the green zone patterns of sidewalks are classified 'one street-tree row + building,' 'one street-tree row + green zone,' 'two street-tree rows + building,' and 'two street-tree rows + green zone' and assessed their visual characteristic in order to provide desirable measures for scenery design. As a result of the analysis of visual images of sidewalk, the scenery in which street trees are planted in one row was generally assessed to be negative, while roads where green zones rather than buildings are adjacent were revealed to seem stable and pleasant. The scenery in which street trees are planted in two rows was assessed highly in an image of 'extensionality' indicating street circumstances, and especially the pattern 'two street-tree rows + green zone' was shown to be the most beautiful scenery. According to the results of factor analysis of sidewalks, three factors were identified : 'extensionality' showing sidewalk circumstances; 'peculiarity' including unique personality, and 'pliability' showing the organic flow of the scenery. The results of the analysis of visual preference of the scenery according to green zone patterns showed that the 'two street-tree rows + green zone' was measured to be highest. When buildings are adjacent to a sidewalk, two street-tree rows rather than one street-tree row were assessed to increase preference. As for the correlation between visual factors and preference analyzed through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all 'extensionality,' 'peculiarity,' and 'pliability' were revealed to show positive correlation for visual preference.

아파트 단지 내 블록포장의 종류와 공간유형에 따른 하자분석 (Defect Analysis According to the Types and Spatial Type of Block Pavement in Apartment Complex)

  • 박근혜;정성관;장철규
    • 한국환경복원기술학회지
    • /
    • 제23권3호
    • /
    • pp.91-104
    • /
    • 2020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analyze the characteristics of defects according to the type of block and spatial type by quantitatively examining defects occurring in block pavement in apartment complex. According to the research results, depending on the type of block, defects have occurred 1,394.3ea/100㎡ in interlocking paver blocks, 464.8ea/100㎡ in clay brick paver blocks, and 235.1ea/100㎡ in shot blasted paver blocks. By space type, the defects were occurred 1,576.0ea/100㎡ on the access road paved by interlocking paver blocks and the defects were found 1,139.6ea/100㎡ in interlocking paver blocks, 235.1ea/100㎡ in shot blasted paver blocks, and 797.1ea/100㎡ in clay brick paver blocks, on the sidewalk. Also the defects are occurred 455.6ea/100㎡ on the resting space and 403.2ea/100㎡ on the gym space paved by clay brick paver blocks. Through the size analysis of the defects in the block paver, in the case 'peeling', the largest volume of 2,539.0㎣ on the sidewalk paved with shot blasted paver blocks, and 'Subsidence' occurred at the widest area of 2,096.0㎠ on the sidewalk where interlocking paver block was constructed. The difference in defect occurrence according to the type of block is considered to be influenced by the block production process, and the space type is considered to be caused the difference in the occurrence of defects according to the cause of construction and the usage pattern of residents. This study conducted a survey on defects in block and analyzed the defect characteristic according to paver material and space type. Base on this, it is judged that it can be used as an efficient basic data for material replacement, improvement, paver planning and construction in the futu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