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Cultural Landscape Analysis of Market Space in Chinatown - A Case Study of the 'Chung-Ang Market of Dairimdong' -

중국 이주민 거주지역 내 시장공간의 문화경관해석 - 서울시 대림동 중앙시장을 대상으로 -

  • Chun, Hyun-Jin (Graduate School, Seoul National University) ;
  • Lee, June (Graduate School, Seoul National University) ;
  • Jiang, Long (Graduate School, Seoul National University) ;
  • Kim, Sung-Kyun (Dept. of Landscape Architecture & Rural System Engineering, Seoul National University)
  • 천현진 (서울대학교 대학원) ;
  • 이준 (서울대학교 대학원) ;
  • 강용 (서울대학교 대학원) ;
  • 김성균 (서울대학교 조경.지역시스템공학부)
  • Received : 2012.07.24
  • Accepted : 2012.10.19
  • Published : 2012.10.31

Abstract

Nowadays, the Korean society is full of multiculturalism as there are many foreign ethnic enclaves. Many Chinese quarters are built in various parts of Korea along with the increasing population of Chinese immigrant. Especially, the Chinese quarter has shown the sign of time and the cultural characteristic of the local residents. This research is to study the market space of Chinese ethnic enclaves in Dairimdong. This research method is the field study to use a participant observation. Below are the research results: Chinese merchants put a private object such as "tanzi" on a sidewalk and install large awning covered full of sidewalk. Sidewalk transform from an outdoor space into an internal space because of Chinese merchants. Passers-by move to use vehicle roads and transform not only the car's space but also the passers-by space. Urban planners originally classify space into three categories, which are building - sidewalk - vehicles road. However, after Chinese came to the market, Chinese classified space into new three categories which is building - space for both sidewalk and "tanzi" - space for both sidewalk and vehicles road. New classification of space is quite different from the previous. In addition, Chinese thinks that the Dairimdong's Market is a very comfortable place. Because Dairimdong Market have many Chinese physical facilities. Next, Chinese thinks that the Dairimdong Market is a very friendly place to buy Chinese products easily. This market has become a place of consumption for the Chinese. Eventually, Dairimdong's Market has changed because of Chinese immigrants. It is possible to make satisfactory planning and design proposal to build Chinese quarters in the future through the explanation of space and status by way of culture. There are many careless mistakes in previous subjective planning and design proposal of the designers. Thus, it should consider the problems created by their way of use in later planning and design.

국내에 중국인의 유입이 증가하면서 중국 이주민 거주지가 많이 생겨나고 있다. 이러한 이주민 거주지역은 도시내의 독특한 경관을 형성할 뿐 아니라 도시경관에 있어서 문화적 다양성이 드러나고 있다. 그래서 본 연구에서는 중국 이주민 거주지 내의 시장공간을 대상으로 문화경관을 해석하고자 한다. 연구대상지는 서울시 영등포구 대림동 중국 이주민 거주지내의 중앙시장으로 하였으며, 연구방법은 참여관찰법이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해 보면 다음과 같다. 중국인 상인들은 보행자 도로에 탄즈나 상품더미와 같은 개인의 물건을 놓고 거기서 상행위를 하고 있으며, 큰 규모의 차양을 설치하여 보행자 도로를 완전 점유함으로써 보행자 도로를 가게의 내부공간으로 변형시켰다. 또한 보행자 도로를 이용하는 행인들은 차량용 도로를 통해 이동하게 되어 차량용 도로가 자동차만의 공간일 뿐 아니라 보행자를 위한 공간으로 변형하게 되었다. 이러한 변화를 통하여 원상태의 공간분류인 건물 - 보행자 도로 - 차량용 도로에서 건물 - 보도 및 탄즈 겸용공간 - 차도 및 보도의 겸용공간으로 변형되었다. 중국인 거주자에 의해서 중앙시장의 공간의 이용행태는 원상태의 공간의 이용행태하고는 본질적으로 다르며, 공간 구분에서도 기존의 공간구분과는 다르다. 그리고 이러한 공간에 대하여 중국 이주자들이 어떻게 인지하는지를 살펴보면 먼저 중앙시장에서 상행위를 하는 중국상인은 가게공간에서 탄즈와 같은 중국식 시설물을 설치함으로써 공간을 이용하기가 편리한 공간으로 인식하고 있었다. 그리고 중앙시장을 이용하는 중국인 고객은 중앙시장을 중국의 음식이나 일상용품을 쉽게 구매할 수 있는 공간으로 생각하고 있었다. 또한 중앙시장의 경관이 중국현지 경관과 유사하다고 생각하고 있어 이 공간을 친근하고 익숙한 공간으로 생각하고 있었다. 이처럼 중앙시장은 중국인이 중심이 되는 소비의 공간이자 한국 안에 위치하는 작은 중국으로 생각하고 있었다. 본 연구의 결과는 차이나타운의 건설 시 중국인 거주자의 입장에서 계획이 될 수 있도록 이론적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다. 또한 참여관찰법을 통한 연구는 실질적이고 깊이 있는 정보를 현장에서 직접 수집하는 방법으로 조경분야에서도 정보를 수집하는데 방법론적 의미를 가질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Keywords

References

  1. 강영은, 신영선, 지달님, 김지애, 임승빈(2009) 참여관찰법을 이용한 공간 모델 기초연구: 농촌마을 커뮤니티시설을 중심으로. 한국농촌계획학 회지 15(1): 31-46.
  2. 권지성(2008) 쪽방 거주자의일상생활에대한문화기술지. 한국사회복지학회지 60(4): 131-156, 1229-5132.
  3. 김일림(2009) 한국적 다문화 이론과 공간에 대한 고찰: 서울의 경우. 한국사진지리학회지 19(4): 95-106.
  4. 문성준, 서탁(2008) 인천 차이나 타운의 역할: 화교들의 문화변용을 중 심으로. 한국언론학보 52(6): 1229-7526.
  5. 박배균, 정건화(2004) 세계화와 "잊어버림"의 정치: 안산시 원곡동의 외 국인 노동자 거주지역에 대한 연구. 한국지역지리학회지 10(4): 800-823.
  6. 신재영 역(2006) 참여관찰법. James P. Spradley. 서울: 시그마프레스. pp. 6-129.
  7. 이정덕(2003) 문화인류학적 연구방법론. 서울행정학회 2003년 하계학술 대회 발표논문집. pp. 262-271.
  8. 이희봉(1988) 인문회복의 도시설계를 위한 부분문화 이론과 방법. 대한 국토도시계획학회지 23(1): 7-19.
  9. 이창석, 유영한(2001) 한국의 문화경관, 그 실체, 변화와 새로운 패러다 임에 의한 가치 평가. 한국생태학회지 24(5): 323-332.
  10. 이영심, 최정신(2007) 재한(在韓) 조선족(朝鮮族) 이주 노동자를 위한 주거계획. 한국과 중국에거주하는조선족의주거및주생활에 대한고찰. 대한가정학회지 45(9): 15-26.
  11. 이희봉(1985) Space, Form, and Subcultures: The Use of a Field Study Method in Architecture. University of Pennsylvania 박사학위논문.
  12. 진양교, 허미선, 홍윤순(2000) 거주상인의 내부적 관점에서 본 재래시장 공간의 장소적 의미: 청량리시장과 황학동시장을사례로 . 한국조경학회지 28(1): 118-128.
  13. 최재헌, 강민조 (2003) 외국인 거주지 분석을 통한 서울시 국제적 부문의 형성. 한국도시지리학회지 6(1): 17-30.
  14. 한성미(2010) 소수자집단의 장소성 형성에 대한 문화심리학적 분석. 서울대학교 대학원 공학박사학위논문.
  15. Massey, Douglas S.(1993) Theories of international migration: A review and appraisal. Population and Development Review 19(3): 431-466. https://doi.org/10.2307/2938462
  16. Omi, M., and R. Winant(1994) Racial Formation in the United States From the 1960s to the 1990s. New York: Routledge.
  17. Tilley, Christopher(1994) A Phenomenology of Landscape: Places, Paths and Monuments. Oxford: Berg Publisher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