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horeline Changes

검색결과 85건 처리시간 0.025초

항공사진과 SPOT-5 위성영상을 이용한 낙동강 하구역 울타리섬들의 해안선 변화율 (Shoreline-change Rates of the Barrier Islands in Nakdong River Estuary Using Aerial Photography and SPOT-5 Image)

  • 정상훈;김부근;김백운;이상룡
    • Ocean and Polar Research
    • /
    • 제35권1호
    • /
    • pp.1-14
    • /
    • 2013
  • Shoreline data of the barrier islands in Nakdong River Estuary for the last three decades were assembled using six sets of aerial photographs and seven sets of satellite images. Canny Algorithm was applied to untreated data in order to obtain a wet-dry boundary as a proxy shoreline. Digital Shoreline Analysis System (DSAS 4.0) was used to estimate the rate of shoreline changes in terms of five statistical variables; SCE (Shoreline Change Envelope), NSM (Net Shoreline Movement), EPR(End Point Rate), LRR (Linear Regression Rate), and LMS (Least Median of Squares). The shoreline in Jinwoodo varied differently from one place to another during the last three decades; the west tail has advanced (i.e., seaward or southward), the west part has regressed, the south part has advanced, and the east part has regressed. After the 2000s, the rate of shoreline changes (-2.5~6.7 m/yr) increased and the east advanced. The shoreline in Shinjado shows a counterclockwise movement; the west part has advanced, but the east part has retreated. Since Shinjado was built in its present form, the west part became stable, but the east part has regressed faster. The rate of shoreline changes (-16.0~12.0 m/yr) in Shinjado is greater than that of Jinwoodo. The shoreline in Doyodeung has advanced at a rate of 31.5 m/yr. Since Doyodeung was built in its present form, the south part has regressed at the rate of -18.2 m/yr, but the east and west parts have advanced at the rate of 13.5~14.3 m/yr. Based on Digital Shoreline Analysis, shoreline changes in the barrier islands in the Nakdong River Estuary have varied both temporally and spatially, although the exact reason for the shoreline changes requires more investigation.

이안 구조물 건설에 따른 해안선의 변화와 수치계산 (Shoreline Changes due to the Construction of Offshore Structure and its Numerical Calculation)

  • 신승호
    • 한국항만학회지
    • /
    • 제15권1호
    • /
    • pp.47-56
    • /
    • 2001
  • A numerical model for practical use based on the 1-line theory is presented to simulate shoreline changes due to construction of offshore structures. The shoreline change model calculates the longshore sediment transport rate using breaking waves. Before the shoreline change model execution, a wave model, adopting the modified Boussinesq equation including the breaking parameters and bottom friction term, was used to provide the longshore distribution of the breaking waves. The contents of present model are outlined first. Then to examine the characteristics of this model, the effects of the parameters contained in this model are clarified through the calculations of shoreline changes for simple cases. Finally, as the guides for practical application of this model, several comments are made on the parameters used in the model, such as transport parameter, average beach slope, breaking height variation alongshore, depth of closure, etc. with the presentation of typical examples of 3-dimensional movable bed experimental results for application of this model. Here, beach change behind the offshore structures is represented by the movement of the shoreline position. Analysis gives that the transport parameters should be taken as site specific parameters in terms of time scale for the shoreline change and adjusted to achieve the best agreement between the calculated and the observed near the structures.

  • PDF

해안선 변화를 예측하기 위한 수치모델에 관한 연구 (A Numerical Model for Predicting Shoreline Changes)

  • 양인태;최한규;최창혁
    • 한국측량학회지
    • /
    • 제7권1호
    • /
    • pp.19-26
    • /
    • 1989
  • 본 연구는 해안선 변화에 대하여 수학적으로 검토하므로서 해안선 발달에 대한 현상을 정량화 하고 나아가 장래의 해안선 변화를 예측할 수 있는 수치모델을 제시한다. 해안은 토지이용의 극대화에 의한 시설물증가 등에 의해 끊임없이 영향을 받고 아울러 해안선은 퇴적, 침식을 거듭하면서 변화되고 있다. 그러나 대부분의 시설물의 보호를 위한 방파제 등에 대한 연구는 많이 진행되고 있으나 토지 이용면에서 해안의 보호를 위한 안벽에 대한 연구는 별로 진행되고 있지 않다. 그러므로 본 연구에서는 시설물 중 안벽의 영향을 분석하고자 한다.

  • PDF

한국 영일만 송도 해수욕장의 해안선변화 및 표사이동율에 관한 수직 시뮬레이션 (A Numerical Simulation of the Shoreline Change and Sediment Transport with Shore Structures at Songdo Beach Youngil Bay, Korea)

  • 이중우
    • 한국항해학회지
    • /
    • 제13권1호
    • /
    • pp.77-106
    • /
    • 1989
  • Two numerical models of the shoreline change and sediment transport rates, explicit and implicit, are simulated with shore structures such as breakwaters, a jetty, groins and a seawall. The applied study area is songdo Beach, Youngil bay, Korea since it has all the shore structures mentinoed above. The two models investigate the beach line changes and sedimen transport rates for the beach before design of three groins with and without an offshore breakwater. In order to estimate the shoreline changes after three groins were built, the beach response inside the three groin compartiments and the offshore barrier are also investigated. The simulation based on the initial shoreline conditions surveyed by the Hydrographic office, Koreai 1979 and 1984. The breaking wave characteristics are introduced into the models by calculation from the empirical equations and modification from the numerical and hydraulic model test results developed for waves behind an offshore breakwater. The numerical simulation describes well the tendencies of the sand transport and shoreline changes affected by wave diffraction behind a detached breakwater and by interruption of sand transport at three groins.

  • PDF

해안 매립지에서 과거 해안선의 산정 (II): 해안선변화 분석 (Estimation of Historical Shorelines on a Coastal Reclaimed Land (II) : Shoreline Change Analysis)

  • 김백운;이창경
    • 한국해안·해양공학회논문집
    • /
    • 제21권5호
    • /
    • pp.380-390
    • /
    • 2009
  • 본 연구는 우리나라 남동 해안에 위치한 매립지(안정국가산업단지, 명지주거단지 및 녹산국가산업단지)에서 해안빈지 면적 산출을 위하여 항공사진으로부터 매립이전의 해안선을 조사하는 연구의 일환으로 수행되었다. 매립 이전 해안선의 적합성을 평가하고자 해안선변화자료를 구축하였다. 2차적인 지상기준점으로 오래된 항공사진의 항공삼각측량을 수행하였다. 해안선은 약최고고조위(AHHWL)에 해당하는 해안선과 wet/dry 흔적에 의한 고조선(HWL)을 도화하였다. 인공적인 해안에서 두 종류의 해안선은 잘 일치하였다. 항공사진 축척, 품질, 지상기준점 선정, 해안선 인식 등 세부적인 차이로 인하여 해안선변화자료는 다양한 오차수준으로 구성되었다. 정성적인 해안선변화 추이를 살펴보는 수준에서 매립 이전 해안선의 적합성은 만족할 만하였다. 본 연구지역에서 매립 이전의 해안선 변화는 대부분이 연안개발로 발생하였다. 항공사진과 연계하여 해안선의 속성을 파악함으로써 해안선 변화에 대한 이해가 가능하였다.

낙동강 하구역 울타리 섬의 해안선 변화율 (Rate of Shoreline Changes for Barrier Islands in Nakdong Estuary)

  • 김백운;김부근;이상룡
    • 한국해안해양공학회지
    • /
    • 제19권4호
    • /
    • pp.361-374
    • /
    • 2007
  • 본 연구는 항공사진을 이용하여 낙동강 하구 울타리 섬의 장기간의 지형 변화를 제시한다. 수치사진측량을 이용하여 모자이크 항공사진을 구축하고 이로부터 1975년부터 2001년까지 6회의 해안선 자료를 산출한다. GIS에 근거한 수치해안선분석시스템을 이용하여 EPR(End Point Rate), JKR(Jackknife Rate) 및 LRR(Linear Regression Rate)와 같은 3 종류의 해안선 변화율을 산정한다. 신자도와 도요등에서 매우 현격한 변화가 나타났다. 신자도의 서쪽 부분은 바다 쪽으로 전진한 반면 동쪽 부분은 육지 쪽으로 후퇴하였으며, 이 결과 섬이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한 것처럼 보인다. 양쪽 끝 부분에서 해안선 변화율은 20 m/yr에 달한다. 도요등은 1993년에 백합등 전면에 새롭게 출현하였으며 40 m/yr의 해안선 변화율로 전진하였다. 해안선 변화율은 울타리 섬 내에서뿐만 아니라 울타리 섬 간에도 차이가 있으며, 동쪽으로 가면서 증가하는 경향을 보인다. 이러한 해안선 변화율의 공간적인 변동성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연안개발이 수리역학과 퇴적작용에 미치는 영향을 상세히 조사할 필요가 있다.

부산 송도해수욕장의 해안선변화 특성 분석 (Characteristic Analysys of Songdo Beach, Busan, Shoreline Changes)

  • 김명규;윤종성
    • 한국해양공학회지
    • /
    • 제24권1호
    • /
    • pp.53-59
    • /
    • 2010
  • In this study, an investigation of the shoreline changes at Song-do beach in Busan was carried out for a coastal improvement project to prevent damage from coastal disasters. From the results of the observed data, it is seen that the shoreline moves seaward under extreme wave conditions and moves leeward under normal wave conditions. The reason for this is wave run-up when wave conditions are extreme in summer. In addition, nourishment sand is moved seaward by wave run-up. Thus, the shoreline's slope is gently decreased. Therefore, the shoreline is moved seaward.

측지학적 특성에 의한 해안선 변화 예측을 위한 개략적 수치모델 (The Implicit Numerical Model for Predicting of Shoreline Changes by the Geodetic Characteristics)

  • 양인태;윤영훈;최창혁
    • 산업기술연구
    • /
    • 제9권
    • /
    • pp.3-19
    • /
    • 1989
  • Shoreline have been changed from time immemorial continuously, three-quarters of the population of the world live by the sea. It is not too much to say that all of us who live in Han penisular live by coastal zone because we can reach in the beach within only for hours. In this way effectual use and menagement of coastal zone is very importent problems in side of protection of marine resources as well as land use. But it has problems which change of shoreline have to be surveyed and to be predictived. This study the pattern and characteristics of the East sea coast including investigations of the shoreline changes of the East sea. This report gives a description of the method for implementing the seawall boundary condition in the shoreline change numerical model. Such analytical solutions can provide a simple and economical means to make a quick qualitative evaluation of shoreline response under a wide range of environmental and engineering conditions.

  • PDF

항공사진을 이용한 방포항 인근 해빈의 장기간 해안선 변화 분석 (Analysis on the Long-Term Shoreline Changes for Beaches Near Bangpo Port Using Aerial Imagery)

  • 김백운;윤공현;이창경
    • 대한원격탐사학회지
    • /
    • 제29권5호
    • /
    • pp.477-486
    • /
    • 2013
  • 장기간 해안선 변화 자료의 구축을 통해 해안선의 시 공간적인 변화 양상을 분석하고, 이에 근거하여 해안침식의 향후 경향을 파악하는 일은 연안관리에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한다. 본 연구에서는 수치항공사진을 이용하여 방포항 인근 해안지역의 장기간(1985년 ~ 2009년) 해안선 변화 탐지를 위해 항공삼각측량, 지상기준점측량, 수치도화, 그리고 해안선 변화율을 산정하였다. 그 결과 방포해빈과 꽃지해빈의 해안선은 각각 0.2 m/yr와 최대 0.8 m/yr로 침식된 것으로 파악되었다. 또한 등고선 변화 통하여 꽃지 해빈의 북부지역에서 침식현상이 가장 뚜렷하게 나타났으며 표고 1 m 간격의 등고선은 최대 45 m 후퇴하였음을 알 수 있었다. 이러한 변화는 다양하고 복합적인 요인에 의해 발생할 수 있으며 주된 요인은 1990년대 말에 설치된 해변 옹벽이 해안침식을 일으키는 주요 원인으로서 추정되고 있다.

원격 무인 자동 영상 관측 시스템을 활용한 해안선 변화 관측 및 분석 (Observation and Analysis of Shoreline Changes Using the Remote Unmanned Automatic Camera Monitoring System)

  • 김태림
    • 대한원격탐사학회지
    • /
    • 제19권2호
    • /
    • pp.99-106
    • /
    • 2003
  • 부산 해운대 백사장에 설치된 원격무인 자동 영상 관측시스템에서 관측한 비데오 영상을 이용하여 해안선 변화를 관측하고 분석하였다. 1999년 10월 태풍 바트 기간 중 촬영된 비데오 경사 영상들에 평균영상처리 및 기하 보정 기법을 적용함으로서 파랑과 조석에 의하여 변화되는 해안선의 변화에 대한 정량적인 분석을 시도하였다. 연구 결과 카메라 관측 시스템은 파랑과 조석 등에 의하여 계속적으로 변화하는 해안선을 저비용 고효율로 장기간 관측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