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stimation of Historical Shorelines on a Coastal Reclaimed Land (II) : Shoreline Change Analysis

해안 매립지에서 과거 해안선의 산정 (II): 해안선변화 분석

  • 김백운 (군산대학교 새만금환경연구센터) ;
  • 이창경 (군산대학교 토목공학과)
  • Published : 2009.10.31

Abstract

This study was conducted as a part of investigating pre-reclamation shorelines from aerial photographs to estimate coastal land area at reclaimed lands (Anjeong industrial complex, Myeongji residental complex, and Noksan industrial complex), southeastern coast of Korea. To assess how the shorelines were suitable for the calculation of coastal lands, we constructed shoreline change data. Secondary ground control points were used to accomplish triangulation for old aerial photographs. Two kinds of shorelines were mapped; one was the shoreline based on approximately highest high water level (AHHWL) and the other was the high water line based on wet/dry signiture. These shorelines were consistent at artificial coast. Shoreline change data were built with a variety of levels of error due to detailed differences in the photograph scale, quality of image, type of ground control point and type of shoreline. Thus assessment of the pre-reclamation shorelines at the level of qualitative analysis for the trend of shoreline changes was satisfactory. Most of shoreline changes before reclamation in this study were associated with coastal development. Investigation of shoreline attributes in relation to aerial photographs allowed us to understand the shoreline changes.

본 연구는 우리나라 남동 해안에 위치한 매립지(안정국가산업단지, 명지주거단지 및 녹산국가산업단지)에서 해안빈지 면적 산출을 위하여 항공사진으로부터 매립이전의 해안선을 조사하는 연구의 일환으로 수행되었다. 매립 이전 해안선의 적합성을 평가하고자 해안선변화자료를 구축하였다. 2차적인 지상기준점으로 오래된 항공사진의 항공삼각측량을 수행하였다. 해안선은 약최고고조위(AHHWL)에 해당하는 해안선과 wet/dry 흔적에 의한 고조선(HWL)을 도화하였다. 인공적인 해안에서 두 종류의 해안선은 잘 일치하였다. 항공사진 축척, 품질, 지상기준점 선정, 해안선 인식 등 세부적인 차이로 인하여 해안선변화자료는 다양한 오차수준으로 구성되었다. 정성적인 해안선변화 추이를 살펴보는 수준에서 매립 이전 해안선의 적합성은 만족할 만하였다. 본 연구지역에서 매립 이전의 해안선 변화는 대부분이 연안개발로 발생하였다. 항공사진과 연계하여 해안선의 속성을 파악함으로써 해안선 변화에 대한 이해가 가능하였다.

Keywords

References

  1. 김백운, 김부근, 이상룡 (2005). 낙동강 하구 해안선변화 연구를 위한 모자이크 항공사진의 구축. Ocean and Polar Research, 27(4), 497-507 https://doi.org/10.4217/OPR.2005.27.4.497
  2. 김백운, 김부근, 이상룡 (2007) 낙동강 하구역 울타리 섬의 해안선 변화율. 한국해안.해양공학회지, 19(4), 361-374
  3. 김백운, 이창경 (2009). 해안 매립지에서 과거 해안선의 산정 (I): 항공사진의 이용. 한국해안.해양공학회논문집 21(5), 371-379
  4. 유창일, 윤한삼, 류청로, 이인철 (2006). 해도분석을 통한 낙동강 하구 사주 면적의 시.공간 변화. 한국해양공학회지, 20(6), 54-60
  5. 이창경, 김백운, 김남용 (2007). 항공사진측량에 의한 해안선 변화 조사. 한국지형공간정보학회지, 15(2): 15-23
  6. Horn, D. P. (2002). Mesoscale beach processes. Progress in Physical Geography, 26(2), 271-289 https://doi.org/10.1191/0309133302pp336pr
  7. Leatherman, S. P. (2003). Shoreline change mapping and management along the U.S. east coast. Journal of Coastal Research, SI 38, 5-13
  8. Moor, L. J. (2000). Shoreline mapping techniques. Journal of Coastal Research, 16(1), 111-124
  9. Stauble, D. K. (2003). The use of shoreline change mapping in coastal engineering project assessment. Journal of Coastal Research, SI 38, 178-206
  10. U.S. Army (1971). Report on the national shoreline study. U.S. Army Corps of Engineers, Washington, DC