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hifting Cultivation

검색결과 35건 처리시간 0.032초

사자평 고산습지의 보전대책 (Conservation Measure of Sajapyeong Alpine Wetland)

  • 손명원
    • 한국지역지리학회지
    • /
    • 제17권2호
    • /
    • pp.141-149
    • /
    • 2011
  • 사자평 고산습지는 유역분지 및 기반암의 특성과 화전의 영향을 받아 형성되었다. 사자평 유역분지는 출구가 좁고, 기반양은 많은 암설을 생산하여 사면 아래로 공급한다. 그리고 화전을 위하여 삼림을 제거함으로써 표토의 세립물질이 사전천의 하상에 퇴적되어, 시전천의 유로 주변에 고산습지가 형성되었다 사자평의 습원에는 도로를 따라 우곡이 형성되었는데, 우곡은 습원으로 공급되는 사력물질과 통류의 공급을 차단함으로써 습원을 건조화 시킨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서는 배수로의 수위를 기반암 풍화층의 높이까지 높여 습원으로 통류가흐를 수 있도록 하여야 하며, 배수로의 모양을 자연스러운 불규칙한 형태로 조정하여야 하고 시전천의 하상에 인위적인 방해물을 적치하여 시전천의 하상이 낮아지는 것을 방지하여야 한다.

  • PDF

고해상도 기후시나리오를 이용한 논용수 수요량 및 단위용수량의 기후변화 영향 분석 (The Impacts of Climate Change on Paddy Water Demand and Unit Duty of Water using High-Resolution Climate Scenarios)

  • 유승환;최진용;이상현;오윤경;박나영
    • 한국농공학회논문집
    • /
    • 제54권2호
    • /
    • pp.15-26
    • /
    • 2012
  • For stable and sustainable crop production, understanding the effects of climate changes on agricultural water resources is necessary to minimize the negative effects which might occur due to shifting weather conditions. Although various studies have been carried out in Korea concerning changes in evapotranspiration and irrigation water requirement, the findings are still difficult to utilize fordesigning the demand and unit duty of water, which are the design criteria of irrigation systems. In this study, the impact analysis of climate changes on the paddy water demand and unit duty of water was analyzed based on the high resolution climate change scenarios (specifically under the A1B scenario) provided by the Korea Meteorological Administration. The result of the study indicated that average changes in the paddy water demand in eight irrigation districts were estimated as -2.4 % (2025s), -0.2 % (2055s), and 3.2 % (2085s). The unit duty of water was estimated to increase on an average within 2 % during paddy transplanting season and within 5 % during growing season after transplanting. This result could be utilized for irrigation system design, agricultural water resource development, and rice paddy cultivation policy-making in South Korea.

롤러형 파종기 구동용 직류모터의 회전속도 제어 (Speed Control of DC Motor for Roller Type Seeder)

  • 이중용;김유용;박상래
    • Journal of Biosystems Engineering
    • /
    • 제25권5호
    • /
    • pp.351-358
    • /
    • 2000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develop a speed control system of a DC motor which drove a barley seeder mounted on a combine harvester. Barley seeder mounted on a combine has been known to reduce labor and cost of barley cultivation. However, development of the seeder has been unsuccessful because the combine, a dedicated rice and barley harvester has not enough space and proper power take-off for barley seeder. To develop a barley seeder, small powered motor speed controller was required. A proximity sensor for detecting working speed of the combine and a programmable one board microprocessor was used to develope a control system. Motor parameters and motor constant, relationship between seeding rate, motor speed, groove volumes of a tested roller, torque were measured. The proximity sensor sent a frequency signal to the microprocessor. In laboratory experiments, the excitation voltage of the motor was shown not to be proportional to the size of pulse width (duty ratio). A table transforming frequency signal, that represented for working speed to proper pulse width was developed from seeding rate experiments. However, seeding rate at low frequency signal was not proportional to the working speed. Seeding rate control proportional to the frequency signal was achieved by shifting of the frequency signal.

  • PDF

Solution to promote the Circular Economy in Agriculture in Vietnam for Sustainable Development

  • Thi Huyen Tran;Hoang Tuan Nguyen;Quoc Cuong Nguyen
    • International journal of advanced smart convergence
    • /
    • 제13권2호
    • /
    • pp.276-283
    • /
    • 2024
  • Currently, the overall tendency for green and sustainable economic development is creating a circular economy. In actuality, agricultural output is currently benefiting greatly from the growth of the circular economy. The creation of a circular economy helps address resource scarcity, save the environment, combat climate change, and increase economic efficiency. Vietnam's economy can grow quickly and sustainably by shifting to a circular economy production model. Comparing prior growth techniques to the digital age and implementing circular economic development connected with high technology will be a fantastic opportunity to boost growth efficiency. In actuality, Vietnam currently has a large number of agricultural circular economy models. These are models: Creating and using gas from waste and wastewater in livestock and farming; model combining cultivation, livestock, and aquaculture; agro-forestry model; garden-forest model; Circular model using agricultural by-products as a catalyst or creating other valuable products; model of moderation, linked to reducing the use of growth hormones, veterinary medications, pesticides, and artificial fertilizers in agriculture and animal husbandry. Unfortunately, there have been few studies and applications of the aforementioned models, which has made it difficult to build the agricultural sector sustainably. In this paper, we outline the current situation and propose solutions to develop a circular economy model in agriculture in Vietnam for sustainable development.

최근의 기후변화를 고려한 가을보리 안전재배지대 구분 (Reclassification of Winter Barley Cultivation Zones in Korea Based on Recent Evidences in Climate Change)

  • 심교문;이정택;이양수;김건엽
    • 한국농림기상학회지
    • /
    • 제6권4호
    • /
    • pp.218-234
    • /
    • 2004
  • 근래 지구온난화현상과 더불어 우리나라에 '춥지 않은 겨울' 날씨가 지속됨에 따라 가을보리 안전재배지역의 북상이 논의되고 있다. 본 연구는 '춥지 않은 겨울' 날씨를 보인 1987년부터 2000년까지 14년과 평년 (1971∼2000년)의 평균기온과 최저기온을 바탕으로 새로운 가을보리의 안전재배지대 설정을 시도하였던바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평년(1971∼2000년)의 1월 평균기온의 산술평균값에 의한 겉보리의 안전재배지대는 강화-이천-충주-춘양-고성 지역을, 쌀보리는 천안-금산-문경-안동-속초 지역을, 맥주보리는 광주-장흥-산청-포항-울진 지역을 잇는 선으로 구분되었다. 반면에, '춥지 않은 겨울' 날씨를 보인 14년(1987∼2000년)동안의 기상조건을 기준으로 하였을 때는 가을보리 안전재배지대가 평년기준보다 북상하여, 겉보리는 포천-춘천-원주-양평-춘양 지역을, 쌀보리는 강화-이천-충주-의성-고성 지역을, 맥주보리는 군산-순천-진주-밀양-울진 지역을 잇는 선으로 구분 되었고, 내한성이 가장 강한 품종들(올보리 등)은 인제, 홍천, 태백, 제천지역 등 태백산맥의 인근지역까지도 안전재배가 가능한 것으로 나타났다. 2.평년(1971∼2000년)의 재현기간 10년에 해당하는 1월 평균기온에 의한 겉보리의 안전재배지대는 보령-남원-거창-구미-고성 지역을 잇는 선으로 구분되었고, 쌀보리는 서천-정읍-합천-영덕-속초 지역을 잇는 선으로 구분되었으며, 맥주보리는 부산, 통영, 여수 등 남부해안지역에서만 안전하고, 그 밖의 지역들은 10년에 한번이상 저온이 출현할 위험이 있는 것으로 판단되었다. 반면에 '춥지 않은 겨울' 날씨를 보인 14년 (1987∼2000년) 동안의 기상조건에서는 겉보리는 강화-이천-영주-고성 지역을, 쌀보리는 서산-남원-문경-안동-속초 지역을, 맥주보리는 광주-장흥-사천-울산-울진 지역을 잇는 선으로 구분되었고, 내한성이 가장 강한 품종들(올보리 등)은 강화-원주-충주-춘양-고성 지역을 잇는 선으로 구분되었다.

Response of Soil Microbial Communities to Different Cultivation Systems in Controlled Horticultural Land

  • Lee, You-Seok;Kang, Jeong-Hwa;Choi, Kyeong-Ju;Lee, Seong-Tae;Kim, Eun-Seok;Song, Won-Doo;Lee, Young-Han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44권1호
    • /
    • pp.118-126
    • /
    • 2011
  • Ester-linked fatty acid methyl ester (EL-FAME) profiles were used to describe differences in soil microbial communities influenced by conventional farming system (CFS), and organic farming system (OFS) in controlled horticultural land. Soil physicochemical properties and soil microbial communities were determined in the experimental fields. Higher organic matter content in OFS reduced soil bulk density which in turn increased the soil porosity. Generally, soil chemical properties in OFS were higher than those of CFS, but EC value in OFS was significantly lower than that of CFS. With the exception of Fe content, other macronutrient contents and pH in both farming system decreased with the soil depth. Soil microbial biomass of OFS was approximately 1.3 times in topsoil and 1.8 times in subsoil higher than those of CFS. Lower ratios of cy17:0 to $16:1{\omega}7c$ and cy19:0 to $18:1{\omega}7c$ were found in the CFS soils than the OFS soils, indicating that microbial stress decreased. The ratio of MUFA to SFA was higher in OFS due to organic input to the soil. In principal components analysis (PCA), the first variable accounted for 54.3%, while the second for 27.3%, respectively. The PC1 of the PCA separated the samples from CFS and OFS, while the PC2 of the PCA separated the samples from topsoil and subsoil. EL-FAMEs with the positive eigenvector coefficients for PC1 were cy17: 0 to $16:1{\omega}7c$ ratio, cy19:0 to $18:1{\omega}7c$ ratio, soil pH, soil organic matter, and soil $NO_3$-N content. Our findings suggest that the shifting cy19:0 to $18:1{\omega}7c$ ratio should be considered as potential factors responsible for the clear microbial community differentiation observed between different cultivation systems and soil depth in controlled horticultural land.

남부평야지에서 적미 품종의 이앙시기에 따른 폴리페놀 함량 및 수량변이 (Polyphenol Content and Yield Variation of Red-colored Cultivars Depends on Transplanting Date in Southern Plain Region of Korea)

  • 배현경;오성환;황정동;서종호;김상열;오명규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62권3호
    • /
    • pp.166-171
    • /
    • 2017
  • 본 실험은 적미의 재배에 있어서 고품질 고수량을 위한 적정이앙시기를 구명하기 위해 네 품종의 적미를 재료로 2015~2016년에 밀양에서 실시하였다. 1. 수량구성요소 중 이앙시기 변화에 따라 가장 크게 달라지는 요인은 등숙률이었고 6월 20일 이후 이앙하면 등숙률이 낮아져 현미수량이 하락하였다. 2. 6월 20일에 이앙했을 때 폴리페놀 함량과 현미수량을 종합한 폴리페놀 생산량이 2,341~3,349 g/10a로 가장 높았다. 3. 출수 후 30일간 평균온도가 낮을 수록 폴리페놀 함량은 증가하였으나 일정 수준 이하로 온도가 떨어지면 현미수량이 감소하였기 때문에 $22{\sim}23^{\circ}C$ 정도가 고품질 고수량 적미를 생산하기에 가장 적정한 온도였다. 4. 출수 후 30일간 평균온도가 $22{\sim}23^{\circ}C$가 되는 시점을 최적 출수기로 하고 출수소요적산온도를 $1,660^{\circ}C$로 하여 계산한 최적 이앙시기는 밀양시가 6월 18일~6월 24일 이었다. 경상남도 지역은 6월 중순에서 7월 초순, 경상북도 지역은 6월 초순에서 6월 중하순이 최적 이앙기였다.

공공데이터 생태계 조성을 위한 주요 국가별 정책에 관한 비교 분석 (Comparative Analysis of National Policies for Open Data Government Ecosystem)

  • 송석현;이재용
    • 산업경영시스템학회지
    • /
    • 제41권1호
    • /
    • pp.128-139
    • /
    • 2018
  • As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and Intelligent Information Age came into full-scale, the policy of open government data has become a hot topic for each country. The United States, the United Kingdom, and other countries are shifting policy direction to "creating value" of open government data. Also, in the age of the digital economy where the data market is soaring, open government data is gradually being recognized as a new raw material for new business and start-ups. In addition, Korea ranked first in the OECD open government data evaluation twice in a row, and was highly evaluated in the international evaluation. However, domestic firms are still lacking in qualitative openness of government data, data is dispersed among institutions, lack of public-private data linkage, and development of app-oriented development. This study attempts to analyze major national policies for the creation of a data ecosystem that considers data lifecycle, from production to storage, distribution and utilization of data. First, the target countries were the leading public data countries among the OGP member countries, the USA, the UK, Australia and Canada.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results and comparing Korea's policies, it was concluded that most of Korea is superior in open government data policy. However, improvement of data quality, development of open data portal as an open platform, support for finding various users including apps and web development companies, and cultivation of open government data utilizing personnel are analyzed as policy issues. In addition, the direction of policy for the balanced ecosystem of Korea is presented together.

경북 지역의 연차간 쌀 품질 변이 (Yearly Variation of Rice Quality in Gyeoungbuk Province)

  • 원종건;이선형;최장수;박상구;안덕종;박소득;손재근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50권spc1호
    • /
    • pp.69-76
    • /
    • 2005
  • 경북지역의 연차, 품종, 이앙시기, 질소 시비량에 있어서 쌀 품질의 변이를 분석하여 고품질 쌀 생산을 위한 최적 기술 투입을 위한 기초 자료로 사용하기 위해 2002년부터 2004년까지 3년간 시험을 실시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연차 및 지역별 미질 분석에서 식미치와 아밀로즈 함량의 변이계수가 $3.9\~4.3\%$로 낮아 변이가 적었으며, 단백질 함량과 완전미 비율의 변이계수는 $7.9\~12.2\%$로 비교적 높게 나타나 변이가 컸던 것으로 나타났다. 2. 지역별 품종간에 미질 변이에서도 아밀로즈함량과 식미치에서 변이계수가 $2.6\~3.6\%$로 낮았으며, 완전미 비율과 단백질 함량은 $5.4\~7.2\%$로 다소 높았다. 3. 동일 품종에 대한 이앙시기에 따른 쌀의 품질 특성 변이에서는 연차간 및 품종에서와는 달리 단백질 함량의 변이계수가 2.2로 가장 낮았고, 아밀로즈 함량과 완전미 비율에서 $3.1\~3.7$로 다소 낮았지만, 식미치에서는 $5.8\%$로 다소 높아 같은 품종이라도 이앙시기에 따라 식미치의 변화는 큰 것으로 나타났다. 4. 지역간 미질의 변이는 품종 및 이앙기 이동에 따른 변이 보다는 오히려 연차간에 나타나는 변이가 더 크게 나타났으며, 이는 기상의 영향을 많이 받았기 때문인 것으로 사료되었다. 5. 동일 품종에 있어서 질소시비량에 따른 미질관련 형질의 변화와 변이에서는 이화학적 특성 중 아밀로즈 함량은 변이계수가 1.8로 질소질 비료의 영향을 거의 받지 않았던 것으로 나타났고, 질소질 비료를 증시함에 따라 미립내의 단백질 함량은 증가하여 변이계수가 4.4로 그 변이도 컸던 것으로 나타났다. 식미치 또한 단백질 함량과 같은 결과를 보였다. 쌀의 외관상 품위에 있어서는 질소질 비료의 증량에 따라 분상질미의 증가율이 가장 높았다.

TPS-1 배지 및 TYM 배지에서 배양된 질편모충의 생물학적 특성의 변화 (Biological and biochemical modulation of Trichomonas vaginalis KT9 isolate after shifting of culture medium from TPS-1 into TYM)

  • Jae-Sook RYU;Ryung CHOI;So-Young PARK;Hyun PARK;Duk-Young MIN
    • Parasites, Hosts and Diseases
    • /
    • 제36권4호
    • /
    • pp.255-260
    • /
    • 1998
  • 질편모충의 배양배지인 Diamond의 TPS-1 배지에서 3년간 배양한 질편모충 KT9 국내 분리주를 TYM 배지로 옮겨 1년간 배양하고 양쪽 배지에서 자란 질편모충의 증식, 병원성, 영양형의 크기, 단백질 성상 등을 비교하였다. 각 배지 원충의 generation time은 TYM 배지의 원충은 4.5시간이었고 TPS-1 배지의 원충은 7.1시간으로 TYM 배지에서 더 빨리 자랐다. TYM 배지에서 자란 원충의 크기가 TPS-1 배지에서의 영양형에 비해 유의하게 작았다. TYM 배지에서 배양한 원충은 10마리 마우스 중 9마리에서 피하 농양을 형성한 반면 TPS-1 배지에서 배양한 원충은 2마리에서 피하 농양을 형성하였고, 농양의 크기도 작았다. SDS-PAGE에서 10개의 단백분획이 공통적으로 관찰되었으며 TYM 배지의 원충에서는 136 kDa, 116 Da 및 40 kDa의 분획이, TPS-1 배지의 원충에서는 100 kDa 분획이 특징적으로 관찰되었다. Gelatin SDS-PAGE에서는 200 kDa과 70 kDa 사이에 10개의 gelatin 분획이 공통적으로 관찰되었으며, TYM 배지에서 배양한 원충이 TPS-1 배지에서 배양한 원충에 비해 gelatin을 많이 분해하였다. Bz-Pro-Phe-Arg-Nan를 기질로 사용하여 단백질분해효소활성을 측정하였는데 TYM 배지에서 배양한 원충의 단백질분해효소활성은 TPS-1 배지에서 배양한 원충에 비해 유의하게 높았다. 이 연구결과 질편모충의 배양에서 TPS-1 배지를 TYM 배지로 전환하였을 때 원충의 크기가 커졌고 단백질분해효소 활성이 증가하며 독력 (병원성)이 증가됨이 관찰되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