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onservation Measure of Sajapyeong Alpine Wetland

사자평 고산습지의 보전대책

  • 손명원 (대구대학교 지리교육과)
  • Received : 2011.02.11
  • Accepted : 2011.04.02
  • Published : 2011.04.30

Abstract

The formation of Sajapyeong Alpine Wetland was influenced by factors of drainage basin and its geology, and fire-shifting cultivation. Sajapycong drainage basin had a narrow outlet, Sijeon-cheon in it flowed relatively slowly. Bedrock in basin was weak to mechanical weathering, many rock detritus were, produced. Deforestation for reclamation using fire accelerated topsoil loss. Thus much sediments was supplied to Sijeon-cheon and deposited in the channel bed, and wetland was formed on channel marginal footslope. In Sajapyeong moor were Gullies formed along road. Because they blocked sediments and throughflow transferring into moor, moor became dry land. In order to prevent this drying, we have, to raise water level of a drain ditch to level of weathered bedrock to transfer throughflow into moor, modify the shape of ditch to be naturally irregular, and construct large boulders step on the Sijeon-cheon bed to prevent from lowering of its bed.

사자평 고산습지는 유역분지 및 기반암의 특성과 화전의 영향을 받아 형성되었다. 사자평 유역분지는 출구가 좁고, 기반양은 많은 암설을 생산하여 사면 아래로 공급한다. 그리고 화전을 위하여 삼림을 제거함으로써 표토의 세립물질이 사전천의 하상에 퇴적되어, 시전천의 유로 주변에 고산습지가 형성되었다 사자평의 습원에는 도로를 따라 우곡이 형성되었는데, 우곡은 습원으로 공급되는 사력물질과 통류의 공급을 차단함으로써 습원을 건조화 시킨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서는 배수로의 수위를 기반암 풍화층의 높이까지 높여 습원으로 통류가흐를 수 있도록 하여야 하며, 배수로의 모양을 자연스러운 불규칙한 형태로 조정하여야 하고 시전천의 하상에 인위적인 방해물을 적치하여 시전천의 하상이 낮아지는 것을 방지하여야 한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