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erious bacterial infection

검색결과 55건 처리시간 0.031초

임플란트 및 골이식술과 관련된 세균감염 (Bacterial infections after implant surgery and alveolar bone graft)

  • 팽준영
    • 대한치과의사협회지
    • /
    • 제53권5호
    • /
    • pp.298-306
    • /
    • 2015
  • Bacterial infection after implant installation or bone graft is a serious complication. Bone grafts represent a temporary foreign body lacking vascularisation and are therefore of increased susceptibility to infection, which may be introduced either intraoperatively or postoperatively. Bone graft-associated infections are due to biofilm formation on the surface of the bone graft and often require removal of the infected bone graft with substantial graft failure. In this review, the implant and graft related infection, the role of biofilm and the management will be discussed.

비특이적 소견을 보이는 3세 이하의 발열 환아에서 세균성 감염의 예측 인자 : 백혈구 수, 적혈구 침강 속도, C-반응성 단백질 (Predictors of Clinically Non Specific Bacterial Infection in Febrile Children Less than 3 Years of Age : WBC, ESR and CRP)

  • 노정아;노영일;양은석;김은영;박영봉;문경래
    • Clinical and Experimental Pediatrics
    • /
    • 제46권8호
    • /
    • pp.758-762
    • /
    • 2003
  • 목 적 : 저자들은 발열을 주소로 입원한 3세 이하의 소아에서 초기 총 백혈구 수, 적혈구 침강 속도, C-반응성 단백질 정량적 검사를 통해 민감도와 특이도가 최대치에 이르는 수치를 차단점으로 선택하여 세균성 감염의 고위험군을 예측하고 항생제 치료의 지표로 삼고자 연구를 하였다. 방 법 : 2001년 6월부터 2002년 6월까지 조선대학교병원 소아과에 발열을 주소로 입원치료 하였던 환아 중 진찰 소견에서 발열에 대한 원인을 발견할 수 없었던 1개월에서 36개월 사이의 71명을 대상으로 하여 후향적으로 조사하였다. 대상 환아들을 세균성 감염과 비세균성 감염으로 분류한 후 각각의 진단 기준의 양성 예측치와 우도비를 계산하고 민감도와 특이도가 최대치에 이르는 수치를 차단점(cut-off point)으로 선택하여 그 수치에서의 민감도와 특이도를 조사하였다. 결 과 : 대상 환아 총 71명(남아 44명, 여아 27명)이고, 평균 연령은 12.7개월이었다. 세균성 감염인 경우는 20례(28%)이었으며, 요로 감염 12례, 세균혈증 5례, 뇌막염 3례 순이었다. 감염균은 E.coli 6례, K.pneumoniae 3례, E. faecalis 3례, Streptococcus ganguinis 3례, Salmonella 2례, S.aureus 1례, Stenotrophomonas maltophilia 1례, Streptococcus constellatus 1례였다. 총 백혈구 수, 적혈구 침강 속도, C-반응성 단백질은 세균성 감염군과 비세균성 감염군간의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0.038, 0.009, 0.002). 양성예측치와 우도비는 총 백혈구 수는 20,000/mm^3$ 이상에서 75%, 7.65이었으며, 적혈구 침강 속도는 30-50 mm/hr에서 60%, 3.83이었다. C-반응성 단백질의 양성 예측치와 우도비는 3-6 mg/dL에서 63%, 4.25이었다. 민감도와 특이도가 최대치에 이르는 수치는 총 백혈구 수 $20,000/mm^3$, 적혈구 침강 속도 30 mm/hr, C-반응성 단백질 3.0 mg/dL이었으며, 이 값에서의 민감도는 각각 75%, 79%, 83%, 특이도는 75%, 68%, 77%이었다. 결 론 : 비특이적 소견을 보이는 3세 이하 발열 환아에서 차단점을 총 백혈구 수 20,000/mm^3$, 적혈구 침강 속도 30 mm/hr, C-반응성 단백질 3.0 mg/dL으로 적용할 때 세균성 감염에서 선택적 치료 방침을 세울 수 있게 되리라 생각된다.

생후 3개월 이하의 발열이 있는 환아에서 세균성 감염의 예측을 위한 저위험 예측기준의 유용성 (Usefulness of Low Risk Criteria for Serious Bacterial Infection Among Febrile Infants Younger than Three Months of Age)

  • 김소현;정지아;김혜순;유은선;손세정;서정완;이승주
    • Clinical and Experimental Pediatrics
    • /
    • 제45권8호
    • /
    • pp.967-972
    • /
    • 2002
  • 목 적 : 생후 3개월 이하의 발열이 있는 환아는 세균성 감염의 가능성이 높으나 임상증상이 뚜렷하지 않기 때문에 입원시켜 패혈증에 대한 전반적인 검사와 배양검사 결과가 나오기 전까지 항생제 투여를 필요로 하게 된다. 저자들은 3개월 이하의 발열이 있는 환아에서 임상증상과 응급검사만을 이용하여 심각한 세균성 감염을 배제할 수 있는 저위험 예측기준을 설정하고, 유용성을 평가하고자 하였다. 방 법 : 1998년 3월부터 2001년 7월까지 $37.4^{\circ}C$ 이상의 발열을 주소로 이화의대 목동병원에 입원한 생후 3개월 이하의 환아 527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각 환아의 입원 기록을 후향적으로 검토하여 저자들의 위험예측기준에 따라 이들을 저위험군과 고위험군으로 분류하였고 심각한 세균성 감염은 혈액, 소변, 뇌척수액에서 균이 배양된 경우와 임상적으로 명백한 세균 감염으로 정의하였다. 위험 예측기준의 민감도, 특이도, 음성 예측치, 양성 예측치를 구하였다. 결 과 : 1) 527명의 대상아 중에서 110명(21.0%)에서 심각한 세균성 감염이 있었다. 본 위험예측기준의 민감도는 93.6%였으며, 저위험군으로 분류된 환아 중 2.7%에서 심각한 세균성 감염이 있어 음성예측치는 97.3% 였다. 2) 고위험군으로 분류된 환아 중 심각한 세균성 감염은 요로감염이 78.6%로 가장 많았고 패혈증 16.5%, 세균성 뇌수막염 8.7%, 그 외 살모넬라 위장염, 골수염, 세균성 고관절염이 각각 1례씩 있었다. 3) 각 월령군간에 민감도와 음성예측치는 차이가 없었다. 결 론 : 3개월 이하의 발열이 주소인 환아에서 저자들의 저위험 예측 기준은 심각한 세균성 감염을 조기에 배제하는데 유용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되나, 저위험군에서도 반드시 추적 관찰이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신생아 발열 환자에서 중증 감염의 예측 인자 (Predictors of Serious Bacterial and Viral Infections among Neonates with Fever)

  • 최의윤;이정수;이정현
    • Neonatal Medicine
    • /
    • 제15권1호
    • /
    • pp.61-66
    • /
    • 2008
  • 목 적 : 본 연구는 발열로 입원한 신생아 중 임상 경과가 불량했던 환자의 특징을 조사하고 입원 후 경과가 양호했던 환자와의 임상증상, 이학적 진찰 소견과 검사 결과를 비교하여 중증 감염의 가능성을 예측하는 척도로 이용할 수 있는지 평가하였다. 방 법 : 2000년부터 2006년까지 입원한 30일 이하의 만삭아 중 액와 체온으로 38$^{\circ}C$ 이상의 발열을 보인 123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산전 위험요인이 있었거나 선천성 기형아, 병원을 방문하기 전까지 항생제를 투여받거나 원내 감염이 의심되는 경우는 제외하였다. 입원기록을 후향적으로 검토하여 진단명과 임상경과를 기준으로 고위험군과 저위험군으로 분류하고 두 군 간에 증상, 진찰 소견 및 검사 결과를 비교하였다. 결 과 : 고위험군에는 30명(24.4%)이 포함되었고 진단명을 빈도순으로 나열하면 무균성 수막염, 요로감염, 세균성 수막염, 감염성 장염, 파종성 혈관내 응고장애를 동반한 패혈증, 균혈증, 폐렴, 연조직 감염, 제대 감염순이었다. 총 백혈구 수의 증가와 혈소판 감소증은 두군 간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으나 C-반응 단백은 그렇지 않았다. 경련, 끙끙거림, 맥박수, 입원 전까지의 발열 일수, 총 발열 기간 및 입원시까지의 최고체온은 고위험군과 저위험군 사이에서 차이가 있었다. 결 론 : 본 저자들은 이전의 보고와 달리 배양검사 양성인 경우 외에도 임상적으로 명확한 패혈증이나 무균성 수막염 환자 등을 고위험군으로 포함시켰다. 그러나 이런 대상 선정의 차이에도 불구하고 두 군은 백혈구의 수의 증가, 혈소판 감소증 및 활력징후의 이상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Characterization of the Pathogenesis Mechanism after Pseudomonas aeruginosa Infection through Food Consumption Using Chick Embryo Model

  • Song, Jin-Soo;Jin, Eun-Jung;Choi, Kyoung-Hee
    • 한국축산식품학회지
    • /
    • 제30권4호
    • /
    • pp.568-574
    • /
    • 2010
  • This study introduced a chick embryos’ infection model to elucidate the pathogenesis mechanism of Pseudomonas aeruginosa, which causes serious diseases in human after ingestion of P. aeruginosa-contaminated animal originated foods. The embryonic chick model is able to give a rapid and relatively inexpensive method to assess bacterial pathogenicity compared to embryos of other vertebrates. Embryos were infected with P. aeruginosa and elastase-deficient P. aeruginosa. After infection with P. aeruginosa cells, total bacterial cell numbers and gelatinase activities in the embryos were compared. Thereafter, precartilage condensation and chondrogenesis were assessed by peanut agglutinin (PNA) binding on day 3 and by Alcian blue staining for sulfated proteoglycans on day 5, respectively. P. aeruginosa significantly increased in embryos, resulting in abnormal limb development, whereas P. aeruginosa defective in elastase activity partly impaired proliferation. In addition, P. aeruginosa-infected chick embryos significantly stimulated the production of matrix metalloproteinases. Several analyses showed that elevated proteases suppressed the proliferation and survival of chondrogenic cells. The results show that this infection model was a useful assay to determine the virulence mechanism of P. aeruginosa in human after intake of microbiologically contaminated foods.

Distribution of Coagulase-Negative Staphylococci and Antibiotic Resistance

  • Park, Heechul;Park, Sung-Bae;Kim, Junseong;Kim, Sunghyun
    • 대한의생명과학회지
    • /
    • 제27권2호
    • /
    • pp.45-50
    • /
    • 2021
  • Coagulase-negative staphylococci (CoNS) are a typical group of microorganisms, and the recent advances in laboratory technology and medicine has dramatically modified their significance in medical practice. CoNS, which were previously classified as normal bacterial flora, have recently been reported to be associated with serious infectious diseases, such as surgical wound infection or periprosthetic joint infection. Representative CoNS include Staphylococcus epidermidis, S. haemolyticus, and S. saprophyticus, which are known to cause serious problems in biomaterial-based and prosthetic device infections, as well as to cause simple urinary tract infections in sexually active women. Over the last decade, the clinical isolation rate of CoNS has been increasing, and antibiotic resistance has also been occurring. This review aimed to investigate the incidence of CoNS infection and to use the results as basic data for the management of CoNS, with a focus on the isolation rate and antibiotic resistance in clinical surgery.

Differentiation between Viral and Urinary Tract Infections Using the Modified Rochester Criteria In Febrile Infants Younger than three Months

  • Kim, Tae Hee;Hwang, Ji Hye;Yi, Dae Yong;Yun, Ki Wook;Lim, In Seok
    • Childhood Kidney Diseases
    • /
    • 제19권2호
    • /
    • pp.118-124
    • /
    • 2015
  • Purpose: The symptoms and signs of urinary tract infection (UTI) in early infancy are non-specific. Prompt diagnosis of UTI is important, as untreated UTI results in renal damage. Especially, febrile UTI in young infants coexist with other serious bacterial infections. The purpose this study was to propose modified Rochester criteria to differentiate viral infection from urinary tract infection. Methods: We carried out a retrospective investigation of 168 infants less than three months old with a tympanic temperature $>38^{\circ}C$ who were admitted to Chung-Ang University Hospital between 2011 and 2014. We compared the symptoms, physical examination results, and laboratory data between viral infection and UTI groups. A modified Rochester criterion was composed of statistically significant factors. Results: A total of 76 and 92 infants with UTI and a viral infection, respectively, were included.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gender, previous admission history, neutrophil ratio, and urine WBC count were found between the two study groups. Using a cut off value of 3 points, the sensitivity and specificity of the modified Rochester criteria were 71.28% and 78.57%, respectively. Conclusion: The modified Rochester criteria may give an outline for identifying young infants with UTI.

Pseudomonas aeruginosa 감염창상에 사용되는 국소제제들의 항균효과 및 창상치유 효과의 비교 (Comparison of Topical Agents for Bactericidal and Wound Healing Effect in Pseudomonas aeruginosa-infected Wound)

  • 민경희;홍성희;김은경
    • Archives of Plastic Surgery
    • /
    • 제34권5호
    • /
    • pp.551-556
    • /
    • 2007
  • Purpose: Pseudomonas aeruginosa is an etiologic agent in serious wound infection. Pseudomonas aeruginosa infection is problematic because this organism is resistant to many antimicrobial drug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mpare the bactericidal effect of commonly used topical agents and their effect on wound healing. Methods: Pseudomonas aeruginosa-infected full-thickness skin defect was developed on the mouse to compare 3 commonly used topical agents-Betadine, 2% Gentamicin solution and 0.3% Acetic acid with the control group. Wound size change, bacterial colony counts and histologic findings of each groups were analyzed. Results: The wound size decreased in all treated groups as compared with the control group. However, there was no statistical difference. Gentamicin solution group was showed the lowest bacterial colony count and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compared with the control group(p=0.032). Other treated groups were also effective against Pseudomonas aeruginosa, but not different statistically. Histologic findings revealed that epithelialization, granulation tissue formation and microvessel proliferation were increased and necrosis and inflammation were decreased in all treated groups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 but not different statistically. Betadine group significantly increased granulation tissue formation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 (p= 0.041). Conclusion: There is no universal topical agent that enhances most aspects of wound healing while simultaneously decreasing the bacterial concentration. However, Gentamicin solution may be an optimal topical agent for Pseudomonas aeruginosa infected wound. Further study should experiment on human with Gentamicin solution to confirm a effect on Pseudomonas aeruginosa infected wound for clinical applications.

불응성 가와사키병 환아에서 infliximab 사용 후 발생한 패혈증 (Gram-negative Septicemia after Infliximab Treatment in an Infant with Refractory Kawasaki Disease)

  • 이진환;윤정민;임재우;고경옥;천은정
    • Pediatric Infection and Vaccine
    • /
    • 제21권3호
    • /
    • pp.225-230
    • /
    • 2014
  • 최근 가와사키병에서 tumor necrosis factor-alpha(TNF-alpha) blocker인 infliximab 단일 정주 요법이 불응성 가와사키병 환자들에게 유용한 치료제로 여겨지고 있다. 장기적인 TNF-alpha blocker 사용이 기회감염의 위험을 증가시킬 수 있지만, 가와사키병 환자들에게 infliximab 사용이 심각한 부작용을 초래하지 않으며 안전하게 사용된 증례들이 보고된 바 있다. 불응성 가와사키병을 앓고 있는 5개월 된 영아에서 infliximab (5 mg/kg) 단일 정주 요법을 사용하였고 가와사키 증상이 호전되었으나 infliximab 치료 후 Acinetobacter lwoffii에 의한 패혈증이 발생하였다. 그래서 저자들은 불응성 가와사키병을 앓은 영아에서 infliximab 치료 후 발생한 패혈증의 첫 사례를 보고하며 infliximab 치료 선택에 있어 기회 감염의 위험성에 대해 고려할 것을 당부하는 바이다.

A Study on the Risk of Occupational Infectious Disease of Police Scientific Investigator (The Bacterial Culture of the Putrefying Dead Body Specimen)

  • Lim, Chae-Won;Kim, Jin-Gak
    • 대한임상검사과학회지
    • /
    • 제45권4호
    • /
    • pp.154-158
    • /
    • 2013
  • The unnatural dead body refers to a corpse which is suspicious of unusual death and the dead case has been occurred more than 20 thousands times every year during the recent five years and most of them are found decayed. Police Scientific Investigators investigate unnatural dead bodies and its surroundings in all-around way and determine whether the death is involved with a crime, and most of the Scientific Investigators are exposed to a danger to get infected with pathogenic bacteria which are generated during the decaying process of dead body and are mostly to cause serious injuries on human beings. In line with the fact, the present study conducted a bacterial analysis by collecting excretions from 60 dead bodies and culturing the bacteria to evaluate infection risk of the police agents. The study cultured bacteria from 60 bodies and classified pathogenic bacteria of 108 strains, and its main bacteria are found to be them (; Acinetobacter baumannii 20 strains (19%), Pseudomonas aeruginosa 19 strains (18%), E. coli 18 strains (17%), Klebsiella pneumoniae 11 strains (10%), Proteus mirabillis 10 strains (9%), Enterococcus faecium 10 strains (9%), Staphylococcus aureus 9 strains (8%), Bacillus spp. 5 strains (5%), Streptococcus pneumoniae 3 strains (3%), Candida albicans 2 strains (2%), Mycobacterium tuberculosis 1 strains (1%)). The study results are expected to be used as educational data for preventing the Police Scientific Investigator from infections with bacteria or as a minimum data for improving work environment of the agents.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