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redictors of Serious Bacterial and Viral Infections among Neonates with Fever

신생아 발열 환자에서 중증 감염의 예측 인자

  • Choi, Ui-Yoon (Department of Pediatrics, College of Medicine, The Catholic University) ;
  • Lee, Jung-Soo (Department of Rehabilitation Medicine, College of Medicine, The Catholic University) ;
  • Lee, Jung-Hyun (Department of Pediatrics, College of Medicine, The Catholic University)
  • 최의윤 (가톨릭대학교 의과대학 소아과학교실) ;
  • 이정수 (가톨릭대학교 의과대학 재활의학과교실) ;
  • 이정현 (가톨릭대학교 의과대학 소아과학교실)
  • Published : 2008.05.31

Abstract

Purpose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scribe the epidemiologic features of febrile illnesses in newborns and to predict the risk of serious infections in this population. Methods : A retrospective study was conducted on 123 full-term infants <30 days of age with an axillary temperature >38$^{\circ}C$ who were hospitalized between 2000 and 2006. Neonates with prenatal risk factors, congenital anomalies, antibiotic administration prior to admission to the hospital, or suspected hospital-acquired infections were excluded. We evaluated the symptoms, physical examination findings, laboratory data, and clinical course between the high- and low-risk groups for serious infections. Results : The high-risk group included 30 infants with the following diagnoses in order of frequency: aseptic meningitis, urinary tract infection, bacterial meningitis, infectious enteritis, sepsis concomitant with disseminated intravascular coagulopathy, bacteremia, pneumonia, cellulitis, and omphalitis. Leukocytosis and thrombocytopenia were statistically different between the two groups. Factors, such as moaning signs, seizures, body temperature, and pulse rat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Conclusion : Unlike previous studies, we included newborns with clinical bacterial infections and aseptic meningitis as the high-risk group. Leukocytosis, thrombocytopenia, moaning signs, seizures, and changes in vital signs were considered useful predictors for identifying febrile neonates at high-risk for serious infections in spite of a difference in the definition of serious infection.

목 적 : 본 연구는 발열로 입원한 신생아 중 임상 경과가 불량했던 환자의 특징을 조사하고 입원 후 경과가 양호했던 환자와의 임상증상, 이학적 진찰 소견과 검사 결과를 비교하여 중증 감염의 가능성을 예측하는 척도로 이용할 수 있는지 평가하였다. 방 법 : 2000년부터 2006년까지 입원한 30일 이하의 만삭아 중 액와 체온으로 38$^{\circ}C$ 이상의 발열을 보인 123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산전 위험요인이 있었거나 선천성 기형아, 병원을 방문하기 전까지 항생제를 투여받거나 원내 감염이 의심되는 경우는 제외하였다. 입원기록을 후향적으로 검토하여 진단명과 임상경과를 기준으로 고위험군과 저위험군으로 분류하고 두 군 간에 증상, 진찰 소견 및 검사 결과를 비교하였다. 결 과 : 고위험군에는 30명(24.4%)이 포함되었고 진단명을 빈도순으로 나열하면 무균성 수막염, 요로감염, 세균성 수막염, 감염성 장염, 파종성 혈관내 응고장애를 동반한 패혈증, 균혈증, 폐렴, 연조직 감염, 제대 감염순이었다. 총 백혈구 수의 증가와 혈소판 감소증은 두군 간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으나 C-반응 단백은 그렇지 않았다. 경련, 끙끙거림, 맥박수, 입원 전까지의 발열 일수, 총 발열 기간 및 입원시까지의 최고체온은 고위험군과 저위험군 사이에서 차이가 있었다. 결 론 : 본 저자들은 이전의 보고와 달리 배양검사 양성인 경우 외에도 임상적으로 명확한 패혈증이나 무균성 수막염 환자 등을 고위험군으로 포함시켰다. 그러나 이런 대상 선정의 차이에도 불구하고 두 군은 백혈구의 수의 증가, 혈소판 감소증 및 활력징후의 이상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