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ensory Integration Therapy

검색결과 284건 처리시간 0.026초

초등학교 고학년 학생의 장애아동에 대한 인식 조사 (A Survey on the Attitude of Grade-schoolers Without Disabilities Toward Children With Disabilities)

  • 김보람;김호영;손유라;오진주;윤슬기;이효정;장문영
    • 대한감각통합치료학회지
    • /
    • 제9권1호
    • /
    • pp.1-9
    • /
    • 2011
  • 목적 : 초등학교 고학년 학생의 장애아동에 대한 인식을 알아보는 것이다. 연구방법 : 연구 대상은 김해시에 소재한 통합교육을 실시하지 않는 초등학교의 4, 5, 6학년의 비장애 아동이었다. 연구 기간은 2008년 10월 2일부터 10월 17일까지였으며, 설문지를 사용하였다. 설문지의 하위 영역은 사귐, 활 동, 학업 영역의 세 부분으로 각 10문항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SPSS 12.0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결과 : 장애아동에 대한 인식조사 결과 첫째, 성별에 따른 인식은 남학생보다 여학생의 평균 점수가 높았으나 통계 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는 없었다. 둘째, 학년에 따른 인식은 4학년의 평균 점수가 가장 높았고 6학년이 가장 낮았으며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F=3.546, p<0.05). 셋째, 장애인 접촉 유무에 따른 인식은 접촉 경험이 없는 학생이 있는 학생보다 평균점수가 높았으나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는 없었다. 결론 : 비장애학생의 장애아동에 대한 인식은 학년에 따라 차이가 있었다. 본 연구는 작업치료사들에게 장애아동에 대한 또래집단의 인식에 대한 정보를 제공함으로써 학교환경에 대한 이해를 도울 수 있을 것이다.

  • PDF

Behavioral Pediatric Feeding Assessment Scale(BPFAS)의 번안 연구 (Validating the Korean Translation of the Behavioral Pediatric Feeding Assessment Scale)

  • 손초록;김경미;감경윤;정혜림
    • 대한감각통합치료학회지
    • /
    • 제18권2호
    • /
    • pp.29-41
    • /
    • 2020
  • 목적 : 본 연구는 Behavioral Pediatric Feeding Assessment Scale(BPFAS)의 국내사용을 위하여 한국어로 번안하고 내용타당도를 검증하였다. 연구방법 : BPFAS를 연구자와 12년차 소아 작업치료사가 각각 번역하여 현재 평가도구를 가르치거나 평가도구 관련 연구 경험이 있는 작업치료학과 교수 3인을 대상으로 내용 타당도를 검증하였다. 그 후 모국어가 영어이면서 한국어를 구사하는 전문 번역인을 통해 역 번역을 실시하였고, 9개월에서 72개월 사이의 정상발달 아동을 둔 부모 5인을 대상으로 내용 이해도를 검증한 후 수정, 보완하였다. 결과 : 한글판 아동섭식행동평가의 내용 타당도 지수(CVI)는 유창성 영역에서 평균 0.9점, 의미성 영역에서 평균 0.8점, 기술성 영역에서 평균 1점으로 전체 평균은 0.8점 이상이었다. 내용 이해도 점수의 평균은 3~3.8 범위로 전체 평균 3점 이상이었다. 결론 : 한글판 아동섭식행동평가는 아동의 섭식행동, 부모의 감정 및 전략, 섭식문제에 대하여 측정할 수 있는 도구로 내용 타당도를 가진 평가도구이다. 한글판 아동섭식행동평가는 국내 임상 현장과 연구에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는 평가도구로 제안한다.

발달장애를 가진 아동·청소년의 성교육 연구에 대한 체계적 고찰 (A Systematic Review on Sex Education of Children and Adolescent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 조혜진;이혜경;최정실
    • 대한감각통합치료학회지
    • /
    • 제16권3호
    • /
    • pp.50-65
    • /
    • 2018
  • 목적 : 본 연구는 발달장애를 가진 아동 청소년을 위한 성교육의 대상, 기간, 유형, 내용, 교수방법을 체계적으로 분석하여 아동작업치료사에게 성교육에 대한 기초자료와 방향성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연구방법 : 전자 데이터 베이스인 PubMed, EBSCO host(CINAHL Plus with full text), Medline (ProQuest), RISS, KISS를 사용하여 2008년 8월부터 2018년 9월까지 국내외 학회지에 개제된 연구를 대상으로 검색하였다. 주요 용어는 "(Sexual Education OR Sex Education) AND (Disability Disorder OR Autism) AND (Effect OR Effectiveness)"를 해외논문 검색에 사용하였고, 국내논문은 "장애 AND 성교육"으로 검색하여 최종 15편의 연구를 선정하였다. 결과 : 근거의 질적 수준은 대상연구 논문 15편 중 수준 I이 1편, II이 3편, 수준 III이 9편, 수준 IV가 2편이었다. 성교육의 내용으로 '신체와 성장', '대인관계 기술'이 가장 많았으며, 성교육 제공분야는 특수교육, 작업치료 순으로 나타났다. 성교육의 효과는 '성지식'과 '성태도', '문제가 되는 성행동'에 있었다. 결론 : 본 연구는 발달장애를 가진 아동 청소년을 위한 성교육의 내용과 경향, 효과를 고찰하여 작업치료 임상분야에서 실천하기 위한 기초자료로 제시하고자 하였다. 추후에는 성교육 중재를 통한 작업참여 효과 연구, 클라이언트의 성활동에 대한 아동작업치료사의 의식 조사, 성 발달 척도 개발이 필요할 것이다.

국내 아동작업치료 기관별 평가도구 사용 현황 및 실태에 관한 연구 (Current Status and Actual Conditions of the Use of Occupational Therapy Evaluation Tools in Relation to the Type of Therapy Institution)

  • 길영숙;유두한
    • 대한감각통합치료학회지
    • /
    • 제21권1호
    • /
    • pp.47-58
    • /
    • 2023
  • 목적 : 본 연구는 국내 아동 작업치료영역에서 기관별 사용하고 있는 평가도구 사용 현황 및 실태에 대하여 조사하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 본 연구는 국내 아동작업치료사 67명을 대상으로 진행하였다. 설문지구성은 Lee, Hong과 Park(2018)와 Kim(2015)의 연구에서 사용된 설문문항을 아동평가도구 내용에 맞추어 수정·보완하여 사용하였다. 데이터 수집은 편의표본추출방법을 사용하여 3주 동안 Google 설문지를 배포하였다. 연구 분석은 일반적 특성, 평가관련정보, 평가도구 사용현황, 지식수준 및 교육 참여 욕구를 검증하기 위해 기술통계와 빈도분석을 사용하였으며, 평가도구 현황은 t-test를 사용하였다. 기관별 평가도구 사용은 Excel을 통해 분석하였다. 결과 : 기관별 사용하는 평가도구 수는 복지관이 11.1개로 가장 많았고 기관별 평가도구 사용 현황의 경우 대학병원이 Jebsen-Taylor hand function test를 재활병원은 Functional Independence Measure for children을 가장 많이 사용하였으며 의원, 센터, 복지관, 어린이집은 순서 간의 차이는 있으나 Sensory Profile과 임상관찰 사용빈도가 많았다. 평가도구에 대한 지식수준과 교육참여 욕구에 대한 문항에서는 응답자의 30명(44.8%)이 교육을 이수하지 않았으며, 42명(62.7%)이 대체로 자신의 지식수준을 낮게 평가하고 있었다. 매뉴얼 기반에 평가도구 사용의 중요성 질문에 66명(98.6%)이 긍정적인 답변에 응하였고, 66명(98.6%)이 평가도구 전문교육이 필요하다고 응답하였다. 결론 : 본 연구를 통하여 국내 아동작업치료영역 기관별 사용되고 있는 평가도구의 사용 현황 및 실태를 파악할 수 있었으며 이를 통해 기관별 다양한 평가도구 도입 및 다양한 평가도구 교육 마련을 위한 기초적인 근거자료가 될 것으로 기대된다.

A Systematic Review on the Management of Cortical Visual Impairment

  • Myunghwa Oh;Hyunjoong Kim
    • Physical Therapy Rehabilitation Science
    • /
    • 제13권2호
    • /
    • pp.196-204
    • /
    • 2024
  • Objective: Cortical Visual Impairment (CVI) is a leading cause of pediatric blindness and the most common form of pediatric visual disability, particularly prevalent among children with cerebral palsy (CP). This systematic review synthesizes the latest research on various interventions for managing CVI, focusing on studies published in the last decade. Design: A systematic review Methods: A comprehensive search was conducted in March 2024 across several databases including MEDLINE, CINAHL, Embase, and Web of Science. Studies were selected based on inclusion criteria set under the PICOSD framework and were limited to those involving human subjects, published in English, and conducted within the past ten years. The selected studies included randomized controlled trials, observational studies, and case reports focusing on rehabilitation, therapy, and surgical interventions for CVI. Results: Out of 221 studies screened, 5 met the inclusion criteria and were reviewed in detail. These studies covered a range of interventions including physiotherapy, sensory integration training, visual training programs, neuromotor rehabilitation, and surgical procedures aimed at improving visual function and overall quality of life for CVI patients. Conclusions: The studies demonstrate the potential benefits of structured, early intervention programs that incorporate family involvement and are tailored to the unique needs of children with CVI. However, there remains a significant need for further research to establish evidence-based practices in this field.

다감각환경중재에 관한 국외 연구의 경향: 체계적 고찰 (The Trend of Overseas Studies on the Intervention of Multisensory Environment: Systemic Review)

  • 조은희;송현은;유두한
    • 대한감각통합치료학회지
    • /
    • 제17권1호
    • /
    • pp.54-64
    • /
    • 2019
  • 목적 : 다감각환경 중재에 관한 효과를 연구한 국외 논문들을 체계적으로 분석하여 임상적용 시 정보를 제공하고, 국내 다감각환경 연구에 도움이 되고자 한다. 연구방법 : 전자 데이터 베이스인 Pubmed, Cochrane, Google scholar을 이용하여 2008년부터 2018년까지의 논문을 검색하였다. 주요 검색어는 'multi-sensory environment', 'snoezelen'을 사용하였다. 최종적으로 10편의 국외논문을 선정하였으며, PICO(Patient, Intervention, Comparison, Outcome)에 따라 정리하였다. 연구결과 : 선정된 10편의 논문 중 치매환자를 대상으로 한 연구가 6편으로 가장 많았고, 그 외에 지적장애, 정신분열증, 임산부를 대상자로 하였다. 연구기간은 3주에서 10개월로, 주 2~3회기의 중재가 대부분이였고, 회기별 중재시간은 30~60분으로 나타났다. 종속변인으로는 불안과 우울과 같은 심리적인 요인과 삶의 질과 같은 사회적 요인, 인지적, 신체적인 영역에서 효과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에서 중재로 사용된 다감각환경은 시각, 청각, 촉각으로 구성되었으며, 그 외의 후각과 미각, 전정감각 등이 추가적으로 제공되었다. 결론 : 앞으로 국내에서는 다감각환경 중재에 대해 관심을 가지고, 다양한 대상군 특히, 아동에게 적용해 보는 연구가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장애 청소년의 작업 균형과 시간 사용 만족감에 관한 연구 (Occupational Balance and Time Use Satisfaction of Adolescents With Disabilities)

  • 박아름;차태현
    • 대한감각통합치료학회지
    • /
    • 제18권1호
    • /
    • pp.44-55
    • /
    • 2020
  • 목적 : 본 연구에서는 통계청의 '2014년 생활시간 조사' 원자료를 사용하여 장애 청소년의 시간 사용 분석과 작업 유형별 시간 사용에 대한 자기 만족도를 알아보고자 한다. 연구방법 : 통계청에서 추출한 자료를 활용해 10세에서 24세 장애 청소년 84명을 작업치료실행체계-3을 기준으로 6개의 작업 영역으로 재분류했다. 작업 유형은 개인의 시간 사용량을 기준으로 하여 분류하였다. 마지막으로 작업 유형에 따라 시간 사용에 대한 자기 만족감을 확인하였다. 결과 : 장애 청소년의 전체 시간 사용량은 휴식과 수면 영역(42.33%)의 시간 사용이 가장 많았고 그 다음 일상 영역(21.69%), 교육 영역(16.44%), 여가 영역(14.15%), 사회참여 영역(3.46%), 놀이 영역(1.93%) 순이었다. 작업 유형을 분석한 결과, 역균형 유형 10.71%, 활동과다 유형 50.00%, 활동과소 유형 28.57%, 균형 유형 10.71% 이었으며, 휴식과 수면 영역, 일상 영역, 교육 영역, 여가 영역에서 유형별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시간 사용 부족감에 대해서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으나 시간 사용 만족감에서는 유형별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특히 균형 유형이 가장 만족한다고 느꼈다. 결론 : 장애 청소년의 시간 사용을 활용한 작업 균형 분석과 시간 사용에 관한 부족감 및 만족감 분석을 통하여 장애 청소년의 삶의 질과 건강을 증진 시킬 수 있는 중재 활동의 기초 자료로 제공하고자 한다.

발달장애아동의 일상생활 수행능력이 부모의 부담감과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Patent's Burden and Quality of Life on the Daily Performance Ability of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 이인영;이재신;차태현;유두한
    • 대한감각통합치료학회지
    • /
    • 제18권1호
    • /
    • pp.1-12
    • /
    • 2020
  • 목적 : 본 연구에서는 발달장애아동의 일상생활 수행능력이 부모의 부담감 및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서 확인하고자 한다. 연구방법 : 충청 및 전라지역에서 발달장애아동의 부모 120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발달장애아동의 일상생활 수행능력을 측정하기 위해 소아장애 평가도구를 사용하였고, 부모의 부담감은 가족부담감 측정도구와 삶의 질은 삶의 질 척도로 설문을 실시하였다. 수집된 자료를 바탕으로 발달장애아동의 일상생활수행능력이 부모의 부담감과 삶에 질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고자 독립표본 t-검정, 일원배치분산분석, 피어슨 상관 분석과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결과 : 발달장애아동의 일상생활 수행능력은 부모의 부담감과 음의 상관관계를 보였고, 부모의 삶의 질과는 양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발달장애아동의 대소변 조절과 위생관리는 부모의 부담감에 중요한 영향을 주었으며, 발달장애아동의 위생관리, 화장실이용, 대소변조절은 부모의 삶의 질에 중요한 영향을 주었다. 결론 : 발달장애아동의 일상생활 수행능력은 부모의 부담감과 삶의 질에 주요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부모의 부담감 감소와 삶의 질 증진을 위해 발달장애아동의 일상생활에 대한 치료적 중재와 교육, 면담 프로그램이 작업치료사들에 의해서 체계적으로 진행될 필요가 있다.

한글판 Peabody Developmental Motor Scale 2의 타당도와 검사자간 신뢰도 연구 (Study of Validity and Interrater Reliability of Korean Version of the Peabody Developmental Motor Scale 2)

  • 이지호;김경미;장문영;홍은경
    • 대한감각통합치료학회지
    • /
    • 제17권3호
    • /
    • pp.14-25
    • /
    • 2019
  • 목적 : 본 연구는 Peabody Developmental Motor Scale 2(PDMS-2)의 국내사용을 위하여 번역연구와 검사자간 신뢰도 및 동시타당도를 검증하는 것이다. 연구방법 : PDMS-2의 번역연구는 2명의 작업치료사가 각각 번역하여, 3명의 작업치료학과 교수를 통해 번역 내용타당도를 검증하였다. 그 후 임상 작업치료사 5명을 대상으로 내용이해도 검증을 받아 수정보완 후 한글판 PDMS-2를 제시 하였다. 일반 아동 50명을 대상으로 검사자간 신뢰도는 두 작업치료사가 한글판 PDMS-2를 각각 평가하여 검사자간 신뢰도를 측정하였고, 동시타당도는 한글판 PDMS-2와 한국판 Bruininks-Oseretsky Test of Motor Proficiency-2(BOT-2)를 사용하여 검증하였다. 결과 : 연구결과 번역에 대한 내용일치도는 평균3.45점으로 일치하였고, 내용이해도는 평균 3.69점으로 높은 이해도를 보였다. 검사자간 신뢰도는 급내상관계수의 범위가 .941에서 .994로 나타났다. 동시타당도는 상관계수 r값이 항목에 따라 .951-.651으로 통계적 유의미한 상관관계를 보였다. 결론 : 한글판 PDMS-2는 아동의 운동기능을 평가하는 도구로서 높은 신뢰도와 타당도를 가진 것으로 나타났다. 한글판 PDMS-2는 아동의 운동기능 평가와 치료의 효과를 측정하는 도구로 사용가능하며, 치료의 중재나 목표 설정과 교육 및 연구를 위해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한글판 Peabody Developmental Motor Scales-second edition (PDMS-2)의 구성타당도와 검사-재검사 신뢰도 (Study of Construct Validity and Test-Retest Reliability of the Korean Version Peabody Developmental Motor Scales-Second Edition (PDMS-2))

  • 김보람;김경미;장문영;홍은경
    • 대한감각통합치료학회지
    • /
    • 제19권3호
    • /
    • pp.32-43
    • /
    • 2021
  • 목적 : 본 연구는 한글판 PDMS-2(Peabody Developmental Motor Scale-2)를 뇌성마비 아동과 일반아동을 대상으로 평가하여 구성타당도를 검증하고 뇌성마비 아동 10명을 대상으로 재평가하여 검사-재검사 신뢰도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 구성타당도 검증은 뇌성마비 아동과 일반아동 84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일반아동은 뇌성마비 아동과 연령이 6개월 이내로 비슷하고 성별이 일치하는 아동으로 매칭하여 선별하였고, 한글판 PDMS-2평가를 실시하여 두 집단의 표준점수 비교를 통해 구성타당도 검증을 하였다. 이 후 뇌성마비 아동 중 10명을 선정하여 2주 뒤 재평가를 실시하여 검사-재검사 신뢰도를 알아보았다. 결과 : 구성타당도 검증 결과 대근육, 소근육 영역별 점수와 하위 다섯 항목의 점수가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나타났다(p=.000). 검사-재검사 신뢰도는 Pearson 상관계수 .989로 매우 높은 수준의 시간적 안정성을 나타냈다. 결론 : 본 연구를 통해 한글판 PDMS-2는 아동의 운동 발달 수준을 알아보기에 높은 신뢰도와 타당도를 가진 평가 도구임을 확인하였다. 추후 한글판 PDMS-2는 국내 임상 현장과 연구 도구로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