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elf-regulatory efficacy

검색결과 41건 처리시간 0.028초

간호학 임상실습 입문 교육과정(Introduction to Clinical Nursing) 개발과 교육 효과 (The Development and Evaluation of a New Educational Program, Introduction to Clinical Nursing, for Third Year Nursing Students)

  • 송경애;박현정;염혜아;이종은;주가을;김희주
    • 기본간호학회지
    • /
    • 제19권3호
    • /
    • pp.322-333
    • /
    • 2012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effects of a newly developed Introduction to Clinical Nursing (ICN) program on critical thinking skills, communication competence, self-efficacy, and clinical performance self-confidence in nursing students in their third year. Methods: One group pre-test and post-test design was used with three data collection time points (pre-test, post-test1 and post-test2). Participants were 74 third year nursing students approaching their first clinical practicum. The new program included (a) simulated clinical encounters regarding situations of assessing hospitalized patents and caring for patients with oxygenation needs, (b) objective structured clinical examination of skills, (c) lectures, and (e) field trips. Data were analyzed using paired t-tests. Results: After the ICN course, critical thinking skills(significant only between pretest and post-test2), communication competence, and clinical performance self-confidence improved significantly (p<.05). There was no improvement in the self-efficacy total score but there was significant improvement in the subscale, self-regulatory efficacy. Conclusions: The study results indicate that the ICN course may be effective in increasing critical thinking skills, communication competence, and clinical performance self-confidence in nursing students. However, the effect size was very small and modifications of this program should be considered to develop more cost-effective educational programs.

메타버스를 활용한 교육에 대한 학습자의 기대 - 가치와 자기효능감이 교육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Expectancy-Value and Self-Efficacy on the Satisfaction with Metaverse Learning)

  • 신지희;정동훈
    • 정보화정책
    • /
    • 제29권4호
    • /
    • pp.26-42
    • /
    • 2022
  • 본 연구는 학습자 관점에서 메타버스를 활용한 교육 효과를 알아보기 위해 1) 메타버스 교육플랫폼을 사용하기 전후 수업에 대한 기대와 가치가 충족되었는지를 평가하고, 2) 메타버스 기반의 교육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자기효능감과 기대-가치 변인을 통해 검증하고자 했다. 이를 위해 기대-가치는 학습효과와 소통, 수업관여도, 그리고 학습 태도로 평가했고, 자기효능감은 과제난이도 선호, 자기조절 효능감, 그리고 자신감으로 살펴보았다. 서울시 동북부의 한 대학교에서 메타버스 교육플랫폼을 활용한 교과목을 신청한 대학생 70명을 대상으로 한 연구 결과, 학습자는 메타버스를 사용하기 전에 메타버스 활용 교육에 대한 기대와 가치 평가가 높았으나, 이용 후 모든 것이 충족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교육 만족도 평가 결과, 기대-가치 평가항목은 메타버스 교육 만족도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쳤지만, 학습자의 자기효능감이 높을수록 만족도가 높게 나타나는 경향성이 일부 나타났는데, 자기효능감의 하위요소 중 과제난이도 선호와 자기조절 효능감이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 연구는 메타버스를 활용한 교육이 이제 막 시작하는 상황에서 학습자 중심의 메타버스 기반 교육 평가라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

온라인 과학탐구수업에서 학습자의 수업에 대한 인식이 자기조절전략 활용, 수강지속의사,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Students' Perceptions of Classroom on Self-regulations Strategy Use, Persistent Intention, and Achievement in a Context of Online Science Gifted Education Program)

  • 이성혜;채유정
    • 영재교육연구
    • /
    • 제26권2호
    • /
    • pp.365-387
    • /
    • 2016
  • 본 연구에서는 온라인 과학영재교육에서 중 고등학생의 온라인 수업에 대한 인식이 학습자의 자기조절학습 전략의 활용과 수강지속의사와 학업성취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 대상은 과학탐구중심 온라인 영재교육 과정을 수강한 중학교 1학년~고등학교 2학년 학생 434명이었다. 연구를 위해 수업에 대한 인식 하위변인(흥미, 도전감, 의미, 선택권, 학업적 자기효능감)을 독립변인으로, 인지조절전략(시연 전략, 정교화 전략, 조직화 전략, 초인지 전략)과 행동조절전략(노력관리, 시간관리, 도움활용)을 종속변인으로 하는 중다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또한 수업에 대한 인식 하위변인과 학업성취도와 수강지속의사에 대해 중다회귀 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를 살펴보면, 수업에 대한 인식 하위 변인 중 시연 전략 활용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는 변인은 학업적 자기효능감이었으며, 정교화 전략 활용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는 변인은 도전감과 의미였다. 도전감 인식은 시연 전략 활용과 부적인 관련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수업에 대한 인식 하위 변인 중 시간관리 전략 활용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는 변인은 학업적 자기효능감이었으며, 도움활용 전략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는 변인은 도전감이었다. 수업에 대한 인식 하위요인 중 흥미, 도전감, 의미에 대한 인식이 높을수록 학습자가 후속 강의를 수강하려는 의지가 높게 나타났으며, 도전감에 대한 인식이 높을수록 탐구학습 점수가 높을 가능성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창업교육이 기회인식 및 평가에 미치는 영향: 소상공인을 중심으로 (The Effect of Entrepreneurship Education on Opportunity Recognition and Evaluation: A Focus on Small Business Entrepreneurs)

  • 최민정;박재환
    • 벤처창업연구
    • /
    • 제12권3호
    • /
    • pp.135-146
    • /
    • 2017
  • 가치 있는 기회를 기반으로 한 창업은 국가 경제의 장기적인 성장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 본 연구는 서민경제의 근간을 이루는 소상공인들의 기회형 창업에 대한 정부의 교육적 지원의 개선점과 방향성을 제언하기 위해 현재 소상공인들에게 제공되는 창업교육을 기회형 창업의 관점에서 검증하였다. 본 연구를 위해 정부의 소상공인 창업교육을 수료한 전국의 소상공인들을 대상으로 온라인 설문을 실시하고, 345명의 온라인 설문 데이터를 실증분석에 사용하였다. 연구결과 소상공인들을 위한 창업교육과 지원제도는 창업효능감에 모두 양(+)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창업효능감은 기회인식과 기회평가 역량은 물론 향상초점과 예방초점에도 양(+)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론과 실습교육이 포함된 소상공인 창업교육은 향상초점과 예방초점에 모두 양(+)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소상공인들의 향상초점은 기회인식에는 양(+)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지만 기회평가에는 유의한 영향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소상공인들의 예방초점은 기회인식과 기회평가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에 의하면 현 소상공인 창업교육은 소상공인들의 기회인식과 기회평가 역량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나 소상공인들의 기회형 창업율을 높이기 위해 현 창업교육에 개선이 필요함을 시사한다.

  • PDF

고등학교 학생의 자아효능감과 부모와 대화가 진로성숙도에 미치는 영향: 학교생활 만족 집단과 불만족 집단 간 비교연구 (Effects of high school students' self-efficacy and parent conversation on career maturity: Focusing on the moderating effect between satisfaction and non-satisfaction group)

  • 박상문;김기중;김태철;현병환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22권1호
    • /
    • pp.149-158
    • /
    • 2021
  • 본 연구의 목적은 고등학교 학생의 자아효능감과 부모와의 대화가 진로성숙도에 미치는 영향 관계를 알아보고 자아효능감과 진로성숙도 간 학교생활에 만족하는 학생과 만족하지 않은 두 집단 간의 비교연구를 통해 학교와 선생님이 학교생활에서 학생을 어떻게 지도해야 하는지, 학생들의 진로성숙도를 높이려는 노력과 학생들의 학교생활 만족을 위해 학교들의 진로교육에 대한 시사점을 살펴보는 것이다. 실증분석을 위해 한국직업능력개발원에서 2018년 초 실시한 한국교육고용패널(KEEP II) 조사 Data를 활용하였다. 연구결과, 자아효능감은 진로성숙도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자아효능감은 부모와 대화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부모와의 대화빈도와 내용은 진로성숙도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자아효능감과 부모와 대화 변인이 진로성숙도에 미치는 영향은 학교생활에 만족하는 집단과 만족하지 않는 두 집단 간에 유의미한 조절적 작용(Pairwise T-Test -5.439⁎⁎⁎)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 청소년의 학업동기 발달 (The Development of Academic Motivation Among Korean Adolescents)

  • 김아영
    • 한국심리학회지 : 문화 및 사회문제
    • /
    • 제14권1호_spc
    • /
    • pp.111-134
    • /
    • 2008
  • 이 논문에서는 한국 청소년의 학업동기가 어떤 양상으로 발달하는 가를 탐색하기 위하여 학업동기에 핵심적인 영향을 미치는 지각된 유능감과 자율성 개념을 중심으로 중학생과 고등학생들을 대상으로 수행한 경험적 연구 논문들을 검토하였다. 지각된 유능감은 자기효능감 이론과 기대-가치이론, 자기결정성이론에 기초한 연구들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자율성은 내재동기이론의 하나인 자기결정성이론에 기초한 연구들을 대상으로 하였다. 연구들을 종합한 결과, 초등학생시기부터 중학교로 올라가면서 유능감은 감소하다가 고등학교로 가면 약간 증가하거나 변화가 없는 경향을 나타냈다. 자기조절 유형 별로 확인한 자율적 동기 역시 중학생들의 발달 상태가 초등학생에 비해 퇴보된 것과 같은 결과를 보였다. 모든 연령 수준에서 내재동기가 낮고 확인된 조절 동기가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학년이 올라감에 따라 무동기 경향이 높아지는 결과가 나타났음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결과에 대해 논의하고 후속 연구와 교육현장에서 고려해야 할 사항들에 대해 제안하였다.

  • PDF

청소년의 사이버 자기개념,자기효능감, 친구관계, 주관적안녕감과 학업성취도: 인터넷 중독인식집단과 비중독집단의 비교 (Analysis of the self-concept in the cyberspace, self-efficacy, relationship with friends, subjective well-being and academic grade: Comparison of adolescents who are addicted to Internet to non-addicted adolescents)

  • 김의철;박영신;탁수연;김정희;오미선
    • 한국심리학회지 : 문화 및 사회문제
    • /
    • 제19권2호
    • /
    • pp.285-318
    • /
    • 2013
  • 이 연구에서는 청소년 인터넷 중독인식집단의 사이버 자기개념과 인간관계, 심리 행동특성을 이해하는데 주된 관심이 있다. 이를 위해 인터넷 중독인식집단과 비중독집단의 사이버 자기개념, 자기효능감, 친구관계, 주관적안녕감 및 학업성취도의 차이를 비교하였다. 최종 분석대상 수는 1,057명(남 545명, 여 512명)이었으며, 학교별로는 중학생 326명, 일반계 고등학생 361명, 특성화 고등학생 370명이었다. 분석결과, 첫째, 사이버공간에 있을 때 자기인식에 대해 질적 분석을 한 결과, 인터넷 중독인식집단은 재미있다가 가장 높은 반응률을 나타내고 그 다음으로 평소와 같다, 시간을 보낸다, 가상인물이 된다 등의 순서를 보였다. 반면에 인터넷 비중독집단은 평소와 같다가 가장 높은 반응률을 나타내고, 그 다음으로 재미있다, 시간을 보낸다, 가상인물이 된다 등의 순서를 나타내었다. 인터넷에서 게임할 때 자기인식으로는 인터넷 중독인식집단과 비중독집단 모두 재미있다를 가장 많이 지적하였는데, 응답자의 반수가 이에 해당하였다. 그 다음으로 몰입한다, 거칠어진다와 같은 범주들이 포함되었다. 둘째, 인터넷 중독인식집단과 비중독집단의 자기효능감 차이를 공변량분석한 결과, 비중독집단이 중독인식집단보다 자기조절학습효능감, 관계효능감, 어려움극복효능감이 더 높았다. 셋째, 인터넷 중독인식집단과 비중독집단의 친구관계 차이를 공변량분석한 결과, 친한 친구 수와 가까운 친구 수에서 모두 의미있는 차이가 없었다. 그러나 비중독집단은 중독인식집단보다 친구로부터 정서적 지원을 더 많이 받았고, 반면에 따돌림을 적게 경험하였다. 넷째, 인터넷 중독인식집단과 비중독집단의 주관적안녕감 차이를 공변량분석한 결과, 비중독집단이 중독인식집단보다 훨씬 주관적안녕감이 높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다섯째, 인터넷 중독인식집단과 비중독집단의 학업성취도 차이를 공변량분석한 결과, 비중독집단이 중독인식집단보다 객관적 성적만이 아니라 주관적 성취지각에서도 높은 학업성취도를 나타내었다.

  • PDF

혁신 서비스 이용 결정이 위험회피 성향 소비자의 선택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the decision to use innovative services on the choice of consumers with a risk-averse tendency)

  • 박기경
    • 서비스연구
    • /
    • 제13권2호
    • /
    • pp.146-160
    • /
    • 2023
  • 코로나 19로 인하여 비대면 서비스가 확산되면서 소비자의 구매행동에는 많은 변화가 일어나고, 여러 새로운 서비스도 주목받고 있다. 이렇게 갑작스레 변화된 환경으로 새로운 서비스를 경험하는 시도가 소비자의 기존 선택 행동의 형태를 변화시킬 수도 있을까? 특히 변화를 두려워하고 기존의 선택 경향을 고수하려는 소비자의 행동까지도 변화시킬 수 있다면 혁신 서비스 개발은 예상보다 더 많은 잠재 소비자를 획득할 수 있게 될 것이다. 이에 본 연구는 팬데믹 이후 나타난 언택트 서비스 중 하나인 무인 결제 서비스를 대상으로 혁신 서비스 이용 시도가 위험회피 성향을 가진 소비자의 기존 선택 행동에 변화, 즉 안전대안보다 위험대안을 선호할 가능성을 높이는지 살펴보고자 하였다. 탐색조사 결과에 따르면, 평소 위험회피 성향이 강할수록 혁신 서비스 사용에 대한 자기효능감은 낮아지는 부(-)의 관계가 나타났다. 이러한 조사 결과를 바탕으로 연구는 실험법을 사용하여 혁신 서비스 이용 여부와 소비자의 조절초점 간 상호작용과 심리적 기제를 함께 살펴보고자 하였다. 분석 결과에 따르면, 예방초점 소비자는 무인 결제 서비스 이용을 시도하는 조건에서 이용하지 않은 조건에 비하여 고위험 금융상품과 비유사 확장 브랜드에 대한 높은 선택가능성을 보였다. 이에 반하여 향상초점 소비자는 무인 결제 서비스 이용 시도 여부에 따른 차별된 선택 가능성을 보이지 않았다. 나아가 예방초점 소비자에게 나타난 이러한 선택 변화는 혁신 서비스에 대한 자기효능감이 심리적 기제로 작동하고 있음이 확인되었다. 본 연구는 새로운 행동을 시도하는데 주저함이 많다고 알려진 위험회피 성향의 소비자의 행동 변화 조건을 밝혀 혁신 서비스의 잠재적 소비자층을 발견하고, 관련 시장의 확장 가능성을 보여주었다는 점에서 실무 및 학문적 시사점을 제안하였다.

뉴로피드백 훈련이 Attention-Deficit Hyperactivity Disorder 아동의 실행기능에 미치는 영향 (The Treatment Effect of Neurofeedback Training on Executive Function in Attention-Deficit Hyperactivity Disorder)

  • 윤석민;곽영숙
    • Journal of the Korean Academy of Child and Adolescent Psychiatry
    • /
    • 제26권1호
    • /
    • pp.45-51
    • /
    • 2015
  • Objectives : Children with attention-deficit hyperactivity disorder (ADHD) have been shown to display more inhibitory deficits and executive function deficits. This study investigated the treatment effects of neurofeedback (NF) training on executive function by comparing the results of neuropsychological tests of the trained children at pre- and post-training. Methods : Fifteen children with ADHD, aged 6 to 14 years, participated in the study. The NF treatment consisted of slow cortical potential (SCP) training and these sessions took place once a week. The ADHD children performed 20 sessions of NF training within 6 months. Pre-training and post-training assessments encompassed Continuous Performance Test (CPT), Stroop Test, Children's Color Trails Test I&II (CCTT) and Wisconsin Card Sorting Test (WCST). Results : Patients receiving NF training showed significant improvement in visual commission error and standard deviation of auditory response time on CPT ; and total errors on WCST. But there was no significant improvement in the Stroop test and CCTT. Conclusion : SCP training using NF improves the self-regulatory capacities and impulsivity in ADHD patient, especially impulsivity in visual stimulation tasks. This study showed evidence of clinical efficacy of NF on executive function in ADHD.

의약품 허가외사용 관리 체계 발전 방안 (Development of Regulation System for Off-Label Drug Use)

  • 이인향;서미경;이영숙;계승희;김현아;이숙향
    • 약학회지
    • /
    • 제58권2호
    • /
    • pp.112-124
    • /
    • 2014
  • This study aimed to develop a regulation system for off-label drug use to secure the safe use of marketed drugs. We searched governmental documents for national and global regulating systems of off-label drug uses and a body of academic literature to explore current regulating trends. We included European Union, United Kingdom, United States of America, Australia and Japan, and critically reviewed the regulation of off-label drug use in four issues, which were a regulatory structure, safety control before and after off-label use, and information management. The findings of the present investigation called for several measures in off-label drug uses: enhancing prescribers' self-regulation, providing up-to-date information to prescribers for evidence-based practice and to patients for their informed consent, making evidence with scientific rigor, building an official registering process for off-label use in good quality and extending the role of pharmaceutical industry in pharmacovigilance. At last, we proposed a new system so as to regulate and evaluate off-label drug uses both at national and institutional level. In the new system, we suggested a clear-cut definition for clinical evidence that applicants would submit. We newly introduced an official 'Off-Label Drug Use Report' to evaluate the safety and clinical efficacy of a given off-label drug use. In addition, we developed an algorism of the regulation of off-label drug use within an institution to help set up the culture of evidence-based practices in off-label drug us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