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elf-regulated Learning Ability

검색결과 61건 처리시간 0.037초

자기조절 학습전략 수준에 따른 정보통신기술 활용수업 모형이 정보활용 실천력에 미치는 효과 (The Effect of the Instructional Models for ICT on the Practical Ability in the Application of Information with Relation to the Levels of Self-Regulated Learning)

  • 강오한;김기남
    • 한국정보과학회논문지:소프트웨어및응용
    • /
    • 제32권4호
    • /
    • pp.327-334
    • /
    • 2005
  • 최근에 정보통신기술(ICT)이 교육과정에서 다양한 내용을 지도하는데 중요한 도구로 등장하였다. 본 논문에서는 자기조절 학습전략 수준에 따른 ICT 활용수업 모형이 정보활용 실천력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였다. 실험집단을 3개로 구성하고 ICT 활용수업 모형인 문제해결학습, 토의학습, 정보탐색학습 수업을 적용하였다. 실험 도구로는 자기조절 학습전략과 정보활용 실천력 설문지를 사용하였으며, 자기조절 학습전략 설문지로 사전검사를 실시하고 정보활용 실천력 설문지로 사전 및 사후 검사를 실시하였다. 실험에서 자기조절 학습전략 수준이 높은 집단이 낮은 집단보다 정보활용 실천력이 높게 나타났으며, 이외에도 다른 훙미로운 결과들이 나타났다.

A Study of the Effects of Learner Characteristics on the Self-Regulated Learning Ability: A Comparison of Korea and China

  • HONG, Zhao;IM, Yeonwook;LI, Chen
    • Educational Technology International
    • /
    • 제17권1호
    • /
    • pp.59-85
    • /
    • 2016
  •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report differences in the effects of learner characteristics on the self-regulated learning (SRL) abilities between Chinese and Korean distance learners by using a structured SRL scale. A standardized 54-item self-regulated learning scale (SRAS) was used. The reliability was tested both in China and Korea which showed the scale had good reliability. The comparative study were conducted by administering the SRAS on 1999 Chinese distance learners from the Open Distance Education Center of Beijing Normal University and 1941 Korean distance learners from H Cyber University. Data on four dimensions of SRL - planning, control, regulating, and evaluation - were analyzed using 't-test' and 'ANOVA' with regards to the learner characteristics such as gender, age, prior education level, semesters, location and major. Results indicated that the average participant had an above medium level of SRL ability in all of the four dimensions.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self-regulated learning ability between Chinese and Korean distance learners. Chinese distance learners scored higher in SRAS than Korean distance learners. The effects of learner characteristics on the SRL ability showed different patterns in the two countries. As for gender, male learners scored better in SRL than female learners in China, whereas it was just the opposite in Korea. No age differences were found in China, but Korean data exhibited a consistent age effect in all dimensions. In Korea, the age group older than 46 scored the highest, followed by the group between 35 to 45 years old, the group between 26 to 35 years old and the group younger than 25. As for location, Korean distance students from metropolitan were better than those from other regions, whereas it was on the contrary in China, albeit the location effect wa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Prior education level had a clear and consistent effect on the SRL ability in both countries: the distance learners from junior colleges had better planning, regulating and evaluating abilities than those who came from senior high schools. These results have been discussed in various contexts of distance/online education as well as in relation to different culture between China and Korea. The results will also have implications for designing distance and online learning generally.

부모의 방임과 아동의 학업성취의 관계 : 자기조절학습능력과 공동체의식의 매개효과 (The Relationship between Parents' Neglect and Children's Academic Achievement : Focusing on the Mediating Effects of Self-Regulated Learning Ability and Sense of Community)

  • 박은정;이유리;이성훈
    • 한국생활과학회지
    • /
    • 제24권6호
    • /
    • pp.755-768
    • /
    • 2015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verify the mediating effects on self-regulated learning ability and sense of community in the relationship between parents' neglect and children's academic achievement. The subjects used in this study were 2,218 6th grade elementary school students from the third wave sample of the 2012 Korean Children and Youth Panel Survey (KCYPS). For data analysis, the three-step mediated regression analysis by Baron and Kenny (1986) was performed and the Sobel test was carried out in order to verify the effectiveness of mediation effects. The main results of the present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 self-regulated learning ability and sub-component factors of achievement value, mastery goal orientation, behavioral control, academic time-management revealed to have a partial mediation effec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parents' neglect and children's academic achievement. Second, the sense of community also showed to have a partial mediation effec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parents' neglect and children's academic achievement. The findings of this study provide a viewpoint to deeply observe the problem of parents' neglect in connection with children's self-regulated learning ability and sense of community, and can be used as practical data to develop various programs for the benefit of improving children's academic achievement.

간호학과 학생과 일반학과 학생의 자기 조절학습 능력과 영어 성취도에 관한 연구 (A Study on self-regulated learning ability and English learning achievement for students majoring in the science of nursing and other major)

  • 신명희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2권9호
    • /
    • pp.3959-3966
    • /
    • 2011
  • 본 연구의 목적은 자기조절학습 능력이 학년별로 유의미한 차이를 가져온다는 결과를 가져온 공과대학 학생들의 자기조절학습능력 수준에 관한 선행연구의 타당성이 다른 대상자에게서도 타당한지를 검증하고자 하는 의도에서 간호학과 학생과 일반학과 학생들의 자기조절학습 능력을 고찰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자기조절학습 능력이 높은 학생이 영어 성취도도 높은지 알아보고자 2010년 3월 10일부터 2010년 6월 10일까지 교양 영어 과목을 수강하는 학생들의 자기조절학습 능력은 어떤 수준인지, 계열 별로 어떤 차이가 있는지 알아보았다. 비슷한 성적의 두 집단을 동일한 조건 하에 온라인과 오프라인 수업을 병행하면서 자기조절학습 능력을 고찰한 결과, 전공 계열에 따른 유의미한 차이를 가져왔고 영어 성취도 역시 유의미한 결과를 가져왔다. 뚜렷한 목표지향성과 학습에 대한 내재적 동기 유발이 잘 되어있는 학생의 경우 스스로 학습할 수 있는 자기조절학습 능력의 훈련이 잘 되어있고 이는 결국 영어 성취도에도 긍정적인 결과를 가져온다는데 의의가 있다.

과학·수학 영재의 다중지능, 자기조절학습능력 및 개인성향의 차이 (Differences among Sciences and Mathematics Gifted Students: Multiple Intelligence, Self-regulated Learning Ability, and Personal Traits)

  • 박미진;서혜애;김동화;김지나;남정희;이상원;김수진
    • 영재교육연구
    • /
    • 제23권5호
    • /
    • pp.697-713
    • /
    • 2013
  • 본 연구는 2011년도 광역시 소재 대학교 부설 과학영재교육원의 수학 및 과학영역별 중학교 1, 2학년 89명을 대상으로 영재의 특성을 조사하는 데 목적을 두었다. 이를 위해 다중지능, 자기조절학습능력, 개인성향 조사지를 실시하였으며, 교과영역별 특징을 분석하였다. 먼저 과학영재와 수학영재 모두 자기이해지능이 강점지능으로 나타났으며 논리수학지능이 약점지능으로 나타났다. 과학영역별로 물리영재와 지구과학영재는 공간지능이 강점지능으로 나타난 반면 화학영재와 생물영재는 자기이해지능이 강점지능으로 나타났다. 자기조절학습능력의 경우, 수학영재와 과학영재는 선행연구결과의 일반학생의 자기조절학습능력보다 높게 나타났으며 교과영역에 상관없이 인지전략과 동기전략이 높은 경향을 보였다. 과학영재와 수학영재의 개인성향은 교과영역에 상관없이 개별 특성이 다양하여 광범하게 분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특정지능에서 강점을 보인 학생들 사이에서도 자기조절학습능력 및 개인성향에서 서로 다른 특성을 보였다. 결론적으로 수학영재는 자기이해지능이, 과학영재에서 물리와 지구과학은 공간지능이, 생물과 화학은 자기이해지능이 강점지능으로 나타나는 특징이외에는 교과영역에 따른 차이보다는 개인별 다중지능, 자기조절학습능력 및 개인성향에서 뚜렷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고찰되었다.

과학 학습을 위한 개별적인 CAI에서 학생들의 인지적.정의적 특성과 개념 이해도의 관계 (Relationships Between Student Cognitive . Affective Characteristics and Conceptual Understanding from Individual CAl for Science Learning)

  • 노태희;김경순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25권7호
    • /
    • pp.728-735
    • /
    • 2005
  • 이 연구는 학생들의 인지적 정의적 특성과 컴퓨터 보조 수업을 한 후의 개념 이해도와 관계를 조사하였다. 장의존-장독립성, 학습 전략, 자기 조절 능력, 시각적 학습 선호도, 성취 목적, 능력에 대한 자아 효능감, 개념 검사를 실시하였다. 학생들에게 컴퓨터 보조 수업을 실시한 후에 '분자의 운동'에 관한 개념 검사를 하였다. 학생들의 개념 이해도는 인지적 특성들 중에서 장의존-장독립성, 학습 전략, 자기 조절 능력, 정의적 특성 중에서는 시각적 학습 선호도, 성취 목적, 능력에 대한 자아 효능감과 CAl에 대한 태도와 유의미한 상관이 있었다. 개념 이해에 관한 인지적 특성들의 중다 회귀 분석 결과, 장의존-장독립성은 가장 유의미한 예언 변인이었다. 자기 조절 능력과 심층적 학습 전략도 유의미한 예언 변인 이었다. 정의적 특성들에 관한 분석 결과에서는 시각적 학습 선호도, 능력에 대한 자아 효능감이 학생들의 개념 이해에 유의미한 예언 변인이었다.

공과대학 학생들의 자기조절 학습능력 수준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Level of Self-regulated Learning Ability for Engineering College Students)

  • 신민희
    • 공학교육연구
    • /
    • 제12권4호
    • /
    • pp.84-92
    • /
    • 2009
  • 본 연구의 목적은 공과대학 학생들의 자기조절 학습능력 수준을 파악하는 것이었다. 자기조절 학습 능력은 도전적인 상황에서 주체적이면서 전략적으로 자신의 학습과정을 관리하고 조절하는 능력으로 평생학습능력을 설명하는 주요한 이론적 근거이자 지표가 된다. 본 연구를 위해 서울에 소재하고 있는 공과중심 대학교(STU) 공과대학 재학생 762명을 대상으로 자기조절학습 능력 측정 도구를 사용하여 설문을 실시하고 SPSS 14.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결과를 분석하였다. 주요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STU 공과대학 학생들의 인지조절, 동기조절, 행동조절 능력 점수의 평균은 각각 3.041, 3.051, 그리고 2.996로 보통의 수준이었다. 둘째, 성별에 따른 자기조절 학습능력의 차이를 살펴본 결과 모든 영역에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셋째, 인증 프로그램 참여 여부에 따른 자기조절 학습 능력의 차이를 분석한 결과 조직화, 초인지, 과제가치 점수에서 심화 프로그램 학생들의 점수가 유의미하게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학년에 따른 자기조절 학습능력의 차이를 살펴본 결과 초인지(4학년>1학년), 내재적 동기(3학년>1학년), 학습환경 관리 점수(4학년>1학년, 3학년>1학년, 2학년>1학년)에서 1학년 보다는 고학년의 점수가 유의미하게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결과 공과대학 학생들에게 전략적으로 학습하는 방법, 학습 동기를 유지하고 높이는 방법 및 자기 관리 하는 방법 등에 대한 교육처치와 훈련 프로그램이 필요하다. 이는 자기조절 학습 능력은 저절로 습득되는 능력이 아니라 훈련이나 교육을 통해 개발되어야 한다는 이전 연구들의 결과를 뒷받침하는 것이다.

전문대학교 물리치료과 학생의 대면수업과 비대면 수업의 수업태도, 수업 만족도 및 자기조절학습능력의 비교 (Comparison of Learning Attitudes, Class Satisfaction and Self-regulated Learning Ability in Face-to-face and Non-face-to-face Classes of College Physical Therapy Students)

  • 정은정
    • 대한물리치료과학회지
    • /
    • 제30권4호
    • /
    • pp.63-70
    • /
    • 2023
  • Background: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mparison of learning attitude, class satisfaction, and self-regulated learning ability of face-to-face and non-face-to-face classes in college physical therapy students to improve the educational effect and quality of non-face-to-face classes when face-to-face classes such as COVID-19 become inevitable in the future. Design: Cross-section study. Methods: This study was conducted with 91 college students, 3rd year students of physical therapy department at a community college in 'A' region, Gyeongsangbuk-do, who took face-to-face classes in the first semester of 2022 and non-face-to-face classes in 2021 of the previous semester. Results: Class attitude was higher in face-to-face classes than in non-face-to-face classes.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class satisfaction between face-to-face and non-face-to-face classes, In self-regulated learning ability, face-to-face classes had a more positive effect on self-regulated learning ability than non-face-to-face classes. Conclusion: This study serves as empirical basic data on the actual condition of non-face-to-face classes compared to face-to-face classes for college physical therapy students, suggests the direction of future research, and improves the quality of non-face-to-face classes in the field of physical therapy, which requires a lot of practice. and hope it will be used for development.

과학영재의 과학문제발견력 관련변인에 대한 구조방정식모형 분석: 과학관련태도와 동기 및 자기조절 학습전략을 중심으로 (An Analysis of Structural Equation Model on the Scientific Problem Finding Ability of the Scientifically Gifted Based on Science Related Attitude, Motivation, and Self-regulation Learning Strategy)

  • 김명숙;한기순
    • 영재교육연구
    • /
    • 제18권1호
    • /
    • pp.23-52
    • /
    • 2008
  • 본 연구는 수도권 대학부설 과학영재교육원에 재학중인 153명의 과학영재를 대상으로 과학문제발견력을 구성하는 학습자요인으로서 과학관련태도와 동기 및 자기조절적 학습전략 변인을 중심으로 가설적 구조모형을 상정하여 구조방정식모형분석을 통해 구조모형을 검증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변인들간의 상관분석 결과, 과학관련태도가 긍정적일수록 자아효능감이나 내재적 가치를 나타내는 동기가 유의미하게 높게 나타났으며, 인지전략의 사용이나 자기조절을 나타내는 자기조절적 학습전략이 높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과학관련태도 중 과학적 태도가 긍정적일수록 과학문제발견력중 창의성관련 범주인 정교성이 높았다. 그러나, 과학관련태도의 다른 하위범주와 과학문제해결력의 다른 하위범주간에는 유의미한 상관을 보이지 않았다. 또한 자기조절적 학습전략은 자기조절적 학습전략이 높을수록 정교성이 높았으며 과학의 탐구동기와 탐구수준과도 정적 관계를 갖고 있음이 확인되었다. 둘째, 과학문제발전력의 구조모형을 검증한 결과, 과학탐구관련 과학문제발견력 구조모형 1과 창의성 관련 과학문제발견력 구조모형 2의 분석결과가 모두 학습자의 정의적 요인인 과학관련태도가 직접적으로 과학문제발견력에 영향을 미치는 것이 아니라 자아효능감과 학습에 대한 내재적 가치의 인식을 갖는 동기요인과 자기조절적 학습전략의 사용을 매개로 하여 과학문제발견력에 영향을 미친다는 것이 확인되었다.

문헌정보학 교육에서 문제기반학습법 적용이 자기조절학습능력 향상에 미치는 효과 - 인지적·동기적 구성요소를 중심으로 - (The Effects of Problem-Based Learning on Self-Regulated Learning Ability in LIS Education: Based on Cognitive and Motivational Components)

  • 이정미
    •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
    • 제47권4호
    • /
    • pp.103-124
    • /
    • 2013
  • 본 연구는 문헌정보학과 교과목에 문제기반학습을 적용한 자기조절학습모형을 설계해 실행한 후 학습자의 인지적 동기적 자기조절학습능력의 변화를 살펴보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연구이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수강생들의 자기조절학습능력의 변화를 사전 사후 동일 검사지로 설문조사하여 살펴보았다. 인지적 동기적 자기조절학습능력은 각각 일반적 영향과 상관관계를 살펴보고 해당 자기조절학습능력의 세부하위요인들의 학습 전 후 변화를 측정하였으며 통계적 유의성은 대응표본 t-test로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문제기반학습법은 학생들의 인지적 동기적 자기조절학습능력의 향상에 효과가 있음을 밝혀냈으며 동기적 자기조절학습능력에 있어서는 후속 연구에 대한 가능성을 발견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