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elf-esteem Improvement Program

검색결과 100건 처리시간 0.026초

음악치료가 만성정신장애인의 자기표현 및 자아존중감 향상에 미치는 효과 (Musical Therapeutic Approch for Improving Self-expression and Self-esteem of Persons with Chronic Mental Disorder)

  • 김계원;정광조;최애나
    • 가정과삶의질연구
    • /
    • 제29권3호
    • /
    • pp.43-57
    • /
    • 2011
  • Chronic mental-handicapped people are lacking in non-verbal expression such as eye contact, intonation, voice volume, facial expression, and gesture as well as the contents of speech, speak with a monotonous voice, fail to be vivid and clear in voice, and have absence of expression, thereby bringing about difficulty even for social adjustment and about low self-esteem. Accordingly,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effectiveness for enhancing self-expression and self-esteem by applying music therapy to the chronic mental-handicapped. The subjects were the chronic mental-handicapped who receive rehabilitation service at the community rehabilitation center, and who have over 10 years in the duration of disease. 1he music therapy activity was progressed with totally 14 sessions during 7 weeks with twice a week. This study confirmed t-test that is verification of difference in the mean, in order to examine difference between before and after music therapy in self-expression and self-esteem of the chronic mental-handicapped, and researched into qualitative case. The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as a result of score in self-expression scale, the significant improvement was shown after music therapy compared to before music therapy. The significant difference was indicated in verbal self-expression, phonetic self-expression, and non-verbal self-expression, which are its sub-spheres. Thus, the conclusion was obtained as saying that music therapy is effective for enhancing self-expression. Second, as a result of score in self-esteem scale, the significant difference was shown after music therapy compared to before music therapy. Thus, the conclusion was obtained as saying that music therapy is effective for enhancing self-esteem. Through the above results, the music therapy showed effectiveness of self-expression ability and self-esteem in the chronic mental-handicapped at the community rehabilitation center, thereby having been confirmed to be possibly utilized as rehabilitation program for the social skill ability and the social adjustment of the chronic mental-handicapped.

여성 환자의 부정적 정서 감소를 위한 패션테라피 적용 (Application of the fashion therapy to reduce negative emotions of female patients)

  • 여은아
    • 복식문화연구
    • /
    • 제23권1호
    • /
    • pp.85-101
    • /
    • 2015
  • In this study, it is explored the effect of fashion therapy on depression, positive emotion, negative emotion, appearance interest, body satisfaction, self-esteem, and self-efficacy of female patients. Eight cancer patients and 12 general patients participated in the 4-week fashion therapy program. When comparing results before and after the fashion therapy, depression and negative emotions were significantly decreased while positive emotions and self-efficacy were significantly increased. There was no significant influence on appearance interest, body satisfaction, self-esteem, and self-efficacy. In group comparison, significant changes were observed in depression, positive emotion and negative emotion regardless of groups. However, cancer patients indicated a significant improvement in self-efficacy compared to general patients who did not whereas patients with a high level of depression showed a significant enhancement on body satisfaction compared to patients with a low level of depression. Also, patients with a low level of pain indicated a significant improvement on self-esteem and self-efficacy compared to patients with a high level of pain. Perceived effect and satisfaction of the fashion therapy were relatively high. Study results may positively contribute to building a knowledge and experimental base of fashion therapy that is widely applicable to diverse parties for the future.

또래관계증진 융합프로그램이 농촌 지역아동센터 이용 아동의 자아존중감 및 사회성에 미치는 효과 (Effects of the Peer Relationship Promotion Convergence Program on Self-esteem and Sociality of Children Using a Rural Community Child Center)

  • 김선희;강문희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6권4호
    • /
    • pp.167-173
    • /
    • 2018
  • 연구의 목적은 또래관계증진 융합프로그램이 농촌 지역아동센터를 이용하는 아동의 자아존중감과 사회성에 미치는 효과를 파악하는 것이다. 본 연구는 비동등성 대조군 전후설계를 이용한 유사 실험연구이다. 본 연구의 대상은 G군에 위치한 5개 지역아동센터를 이용하는 남녀 초등학교 4-6학년 52명이다(실험군=26명, 대조군=26명). 실험군은 주 1회 50분씩 총 12회기 또래관계증진 융합프로그램에 참여하였고, 대조군에게는 사전조사와 사후조사 후 1회 30분씩 총 2회 건강교육을 제공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1.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서술통계, ${\chi}^2$-test, t-test로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 또래관계증진 융합프로그램에 참여 후 실험군은 대조군 보다 자아존중감(t=2.43, p=.018)과 사회성(t=2.03, p=.047)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향상 되었으며, 사회성의 하위영역 중 준법성(t=3.02, p=.004)과 자주성(t=4.42, p=.001)이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본 프로그램은 저소득층 학령기 아동의 자아존중감과 사회성 향상에 효과가 있음을 알 수 있다. 추후 저소득층 아동의 자아존중감과 사회성 향상을 위한 프로그램으로 활용할 것을 권장한다.

소외된 어린이를 위한 독서프로그램 효과 연구 - '도서관과 함께 책읽기 프로그램'을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Effect of Reading Program for Alienation Children: focused on The Reading with Library Program)

  • 조미아
    •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
    • 제44권2호
    • /
    • pp.199-220
    • /
    • 2010
  • 본 연구에서는 국립어린이청소년도서관에서 운영하는 '도서관과 함께 책읽기' 프로그램에 참여한 어린이들의 독서교육의 효과를 파악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2009 도서관과 함께 책읽기' 프로그램에 참여한 46개 기관의 초등학생 590명을 대상으로 자아존중감, 사회성, 독서능력을 측정하고 분석하였다. 또한 설문지 조사를 병행하였다. '도서관과 함께 책읽기' 프로그램을 실시한 결과, 참여기관 46개관 중 42개관(91.3%)에서 자아존중감, 사회성, 독서능력 점수가 향상된 것으로 나타났으며, 통계적으로 분석한 결과 '도서관과 함께 책읽기' 프로그램의 효과가 나타난 도서관은 11개관(23.9%)으로 나타났다.

집단게임놀이치료가 시설보호아동의 정서지능과 자아존중감 향상에 미치는 효과 (The Effects of the Group Game Play Therapy on the Improvement of Emotional Intelligence and Self-Esteem of Institutionalized Children)

  • 석주영;안옥희;박인전
    • 한국생활과학회지
    • /
    • 제15권5호
    • /
    • pp.703-718
    • /
    • 2006
  • This study was designed to examine the effects of the group game play therapy(GGPT) developed for enhancing emotional intelligence and self-esteem of institutionalized children. The participants were fifty-seven institutionalized children, residing in D city. Twenty-seven subjects were assigned to an experimental group in which the GGPT is practiced and thirty subjects were assigned to a control group in which a game play is practiced. Each group participated in a sixteen-session program twice a week during eight weeks. The data were analyzed by a SPSSWIN 10.0 program. ANCOVA and F-test were used to examine the effects of GGPT of the experimental group. The major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ly, the level of subject's emotional intelligence of the experimental group got higher than that of the control group. Secondly, the level of subject's self-esteem of the experimental group got higher than that of the control group.

  • PDF

서예 및 운동 프로그램이 노인의 자아존중감, 스트레스, 삶의 질 및 신체적 건강에 미치는 효과 (The Effects of a Calligraphy and Exercise Program on Korean Elders' Self-esteem, Stress, Quality of Life and Physical Health)

  • 은영;우선혜;김은심;김향숙
    • 지역사회간호학회지
    • /
    • 제19권1호
    • /
    • pp.76-87
    • /
    • 2008
  • Purpose: This study was conduct to develop a calligraphy and exercise program and examine its effects on the self-esteem, stress, qualify of life and physical health of the elderly in a community health post in Korea. Method: The subjects consisted of 43 elders (experimental group: 20, control group: 23) who were attending the program of a community health post. The experimental group participated in the calligraphy and exercise program for 12 weeks (3 times a week, 120 minutes a session). Data were collected before and after the program. Results: 1) The experimental group showed significant improvement in self-esteem and quality of life and significant reduction in stress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 2) The experimental group and the control group we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in muscle strength and flexibility. Conclusion: These results suggest that the calligraphy and exercise program for old adults can improve their psychological health and quality of life.

  • PDF

대통령기록물을 활용한 다문화가정 자녀의 자아존중감 향상을 위한 교육 프로그램 개발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Educational Programs Using the Presidential Archives for the Improvement of the Self-Esteem of Children from Multi-Cultural Families)

  • 김은실;오효정;최민정;김용
    • 한국기록관리학회지
    • /
    • 제17권2호
    • /
    • pp.101-128
    • /
    • 2017
  • 본 연구에서는 소외계층을 위한 프로그램 활성화를 하고자 하는 대통령기록관 비전에 따라 대통령기록물을 활용하여 정보 사회소외계층인 다문화가정 자녀의 자아존중감 향상을 위한 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고자 하였다. 교육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연구방법으로 다문화가정 자녀의 자아존중감 증진에 대한 문헌조사 및 국내외 대통령기록관의 교육 프로그램을 분석하였고, 다문화가정 자녀를 지도한 경험이 있는 교사들을 대상으로 인터뷰와 설문을 하였다. 이를 통해 다문화가정 자녀의 자아존중감 향상을 위한 교육 프로그램 구성을 제안하였다.

세대간 원예활동 프로그램이 노인과 유아의 정서와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the Intergenerational Horticultural Activity Program on Emotion and Self-esteem of the Elderly and Young Children)

  • 이은숙;박현구;김미옥;박천호
    • 원예과학기술지
    • /
    • 제28권3호
    • /
    • pp.484-491
    • /
    • 2010
  • 본 연구는 세대간 원예활동 프로그램이 노인과 유아의 정서와 자아존중감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세대간 원예활동 프로그램 실시 전, 후 노인의 정서를 비교한 결과, 대조군과 실험군 모두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 노인의 자아존중감을 비교한 결과 대조군에서는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지만, 실험군에서는 유의한 차이를 나타냈다($p$<0.01). 세대간 원예활동 프로그램 실시 전, 후 유아의 정서지능을 비교했을 때, 대조군은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으나, 실험군은 유의한 차이를 나타냈다($p$<0.001). 유아의 자아존중감을 비교한 결과 대조군, 실험군 두 집단 모두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 본 연구를 통해 세대간 원예활동 프로그램이 노인의 자아존중감과 유아의 정서지능 향상에 기여할 수 있었다.

집단 독서요법이 초등학생의 자아 존중감에 미치는 효과 (The Effects of Group Bibliotherapy on the Self-Esteem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 오익수;이옥희
    • 초등상담연구
    • /
    • 제8권1호
    • /
    • pp.1-13
    • /
    • 2009
  • 본 연구는 초등학생의 자아존중감을 향상시키기 위한 집단 독서요법을 개발하여 그 효과를 알아보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의 대상은 광주광역시에 소재한 H초등학교 5학년 학생 120 명 중에서 20명을 선정하여 각각 10명씩을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으로 무선 할당하였다. 실험집단에 대한 처치는 1회기 40분씩 총 12회기의 독서요법 집단 상담을 실시하였다. 측정도구로는 Coopersmith(1967)의 자아존중감 척도(self-esteem inventory: SEI)를 장은영(2001)이 번안 수정한 것을 재구성하여 사용하였다. 사전, 사후 검사에서 얻어진 자료의 처리는 공변량 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집단 독서요법을 실시한 실험집단은 통제집단보다 전체 자아존중감에 유의한 향상을 보였다. 둘째, 집단 독서요법을 실시한 실험집단은 통제집단 보다 일반적 자아존중감과 사회적 자아존중감, 가정적 자아존중감에는 유의한 향상을 보였으나, 학업적 자아존중감에는 유의한 향상을 보이지 않았다. 이러한 결과는 집단 독서요법이 초등학생의 자아존중감을 향상시킬 수 있다는 것을 시사한다.

  • PDF

장애인복지관 전문인력들의 임파워먼트와 직무만족의 관계에서 자아존중감의 매개효과 (Mediating Effect of Self-esteem in the Relationship of Empowerment and Job Satisfaction of Specialists in Rehabilitation Centers)

  • 이병록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20권4호
    • /
    • pp.645-649
    • /
    • 2022
  • 본 연구는 장애인복지관 전문인력들을 대상으로 임파워먼트의 직무만족에 대한 영향과 자아존중감의 매개효과를 분석하였다. 대전과 충남에 소재한 14개 장애인복지관의 전문인력 325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진행하였다. 주요 자료분석방법은 확인적 요인분석과 부트스트랩검증이다. 분석결과, 임파워먼트와 직무만족의 관계, 그리고 자아존중감의 매개효과가 검증되었다. 분석결과들을 참고하여 직무만족을 증진하기 위한 방안들을 제안하면 다음과 같다. 전문인력들의 임파워먼트를 증진시키기 위해서 장애인복지관 관장의 긍정적 리더십, 적절한 지원과 전문인력들의 자발적 노력, 셀프리더십의 함양 등이 중요하다. 자아존중감을 향상시키기 위해 자기인식의 개선과 이를 위한 모니터링 프로그램, 동료들과의 원활한 협력체계 구축, 관리자들의 지지적 슈퍼비전 등이 필요하다. 향후 장애인복지관 전문인력의 인적자원관리에 대한 연구들이 적극적으로 진행되어야 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