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소외된 어린이를 위한 독서프로그램 효과 연구 - '도서관과 함께 책읽기 프로그램'을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Effect of Reading Program for Alienation Children: focused on The Reading with Library Program

  • 조미아 (성균관대학교 정보관리연구소)
  • 투고 : 2010.04.19
  • 심사 : 2010.05.03
  • 발행 : 2010.05.30

초록

본 연구에서는 국립어린이청소년도서관에서 운영하는 '도서관과 함께 책읽기' 프로그램에 참여한 어린이들의 독서교육의 효과를 파악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2009 도서관과 함께 책읽기' 프로그램에 참여한 46개 기관의 초등학생 590명을 대상으로 자아존중감, 사회성, 독서능력을 측정하고 분석하였다. 또한 설문지 조사를 병행하였다. '도서관과 함께 책읽기' 프로그램을 실시한 결과, 참여기관 46개관 중 42개관(91.3%)에서 자아존중감, 사회성, 독서능력 점수가 향상된 것으로 나타났으며, 통계적으로 분석한 결과 '도서관과 함께 책읽기' 프로그램의 효과가 나타난 도서관은 11개관(23.9%)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The Reading with Library' program in the national library for Children and Young Adults. For this study, data was collected through surveys with 590 children in 46 institutions that participated in '2009 The Reading with Library'program. The study mainly focused on three factors - Children's Self-Esteem, Sociality, and Reading Ability and Questionnaire surveyed. The study revealed that 42(91.3%) among 46institutions showed improvement in the Children's Self-Esteem, Sociality, and Reading Ability test. As the result, 11 institutions (23.9%) were influenced by the program.

키워드

참고문헌

  1. 교육인적자원부. 2004. 참여복지 5개년 계획(교육복지부문), 참여정부 교육복지 종합계획. 서울: 교육인적자원부.
  2. 권영미. 1999. 방과후 아동지도의 쟁점 고찰. 아동교육, 9(1): 103-119.
  3. 김순희. 2004. 자기성장 프로그램이 저소득층 아동의 자기존중감 및 성취동기에 미치는 영향. 석사학위 논문, 한양대학교 교육대학원.
  4. 김정옥. 2001. 그림책 읽어주기가 장애유아의 사회적 비언어 및 언어 표현에 미치는 효과. 석사학위 논문, 단국대학교 특수교육대학원.
  5. 명창순. 2004. 독서요법을 통한 저소득층 이혼 가정 아동의 친사회성 개발에 관한 연구. 석사학위 논문, 공주대학교 교육대학원.
  6. 민경화. 2000. 빈곤가족아동의 심리사회적 특성에 관한 연구. 석사학위논문, 호남대학교 대학원.
  7. 박미정. 2008. 다문화가정 아동을 위한 독서 지도 교육 방안 연구. 석사학위논문, 경희대학교 교육대학원.
  8. 박지연. 2008. 독서치료가 저소득층 가정 아동의 성격 요인에 미치는 영향. 석사학위 논문, 경기대학교 대체의학대학원.
  9. 방숙은 2009. 동화구연을 활용한 독서요법이 지적장애아동의 사회성 발달에 미치는 영향. 석사학위 논문, 공주대학교 교육대학원.
  10. 안민주. 2005. 결손가정 아동과 정상가정 아동의 성역할 정체감 및 자아존중감 비교 연구. 석사학위 논문, 연세대학교 교육대학원.
  11. 오경준. 2000. 자기성장 집단상담 프로그램이 초등학교 아동의 자기존중감 및 사회성 증진에 미치는 효과. 석사학위 논문,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12. 이남순. 2006. 동시를 활용한 독서치료프로그램이 저소득층 아동의 자아존중감과 자기표현에 미치는 효과. 석사학위 논문, 경성대학교 교육대학원.
  13. 이수향. 2007. 장애아동의 형제를 위한 독서치료가 형제관계와 형제간 상호작용에 미치는 효과. 석사학위 논문, 덕성여자대학교 대학원.
  14. 이지혜. 2003. 저소득층 가정 아동의 자아존중감 증진을 위한 독서치료 효과, 석사학위논문,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15. 이혜영. 2003. 소외계층에 대한 교육적 배려. 교육개발, 138: 50-53.
  16. 조미아. 2006. 창의력과 자기주도적 학습능력에 미치는 독서교육의 영향에 관한 연구. 성균관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7. 조미경. 2003. 시각장애유아의 독서 지도 실태 및 개선 방안. 석사학위 논문, 단국대학교 특수교육대학원.
  18. 조미정. 2009. 독서활동이 다문화 가정 아동의 독해력과 읽기 태도에 미치는 효과. 석사학위 논문, 조선대학교 대학원.
  19. 조효숙. 2007. 독서치료 프로그램이 저소득층 아동의 우울감․자아존중감․정서조절능력에 미치는 효과, 석사학위 논문, 전북대학교 대학원.
  20. 지경희. 2008. 독서상담 프로그램이 저소득층 아동의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효과. 석사학위 논문, 부산교육대학교 대학원
  21. 하영희. 2003. 개인변인과 환경변인이 아동의 문제행동에 미치는 영향. 아동학회지, 24(4): 29-40.
  22. 하정혜. 2004. 독서치료가 자폐성아동의 사회성 발달에 미치는 효과. 석사학위논문, 가톨릭대학교 교육대학원.
  23. 한국교육개발원. 2005. 교육복지투자우선지역 지원 실천사례집. 서울: 한국교육개발원, RM2005-25.
  24. 한복희. 2004. 독서클리닉의 이론과 실제. 서울: 한국도서관협회.
  25. 한윤옥, 조현양, 김수경, 조미아, 이미경. 2008. 다문화가정의 자녀를 위한 도서관의 프로그램 개발연구. 서울: 국립어린이청소년도서관.
  26. 한윤옥, 조미아, 김수경. 2009. 다문화가정을 위한 도서관서비스 현황과 문제점에 대한 연구, 한국문헌정보학회지, 43(1): 135-160. https://doi.org/10.4275/KSLIS.2009.43.1.135
  27. 한윤옥, 김수경, 조미아. 2009. 다문화가정을 위한 도서관서비스 개발과 운영방안에 관한 연구, 한국문헌정보학회지, 43(2): 91-122. https://doi.org/10.4275/KSLIS.2009.43.2.091
  28. Duncan & Brooks. 2000. "Family poverty, welfare reform, and child development." Child Development, 71: 188-196. https://doi.org/10.1111/1467-8624.00133
  29. Garmezy, N. 1993. "Resiliency and vulnerability to adverse developmental outcomes associated with poverty." American Behavior Scientist, 34: 416-430.
  30. Luthar, S.S. 1999. "Annotation: Methodological and conceptual issues in research on childhood resilience." Journal of Child Psychology and Psychiatry, 34: 441-453.

피인용 문헌

  1. The Research of an Analysis of Community Consciousness in Local Area for Developing Reading Contents: Case of G City vol.48, pp.2, 2014, https://doi.org/10.4275/KSLIS.2014.48.2.259
  2. A Study on Developing and Applying a Tool for Measuring Achievements of Reading Programs for Children vol.31, pp.1, 2014, https://doi.org/10.3743/KOSIM.2014.31.1.007
  3. A Study of Identifying Areas to Measure the Effectiveness of Public Library Reading Programs for Children vol.48, pp.2, 2014, https://doi.org/10.4275/KSLIS.2014.48.2.08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