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elf-directed e-learning

검색결과 127건 처리시간 0.026초

자기주도학습을 위한 이러닝 콘텐츠 검색 지원 시스템 설계 (E-Learning Content Search Support System Design for Self-Directed Learning)

  • 용성중;김유두;문일영
    • 실천공학교육논문지
    • /
    • 제12권1호
    • /
    • pp.73-83
    • /
    • 2020
  • 최근 공교육, 사교육, 평생교육, 직업훈련교육 분야에서 지식전달 위주의 주입식 교육방식에서 학습자들이 능동적으로 지식에 대처할 수 있는 자기주도학습에 대해 중요성이 대두되고 있으며, 이는 사회변화에 따라 요구되는 인재상으로 스스로 자아개념, 자신감, 창의성을 발견하고 계발시키는 학습 방법으로 더욱 중요해지고 있다. 하지만 자기주도적 학습에 대한 개념 및 전략 등 다양한 이론적 지식들이 존재하고 있지만, 실제 자기주도학습 운영계획 또는 학습 분야에 따라 학습자가 원하는 학문 분야의 콘텐츠를 손쉽게 제공받는 시스템에 대해 부족한 상황이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학습자가 자기주도적 학습을 위한 다양한 학습 콘텐츠를 제공받기 위해 정보를 획득하고 의미를 정제하여 범주화 할 수 있는 텍스트 마이닝 기법을 활용하여 온라인상에서 학습자가 습득하려고 하는 학문 분야의 다양한 콘텐츠를 제공하는 시스템을 설계하고 활용하는 방안에 대한 연구를 수행하였다.

이러닝 마켓플레이스에서 자기주도학습지원을 위한 추천시스템 (Recommendation system for supporting self-directed learning on e-learning marketplace)

  • 권병일;문남미
    • 한국컴퓨터정보학회논문지
    • /
    • 제15권2호
    • /
    • pp.135-146
    • /
    • 2010
  • 본 논문에서는 이러닝 마켓플레이스에서 자기주도학습지원을 위한 추천시스템을 제안한다. 이 시스템은 마켓플레이스를 지원하기위한 개선된 협업필터링을 이용한 추천시스템이다. 기존의 협업필터링 기법은 입력데이터구성, 최근접 이웃선정을 통한 유사고객 그룹을 형성하고, 추천목록 생성하는 3단계로 구성되었다. 본 연구는 이를 개선하여 산업 수준을 고려한 최근접 이웃 교육과정 선정 단계를 추가한 협업필터링에 사용하여, 자기주도학습을 지원할 수 있는 추천시스템을 설계하였다. 이 서비스는 산업체 학습자에게 보다 정확한 교육과정을 선택할 수 있도록 도와준다. 추천시스템은 다양한 기법을 통해 구축되며, 협업필터링 방식을 사용하여 명시적인 속성이 부여 되어진 콘텐츠를 추천하는 것은, 기존 콘텐츠 추천의 한계를 해결하고자 하였다.

e-Learning에서의 학습환경과 학습자 자기효능감이 학습 유효성에 미치는 영향 (The Influence of Learning Environment and Learners' Self-Efficacy on the Effectiveness in e-Learning)

  • 이웅규;이종기
    • Asia pacific journal of information systems
    • /
    • 제16권1호
    • /
    • pp.1-21
    • /
    • 2006
  • e-Learning can be seen as not only one of Internet-based information technologies which can provide education services but also one of teaching-learning methods which can implement self-directed learning. Thus, for evaluation of e-Learning effectiveness, both information-technology-based learning environment and learners' abilities in self-learning and computer-using should be considered simultaneously. This study suggests a research model for evaluating the effectiveness of e-Learning, which is theoretically based on information systems success model, constructivism and self-efficacy. The model is composed of three parts: effectiveness, learning environment, and learners' self-efficacy. Effectiveness is a part of dependent variables: satisfaction and academic performance. Learning environment and learners' self-efficacy can be considered as two sets of explanation variables for effectiveness. The former consists of learning management system, learning contents, and interactions that are provided bye-Learning and the latter means learners' self-regulated efficacy and computer self-efficacy. We show validity of the model empirically by surveying the college students who have experienced e-Learning. In result, most of all hypotheses suggested in this model are accepted in low significant level.

중등학교 컴퓨터 교과에 대한 자기 주도적 학습 시스템의 개발 (Development of a Self Directed Learning System for the Course 'Computer' in Middle and High Schools)

  • 김흥환;전수정
    • 컴퓨터교육학회논문지
    • /
    • 제8권1호
    • /
    • pp.1-12
    • /
    • 2005
  • 본 논문에서는 최근 학교 교육에서 강조되고 있는 자기 주도적 학습력 신장을 위하여 현행 중등학교 컴퓨터 교과 내용의 문제점은 무엇인지 분석하고, 이러한 분석에 기초하여 자기 주도적 학습력을 신장시키기 위한 컴퓨터 교육 내용을 구체적으로 어떻게 구성되어야 하는지에 대하여 모색하고 자기 주도적 교수-학습 원리에 근거한 웹 컨텐츠를 개발하였다. 이렇게 개발된 웹 컨텐츠를 학습자는 자신의 흥미와 적성에 따라 학습내용을 선정할 수 있고, 스스로 학습목표를 설정하여 학습을 진행해 갈 수 있도록 하였으며 그에 따라 교수자는 학습자에게 학습 과제를 제시함으로써 학습에 대한 참여도를 높일 수 있도록 하였다. 또한 게시판과 Q&A를 통하여 교사나 학생들이 상호 의사교환을 통한 교수-학습 활동을 활발히 진행해 나갈 수 있도록 하였다.

  • PDF

대학생의 e-러닝 학습양식과 성격유형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learning styles in an e-learning and Psychological Types in University Student)

  • 김미영;이자희;최완식
    • 대한공업교육학회지
    • /
    • 제31권2호
    • /
    • pp.332-349
    • /
    • 2006
  • 이 연구에서는 성격유형 검사 도구와 e-러닝 학습양식 도구를 이용하여 대학생의 계열별, 성별, 인터넷 사용량과 e-러닝 학습양식의 관계를 알아보고, e-러닝 학습양식과 성격유형의 관계를 알아보았다. 연구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첫째, 계열별(공과계열, 인문 사회계열, 예 체능계열) 대학생간에 e-러닝 학습양식의 유형은 같다. 대학생들이 주로 사용하는 e-러닝 학습양식은 환경의존적 자기주도 학습형, 적극적 협동 학습형, 독자적 자율 학습형, 소극적 학습형의 순서이다. 둘째, 성별 e-러닝 학습양식은 다르다. 남,녀 모두 환경의존적 자기주도 학습형이 많지만 특히 여학생의 경우 더 높게 나타났으며 남학생은 적극적 협동학습형이 상대적으로 높다. 셋째, 인터넷 사용량에 따른 e-러닝 학습양식의 차이가 없다. 넷째, 성격유형 즉, 외향/내향, 감각/직관, 사고/감정, 판단/인식형에 따른 e-러닝 학습양식의 차이는 없다. 따라서 성격유형은 e-러닝 학습양식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

지역아동센터학생 대상 EBS 동영상을 활용한 자기 주도적 수학학습 사례 연구 (Case Study on self-directed learning of mathematics using EBS contents for students at Child care centers)

  • 박경은;이상구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E:수학교육논문집
    • /
    • 제29권4호
    • /
    • pp.589-623
    • /
    • 2015
  • 본 연구에서는 지역아동센터라는 경제적 빈곤과 교육의 사각지대에 놓인 저소득층 아동 청소년의 자기 주도적 수학학습 능력을 함양하기 위한 방법으로 EBS 콘텐츠의 활용이 저소득층 아동 청소년의 자기 주도적 수학학습 능력을 함양하는데 어떻게 영향을 주는가를 알아본다. EBS 동영상과 학습자의 수준에 맞춘 수준별 학습 자료를 이용한 자기 주도적 수학학습 프로그램이 청소년들에게 수학에 대한 적극적인 학습 태도를 갖게 해 주며, 수학 개념 형성을 용이하게 해 주며, 의사소통능력과 인격함양에 도움을 주며, 수준별 학습을 강화시켜 주고 문제해결력을 신장시키고 스스로 객관적 평가를 할 수 있도록 하여 자기 주도적 수학학습에 긍정적 영향을 줄 수 있다는 것을 본 연구의 과정과 내용 및 결과물을 통하여 확인하고자 한다.

군 복무 중의 자기개발이 대학 복학생의 자기주도학습과 취업준비행동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Self-Development during Military Service on Returning University Students' Self-directed Learning and Job Preparation Behavior)

  • 조상혁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11권2호
    • /
    • pp.241-252
    • /
    • 2020
  • 본 연구의 목적은 사병으로 군 복무 중인 대학생이 수행한 자기개발이 복학 후의 자기주도학습과 취업준비행동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밝히는 것이다. 연구 대상은 전국에서 약 15개 대학의 2, 3, 4학년 대학생을 대상으로 온라인상에서 집락무선표집을 이용하여 323명을 선정하였다. 자료분석은 SPSS 25.0 program을 이용하여 요인분석, 빈도분석, 독립 t-test, one way Anova, 중다회귀분석을 통해 얻은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군복무후 복학한 대학생의 개인적 특성과 자기개발경험에 따른 자기주도학습은 대학소재지, 학년, 군복무시 자기개발정도, e-learning 수강정도, 원격강의 이수학점, 자격증취득유무, 지원비용유무에 따라 유의하게 차이가 나타났다. 둘째, 군복무후 복학한 대학생의 개인적 특성과 자기개발경험에 따른 취업준비행동은 대학소재지, 학년, 군복무시 자기개발정도, e-learning 수강정도, 원격강의 이수학점, 자격증취득유무, 지원비용유무에 따라 유의하게 차이가 나타났다. 셋째. 군복무시 자기개발경험은 복학 후 대학생의 자기주도학습 및 취업준비행동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간호사의 비판적 사고성향, 학습 관련 자기주도성 및 간호업무수행능력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Critical Thinking Disposition, Self-directed Learning Readiness and Professional Nursing Competency)

  • 박안나;정경희;김원경
    • 간호행정학회지
    • /
    • 제22권1호
    • /
    • pp.1-10
    • /
    • 2016
  • Purpose: A descriptive survey was used in this study to identify the relationship between nurses' critical thinking disposition, self-directed learning readiness and professional nursing competency and to examine factors that influence professional nursing competency. Methods: The data were collected from 188 nurses and analyzed using t-test, ANOVA, $Scheff{\acute{e}}$' test, Pearson correlation, and stepwise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ith the SPSS/WIN 20.0 PC program. Results: Professional nursing competency was found to have significant pure correlations with critical thinking disposition (r=.59, p<.001), and self-directed learning readiness (r=.54, p<.001). The most influential factor influencing nurses' professional nursing competency was critical thinking disposition, followed by self-directed learning readiness (${\beta}=.25$, p=.003), work department (${\beta}=.19$, p=.001), total clinical career (${\beta}=.19$, p=.003), and position (${\beta}=.12$, p=.040), and these factors explained 43.8% of the variance in professional nursing competency. Conclusion: The findings indicate the necessity of developing and applying strategies and educational programs to enhance individual nurse's critical thinking disposition and self-directed learning readiness. Furthermore, exploration is needed on ways to enhance professional nursing competency.

프로그래밍 언어 학습지원 추천시스템 (The Recommendation System for Programming Language Learning Support)

  • 김경아;문남미
    • 전자공학회논문지CI
    • /
    • 제47권4호
    • /
    • pp.11-17
    • /
    • 2010
  • 본 논문에서는 프로그래밍 언어 교육을 위한 자기주도 학습지원 추천시스템을 제안한다. 이 시스템은 학습자의 수준별 단계별 프로그래밍 학습을 지원하기 위해 협업필터링을 이용한 추천시스템이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닝 환경에서 학습자가 자신의 학습단계에 필요한 학습과정을 계획하고 학습하는 과정에서 자기주도적 학습효과를 높일 수 있도록 학습주제별 학습수준 기반 학습자 프로파일과 학습주제사이의 연관성 프로파일을 이용한 협업 필터링을 사용하여 프로그래밍 언어 학습지원 추천시스템을 설계하였다. 이 시스템은 이러닝 환경에서 제공되는 프로그래밍 언어 학습 시스템이 자기주도적 학습을 지원하는데 발생하는 가장 큰 어려움인 문제 해결 능력 향상에 기반한 프로그래밍 문제 제공의 어려움을 해결할 수 있는 방법을 제시하여 기존 시스템들이 가지고 있는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하였다. 그 결과 프로그래밍 언어 교육 과정에서 발생하는 수준별 단계별 학습에 맞는 프로그래밍 문제 제공의 어려움을 해결하고, 학습자의 자기주도적 학습을 유도하는 학습자 중심의 교수 학습 방법에 기반을 둔 이러닝 학습 환경을 제공함으로써 학습의 질을 높일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할 수 있다는 데에 본 연구의 의의가 있다고 할 수 있다.

이러닝에서의 재이용의향 결정요인 - 태도와 몰입의 통합적 접근 - (The Determinants of Reuse Intention in e-Learning - An Integrated Approach to Attitude and Flow -)

  • 이종만;강환수;박종학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0권3호
    • /
    • pp.472-479
    • /
    • 2010
  • 본 연구의 목적은 이러닝에서의 재이용의향 결정요인을 살펴보는 것이다. 본 연구는 태도와 몰입 관련 연구들을 바탕으로 콘텐츠 충족성, 코스 피드백, 학습자 자기주도성, 태도, 몰입, 그리고 재이용의향으로 구성된 이론모형을 제안하였다. 본 연구를 위해 설문방법을 이용하였고, 이러닝 사이트 학습자를 대상으로 수집한 총 409개의 데이터를 적용하였다. 그리고 자료의 분석은 구조방정식모형을 사용하였다. 분석결과, 첫째, 콘텐츠의 충족성과 학습자의 자기주도성이 학습자의 태도 및 몰입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나타났다. 둘째, 학습자의 태도와 몰입이 이러닝 시스템의 재이용의향을 결정하는 주요 요인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는 전체적인 관점에서 이러닝 재이용의향의 결정요인들을 제시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