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econdary stress

검색결과 772건 처리시간 0.041초

아동보호전문기관 상담원을 대상으로 한 이차외상스트레스 예방을 위한 레질리언스 훈련 프로그램의 효과 연구 (The Effect of Resiliency Training Program for Child Protection Agency Counselors to Prevent Secondary Traumatic Stress)

  • 현진희;김희국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9권4호
    • /
    • pp.532-545
    • /
    • 2019
  • 본 연구의 목적은 아동보호전문기관 상담원을 대상으로 이차외상스트레스 예방을 위한 레질리언스 훈련프로그램의 효과를 확인하고자 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유사실험설계를 활용하여 아동보호전문기관 상담원을 대상으로 실험집단 9명, 비교집단 10명으로 구성하였으며, 프로그램 사전, 사후, 프로그램 종료 3개월 후 추후조사를 통해 프로그램의 효과를 확인하였다. 이차외상스트레스 예방 프로그램은 아동보호전문기관 상담원의 이차외상스트레스와 우울 수준을 감소시키는데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스트레스 대처는 증가시켰지만 통계적 유의성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추후조사에서는 이차외상스트레스, 우울, 스트레스 대처의 변화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다. 이러한 결과를 통해 이차외상스트레스 예방 프로그램의 효과를 확인하였으며, 또한 효과를 지속시키기 위해서는 지속적인 개입이 필요하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연구결과에 기초하여 이차외상스트레스 예방 프로그램의 필요성과 활용방안에 대하여 제언하였다.

소방대원의 이차 외상성 스트레스, 소진 및 신체적 증상의 영향요인 분석 (Analysis of Factors Influencing Secondary Traumatic Stress, Burnout, and Physical Symptoms in Firefighters)

  • 오진환;임난영
    • 기본간호학회지
    • /
    • 제13권1호
    • /
    • pp.96-106
    • /
    • 2006
  • Purpose: This study was dont: to evaluate the factors that influence secondary traumatic stress, burnout, and physical symptoms experienced by firefighters. In addition, a hypothetical model was developed. Method: The data were collected using self-reported questionnaires from 410 field service firefighters. Data analysis was done with the SPSSWIN 10.0 program for descriptive statistics and Windows LISREL program to determine the causal relationship between the measurement variables. Results: The hypothetical model which was developed fits well with actual data(${\chi}^2$=3.16, p=0.99, GFI=1.00, AGFI=0.99, NFI=0.99, and NNFI=1.06). The variable, personality type, social support, and impact mobilization frequency had a significant effect and accounted for 7% of the secondary traumatic stress in firefighters. The variables, career, social support, and secondary traumatic stress had a significant effect and accounted for 24% of the burnout in firefighters. Social support, impact mobilization frequency, and secondary traumatic stress were important variables and accounted for 31% of the physical symptoms in firefighters. Conclusion: It is necessary for firefighters to manage themselves according to their personality types. Strategies that can increase the firefighters' social support and decrease their perceived secondary traumatic stress also need to be developed to minimize or prevent a negative effect on their health.

  • PDF

COVID-19 대응 군 간부의 소진, 이차적 외상성 스트레스 및 공감만족 (Burnout, Secondary Traumatic Stress, and Compassion Satisfaction of Military Officers Responding to COVID-19)

  • 백서영;황신우
    • 지역사회간호학회지
    • /
    • 제33권2호
    • /
    • pp.217-227
    • /
    • 2022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individual and occupational factors influencing burnout, secondary traumatic stress, and compassion satisfaction in military officers who experienced supporting civilians in responding to COVID-19. Methods: This descriptive study was conducted on 140 special forces' military officers who experienced responding to disasters within 3 months. Data were collected through an online survey from September to November 2021. Results: The mean scores for burnout, secondary traumatic stress, and compassion satisfaction were 21.67±6.03, 20.54±8.21, and 39.72±8.12 out of 50, respectively. The significant factors that influenced burnout and secondary traumatic stress were 'higher passive stress copying styles' (B=0.17, p<.001; B=0.31, p=<.001, respectively) and 'lower social support (B=-0.11, p=.031; B=-0.10, p=.001, respectively). The compassion satisfaction was more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higher self-efficacy' (B=0.37, p=<.001), 'higher active stress copying styles' (B=0.19, p=.006), and 'education responding to disasters' (B=2.04, p=.029). Conclusion: The results suggest that the strategies to increase social support, self-efficacy, and active stress coping styles should be considered in developing educational programs for military officers responding to disasters to minimize burnout, secondary traumatic stress and to improve compassion satisfaction.

1차 및 2차 복합 하중을 받는 구조물의 탄소성 파괴역학 매개변수 예측기법 (Simplified estimations of elastic-plastic fracture mechanics parameters under combined primary and secondary loadings)

  • 오창균;김윤재;박진무;김종성;진태은
    • 대한기계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기계학회 2004년도 추계학술대회
    • /
    • pp.43-48
    • /
    • 2004
  • When structures are loaded by a combination of primary and secondary stresses, plasticity effects occur which cannot be evaluated by a simple linear addition of the effects resulting from the two independent stress systems. Thermal stress due to temperature gradient is classified as secondary stress. It is known that secondary stress is released as increase of plastic zone. In this paper, two and three dimensional elastic-plastic finite element analyses are performed for the cracked plates and pipes under combined thermal and mechanical loading. And V-factor is introduced to account for plasticity effect. The present results provide that V-factor is function of thermal factor and loading and is consistent regardless of geometry. We developed the prediction method of elastic-plastic fracture mechanics parameter under combined primary and secondary loading from the present results.

  • PDF

외상피해원조실무자의 이차적 외상스트레스와 소진은 서로 다른가? (Helping Professional's Trauma Work-related Stresses : Do Secondary Traumatic Stress and Burnout differ?)

  • 박지영
    • 사회복지연구
    • /
    • 제44권2호
    • /
    • pp.387-407
    • /
    • 2013
  • 본 연구는 우리나라 외상피해원조전문직인 아동보호전문기관 실무자를 대상으로 업무관련 스트레스인 이차적 외상스트레스와 소진이 서로 다른 주요변수로부터 각자 독립적으로 영향을 받는, 서로 구분되는 개념인가를 살펴보는데 목적을 두었다. 이를 위해 이차적 외상스트레스와 소진에 주요 영향력을 미치는 것으로 알려진 외상노출관련 변인 및 업무조건만족 변인을 집단으로 범주화해서 이들이 종속변수들(이차적 외상스트레스와 소진)에서 평균값의 차이를 지니는가를 확인하는 다변량공분산분석(MANCOVA)을 실시하였다. 성별, 연령, 개인외상력 등 세 가지의 공변량에 대한 통제가 이루어진 후 개체-간 효과검증을 한 결과, 침습과 회피의 이차적 외상스트레스, 그리고 정서탈진과 비인격화의 소진은 실무자 본인이 업무 중 직접 경험하는 신변위협피해의 경험 여부와 업무조건만족정도라는 동일한 요인들로부터 주요한 영향을 받는다는 점이 확인되었다.

소음 스트레스가 면역반응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실험적 연구 (Effect of Sound Stress on Immune Response)

  • 김금재
    • 대한간호학회지
    • /
    • 제19권2호
    • /
    • pp.135-146
    • /
    • 1989
  • This study was undertaken to assess the effect of sound stress on humoral and cellular immune responses to thymus-dependent and independent antigens in mice. After mice were exposed to 4 hr daily sound stessors(83㏈) for 4 days before or after immunization, the primary and / or secondary immune response to sheep red blood cells(SRBC), polyvinylpyrroridone(PVP) or picry1 chloride(TNCB) were assayed. When mice were exposed to sound stressor before or after immunization, delayed-type hypersensitivity reaction and contact sensitivity to TNCB was remarkably depressed compared with those of the unstressed control mice. However, the primary and secondary hemagglutinin response of the stresed mice to SRBC showed a pronounced increase compared with that of the unstressed mice, In contrast to antibody response to SRBC, the primary antibody response of the stressed mic to PVP was almost not detected. surprisingly, the secondary antibody response to PVP of the mice receiving the secondary sound stress was markedly increased when the immune-depressed mice received the secondary immunization with PVP at 46 days after the primary immunization. The susceptibility of mice to intraven-oulsy infected Candida albicans was not changed by the sound stress.

  • PDF

성폭력피해자 지원센터 종사자의 이차적 외상 스트레스가 직무 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 : 직무교육의 조절효과 (The Impact of Secondary Trauma Stress on Occupational Stress Levels of Sexual Violence Support Workers : The Moderating Effect of Work-Related Job Education)

  • 신수민
    • 사회복지연구
    • /
    • 제49권1호
    • /
    • pp.109-132
    • /
    • 2018
  • 본 연구는 성폭력 피해자 지원 기관 종사자의 직무 수행 과정에서 클라이언트의 성폭력 외상에 노출됨에 따라 경험하는 이차적 외상 스트레스가 종사자의 직무 스트레스에 미치는 관계를 살펴보고, 이러한 관계에서 지난 1년간 기관 내에서 자체적으로 실시한 세미나 및 스터디 등 직무 교육에 종사자의 참여 여부와 참여 시간이 조절효과를 갖는지 살펴보는 데에 목적이 있다. 본 연구는 "성폭력 피해자 맞춤형 치료회복지원을 위한 전문 인력 양성 프로그램 개발 기초연구"에서 전국 90개 성폭력 피해자 지원기관(성폭력 상담소 63개 및 해바라기 센터 27개)의 482명의 종사자를 대상으로 설문조사한 데이터를 2차 자료로 활용하여 분석하였으며, SPSS PROCESS macro를 활용하여 조절효과를 검증하였다. 분석결과, 성폭력 피해자 지원기관 종사자들의 이차적 외상 스트레스는 직무스트레스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며, 종사자가 기관 내 직무교육(세미나 및 스터디 모임)에 참여한 시간은 이를 조절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를 바탕으로 성폭력 피해자 지원기관 종사자의 이차적 외상 스트레스 및 직무 스트레스를 경감시키고, 종사자의 정신건강을 증진시키기 위한 실천적 정책적 방안에 대해 논의하고자 한다.

원주방향 균열배관에 대한 열하중 및 기계하중의 상호 작용 (Interaction of thermal stress with mechanical stress in circumferentially cracked pipe)

  • 송태광;오창균;김윤재
    • 대한기계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기계학회 2008년도 추계학술대회A
    • /
    • pp.327-332
    • /
    • 2008
  • For the cracked component under combined primary and secondary stress, an interacion between the loads occurs and the secondary stress is relaxed by the primary load. To account for this phenomena, R6 code provides the correction factor which is called V-factor. However, evaluation corrected with V-factor need to be examined for its conservatism. In this paper the conservatism of the current V-factor is examined for the circumferentially cracked pipe under the combined load and new evaluation method is proposed to reduce the conservatism.

  • PDF

이차 재결정화된 기계적 합금화 ODS NiAl의 creep threshold stress에 관한 고찰 (On The Creep Threshold Stress in Secondary Recrystallized ODS MA NiAl)

  • 어순철
    • 한국분말재료학회지
    • /
    • 제5권2호
    • /
    • pp.122-128
    • /
    • 1998
  • NiAl based ODS (Oxide Dispersion Strengthened) intermetallic alloys have been produced by mechanical alloying (MA) process and consolidated by hot extrusion. Subsequent thermomechanical treatments have been applied to induce secondary recrystallization in an attempt to improve creep resistance in this material. The creep behavior of secondary recrystallized MA NiAl has been investigated and compared with those of as-extruded condition. Minimum creep rate were shown to be approximately two orders of magnitude lower than that in as-extruded condition. The improvement in creep resistance is believed due to the grain coarsening, restricting of dispersoid coarsening as well as increase in grain aspect ratio. Creep threshold stress behavior, below which no measurable creep rate can be detected, has been discussed on the basis of particle-dislocation interaction theory. The threshold stress becomes negligible after secondary recrystallization in MA NiAl, presumably due to dispersoid coarsening and a decrease in grain boundary area during secondary recrystallization.

  • PDF

사회복지전담공무원의 이차적 외상스트레스 결정 요인 (Determinants of Secondary Traumatic Stress among Public Social Welfare Specialists)

  • 양정빈;김도윤;류순옥;김자영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5권11호
    • /
    • pp.115-125
    • /
    • 2015
  • 본 연구는 사회복지전담공무원의 이차적 외상스트레스에 미치는 결정 요인을 실증적으로 분석하였다. 연구대상은 충청남도에 재직 중인 사회복지전담공무원이며, 총 654부가 분석에 사용되었다. 분석결과, 이차적 외상스트레스를 보이는 전담공무원은 69.0%이며, 이 중 심각한 외상을 보이는 응답자는 36.9%로 조사되어 이차적 외상스트레스 정도가 상당히 심각한 것으로 나타났다. 다중회귀분석 결과, 일반적 요인에서는 성별과 근무시간이, 폭력경험 요인에서는 신체적 폭력과 위협이, 대처방안 요인에서는 문제중심적 대처, 정서완화적 대처, 소망적 사고가, 직무효능감 요인에서는 자기효능감과 집단효능감이 각각 이차적 외상스트레스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클라이언트 폭력으로부터 안전한 직무 환경의 조성, 위기상황 대처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실무 교육 프로그램의 개발, 사회복지전담공무원들의 정신건강을 정기적으로 모니터링 할 수 있는 제도의 도입과 같은 구체적 방안들이 논의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