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The Impact of Secondary Trauma Stress on Occupational Stress Levels of Sexual Violence Support Workers : The Moderating Effect of Work-Related Job Education

성폭력피해자 지원센터 종사자의 이차적 외상 스트레스가 직무 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 : 직무교육의 조절효과

  • Shin, Soomin (Yonsei University, School of Social Welfare)
  • 신수민 (연세대학교 사회복지연구소)
  • Received : 2018.01.31
  • Accepted : 2018.03.08
  • Published : 2018.03.31

Abstract

This study investigated the impact of the secondary trauma stress experienced by workers who support sexual violence victims on occupational stress level, and verified the moderating effect of the job education from support facilities in this relationship. The data analyzed in this study were sampled from "The Primary Study on The Development of Training Program to Cultivate Professional Workers of Support Organizations for Sexual Violence Survivors" as a secondary data and 482 nationwide workers were selected. By applying SPSS PROCESS macro, the moderation model was analyzed. The analysis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sexual violence victim support workers' secondary trauma stress has a significantly influence on occupational stress level of workers. Second, the job education from support agencies themselves moderates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secondary trauma stress and occupational stress level of support agents. It also showed that the higher level of job education participates, the less the experience of being stressed on the job. Thus, on the basis of the result, the theoretical discussion on the secondary trauma stress and occupational stress level of sexual violence victim support worker was drawn out and the empirical implication on the direction of the education for job related was suggested.

본 연구는 성폭력 피해자 지원 기관 종사자의 직무 수행 과정에서 클라이언트의 성폭력 외상에 노출됨에 따라 경험하는 이차적 외상 스트레스가 종사자의 직무 스트레스에 미치는 관계를 살펴보고, 이러한 관계에서 지난 1년간 기관 내에서 자체적으로 실시한 세미나 및 스터디 등 직무 교육에 종사자의 참여 여부와 참여 시간이 조절효과를 갖는지 살펴보는 데에 목적이 있다. 본 연구는 "성폭력 피해자 맞춤형 치료회복지원을 위한 전문 인력 양성 프로그램 개발 기초연구"에서 전국 90개 성폭력 피해자 지원기관(성폭력 상담소 63개 및 해바라기 센터 27개)의 482명의 종사자를 대상으로 설문조사한 데이터를 2차 자료로 활용하여 분석하였으며, SPSS PROCESS macro를 활용하여 조절효과를 검증하였다. 분석결과, 성폭력 피해자 지원기관 종사자들의 이차적 외상 스트레스는 직무스트레스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며, 종사자가 기관 내 직무교육(세미나 및 스터디 모임)에 참여한 시간은 이를 조절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를 바탕으로 성폭력 피해자 지원기관 종사자의 이차적 외상 스트레스 및 직무 스트레스를 경감시키고, 종사자의 정신건강을 증진시키기 위한 실천적 정책적 방안에 대해 논의하고자 한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