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ea levels

검색결과 841건 처리시간 0.025초

시화호에서 채집한 풀망둑 Acanthogobius hasta의 간장 약물대사효소계 및 항산화계의 반응 (Responses in Hepatic Xenobiotic Metabolizing and Antioxidant Enzymes in Javelin Goby Acanthogobius hasta Collected at Shihwa Lake)

  • 이지선;정지현;한창희;심원준;전중균
    • 환경생물
    • /
    • 제26권2호
    • /
    • pp.94-101
    • /
    • 2008
  • 공장 폐수로 인한 오염이 심한 경기 시화호에서 오염정도가 다른 두 지역으로부터 풀망둑을 채집하여 이들의 해독효소계 또는 항산화효소계의 반응을 비교하였다. 해독효소계에서 I상효소로는 CYP, P450R, b5R, EROD를, II상효소로는 GST를 조사하였다. 그리고 항산화효소계로는 CAT, GR, CPx의 활성 그리고 GSH및 CSSG농도를 조사하였다. 그 결과, 오염정도가 심한 지역에서 잡은 어류가 간장 중 P450R, b5R, GST의 활성이 높았으나 EROD활성은 오히려 낮았고 CYP농도는 차이가 없었다. 그리고 이지역에서 잡은 어류는 CAT와 GR의 활성, 비효소적인 항산화계인 CSH와 GSSC농도도 더 높았으나 GTx활성은 오히려 낮았다. 이들 결과는 시화호의 오염된 곳에서 서식하는 풀망둑 Acanthogobius hasta은 상당히 해독효소계가 항진되어 있으며 산화 스트레스도 크게 받고 있음을 보여준다.

양식산 황복에서 tetrodotoxin 유사 독소의 미량 존재 가능성 제시 (Possible existence of tetrodotoxin-like toxins in cultured river puffer fish, Takifugu obscurus)

  • 김도영;김주완;박기석;강희웅;전중균;정준기;최상훈;최민순;박관하
    • 한국어병학회지
    • /
    • 제22권1호
    • /
    • pp.67-73
    • /
    • 2009
  • 양식산 복어에서는 tetrodotoxin(TTX)가 존재하지 않는다고 일반적으로 생각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실제로 양식산 황복(Takifugu obscurus)에는 TTX가 존재하지 않는지 확인하기 위해 생쥐를 이용한 bioassay로 여러 장기를 동시에 분석하였다. 자연산에서는 동물이 치사하는 수준의 독력을 함유한 시료가 있었으며 정소>간장>장>근육>피부의 순으로 독력이 확인되었다.양식산 시료에서는 TTX의 미량존재로 추정되는 졸림, 행동둔화, 후지마비 등의 증상이 나타났지만 치사동물은 발견되지 않았다. 이 결과는 양식 산 황복에서 TTX가 매우 낮은 농도로 존재할가능성을 제시하지만 기기분석법을 이용한 정확한 정량이 필요하다고 판단된다.

우리나라에 분포하는 오미자과 2속 3종의 잎 형질 및 광합성 특성 (Foliar Characteristics and Photosynthetic Efficiency of Three Species of Schisandraceae Trees Distributed in Korea)

  • 김판기;이갑연;김세현;한상섭
    • 한국농림기상학회지
    • /
    • 제1권2호
    • /
    • pp.90-96
    • /
    • 1999
  • 우리나라에 서식하는 오미자과 2속 3종의 종간 및 종내 변리정도와 생장 특성을 구명하기 위하여, 낙엽 활엽성인 Schisandra속의 오미자와 흑미자(자웅동주, 숫그루, 암그루), 상록활엽성인 Kadsura속 남오미자의 엽형질과 생리적 특성을 조사하였다. 잎의 길이 및 폭은 변이의 폭이 커서 종간의 큰 차이를 볼 수 없었으나, Schisandra속이 Kadsura속보다 짧고 넓은 형태를 하였다. 엽병의 길이는 Schisandra속이 Kadsura속보다 길었으며, 특히 흑오미자의 암그루는 남오미자에 비교하여 2배 이상 길었다. 그러나 엽병의 직경은 Kadsura속이 Schisandru속보다 두꺼웠다. 기공의 크기(폭, 길이)는 Schisandra속이 Kadsura속에 비하여 켰으며, 기공밀도는 Kadsura속이 Schisandra속보다 높은 밀도를 나타냈다. 생육환경에 따른 잎의 형태적 변화는 크게 두드러지지 않았으나, 표고가 높아짐에 따라서 흑오미자의 잎이 길어지는 경향을 나타냈다. 엽록소 함량은 종간 및 종내의 변이 폭이 켰으며, 흑오미자가 남오미자 또는 오미자보다 높았다. 광합성 특성은 Schisandra속이 Kadsura속보다 광보상점 및 광포화점이 낮고, 광포화점에서의 광합성속도도 낮았다. 그러나 Schisandra속은 Kadsura속보다 낮은 호흡률을 나타내어 낮은 광도조건에서 더욱 효율적인 생장활동을 영위함을 알 수 있었다. 그리고 임내의 어두운 곳에서 생장한 개체는 높의 광도에서 생장한 개체에 비교하여 낮은 광도조건에서 더욱 효율적인 광합성작용을 하고 수행하였다.

  • PDF

저염수산발효식품의 가공에 관한 연구 3. 저염정어리젓의 미생물상의 변화 (Studios on the Processing of Low Salt Fermented Sea Foods 3. Changes of Microflora during Fermentation of Low Salted Sardine)

  • 차용준;정수열;하재호;정인철;이응호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16권3호
    • /
    • pp.211-215
    • /
    • 1983
  • 식염 $8\%$$10\%$에 에틸알코올 $6\%$, sorbitol $6\%$, 젖산 $0.5\%$를 첨가하여 담근 저염정어리젓의 숙성중의 미생물상의 변화를 실험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숙성기간중의 수분함량은 식염을 $20\%$ 첨가한 대조시료의 경우, 숙성 20일 경에 $57.2\%$에서 숙성 80일경에 $62.8\%$로 증가하였으며, 식염을 $8\%$$10\%$ 첨가한 저염정어리젓에서는 $63\%$ 내의로 큰 변화는 없었고 pH는 전시료 모두 다 6.0 부근이었다. 2. 식염농도 $8\%$$10\%$ 정어리젓의 경우, 숙성기간중 식염농도 $20\%$의 정어리젓 보다 생균수가 적은 이유는 알코올, sorbitol, 젖산첨가에 의한 미생물생육억제효과라 생각된다. 3. 정어리젓 숙성중에 분리동정된 균은 Bevibacterium marinopiscosum, Bacillus subtilis, Micrococcus sp., Halobacterium sp., Pseudomonas sp., Flavobacterium marinovirosum, Pediococcus cerevisiae의 7종의 세균과 1종의 효모인 Torulopsis sp.으로 추정되었으며, 숙성초기에 Brevibacterium, Pseudomonas, Flavobacterium, Baciilus 속의 균이 분리되었으나 숙성후기에는 대조시료에서는 Halobacterium, Micrococcus, Pediococcus 속 및 Torulopsis 속의 균이 분리되었고, 식염을 $10\%$$8\%$를 첨가한 저염정어리젓에서는 Brevibacterium, Micrococcus, Pediococcus 속의 균이 분리되었다.

  • PDF

양식미역의 품질요인과 그 가공 (FACTORS INVOLVED IN THE QUALITY RETENTION OF CULTURED UNDARIA PINNATIFIDA)

  • 변재형;박영호;이강호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10권2호
    • /
    • pp.125-135
    • /
    • 1977
  • Recently, culture of Undaria pinnatifida, one of the representative esculent sea weed, has been prevailing in tile east and south coasta of Korea and reached the mass culture stage. In this study, compositional quality factors for food were studied and the contributory effects of blanching and pigment fixatives in the quality retention of cultured Undaria pinnatifida are discussed. When the place and time of harvesting were the same, cultured pinnatifida showed scarce difference in the chemical composition comparing to tile naturally grown Undaria pinnatifida, but cultured Undaria pinnatifida shelved a considerable difference depending upon the cultured places. In the chemical composition of Undaria pinnatifida, the alginic acid comprising about $40\%$ of the whole solid materials seemed to be responsible for the compositional puality. The chlorophyll and carotenoid content of the clutured Unaria pinnatifida were considerably lower than that of the naturally grown Undaria pinnatifida and wass inferior in puality by color to the naturally grown one. Dried Undaria pinnatifida contained a considerable amount of amino-N, mannitol, and soluble minerals and it is considered that these components play a great role in the relish effects. It could also be evaluated as a good albuminous source for food science the dried pinnatifida contains about $18\%$ of crude protein. In the analysis of free amino acid composition of dried Undaria pinnatifida, the naturally growm samples showed so what higher levels in all amino acid content than the cultured samples. The contents of theronine, alanine, and glutamic acid were major in quantity wherease histidine cysteine, tyrosine, and phenylalanine were minor. The contents of such amino acids like serine and proline were particularly low or undetectable. The results of amino acid analysis of the acid hydrolysates of dried Undaria pinnatifida in quantity of individual amino acid showed te same pattern as that of free amino acid. It is noticed that Undaria pinnatifida seemed to contain good quality protein since the contents of essential amino acids were considerably higher and uniform. By blanching the fresh sample, the water soluble components brought about cousiderable loss, and, particularly, it was noteworthy that both mannitol and soluble minerals apparently decreased. In the pigment analysis of the dried sample, blanching was effective to retain chlorophyll and carotenoid. The addition of pigment fixatives in blanching solution such as Ca-gluconate, Ca-carbonate, and Ca-hydroxide did not exhibit much effect on the pigment retention except that Ca-carbonate shelved some effect only in the early stage of storage.

  • PDF

수치항공사진을 이용한 해안선 침퇴적변화에 관한 연구 (Research on the Variation of Deposition & Accumulation on the Shorelines using Ortho Areial Photos)

  • 최철웅;이창헌;오치영;손정우
    • 대한공간정보학회지
    • /
    • 제17권3호
    • /
    • pp.23-31
    • /
    • 2009
  • 국가에서 해안선의 경계는 국토의 경계를 결정하는 중요한 요소지만, 최근 온난화로 인한 해수면 상승과 수십 년간에 걸친 성장위주의 경제정책으로 인해 우리나라의 해안선은 급격히 변하고 있다. 본 연구는 인근지역에 위치하면서 서로 동일한 해양조건을 가지고 있는 두 개의 해수욕장에서 해안선이 자연모습 그대로 보존된 지역과 인공구조물로 인해 주변의 해안선이 훼손된 지역을 중심으로 이루어 졌다. 먼저 1947년에서 2007년까지의 항공사진을 이용하여 해안선을 추출하고, 이를 후처리 Kinematic GPS 측량방식을 적용하여 획득한 육상부의 지형자료와 선박을 이용해 단빔음향측심기(Echotrac 3100)와 DGPS(Beacon)로 구성된 수로측량자동화시스템을 통해 획득한 수심측량 자료를 이용해 조위를 보정했다. 그리고 결정된 해안선을 이용해 60년간의 변화와 면적 변화량을 5개의 구간으로 나눠서 구했다. 그 결과 1947년에 비해 2007년에 해운대 해수욕장은 서쪽지역을 중심으로 급격히 면적이 감소하면서 총 -29%의 면적 감소율을 보였고, 광안리 해수욕장은 양끝의 인공구조물에 의한 유속의 감소로 인한 퇴적이 이루어지면서 총 69% 면적이 증가해 동일해양조건임에도 불구하고 주변 환경에 따라 해빈의 침 퇴적 경향에 큰 차이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 PDF

초임계 이산화탄소를 이용한 Nannochloropsis sp. 미세조류로부터 바이오디젤 생산용 지질의 추출 (Lipid Extraction from Nannochloropsis sp. Microalgae for Biodiesel Production Using Supercritical Carbon Dioxide)

  • 최경석;류재훈;박동준;오세천;곽현
    • Korean Chemical Engineering Research
    • /
    • 제53권2호
    • /
    • pp.205-210
    • /
    • 2015
  • 본 연구에서는 미세조류인 Nannochloropsis sp.로부터 바이오디젤 생산용 지질을 얻기 위하여 유기용매 및 초임계 이산화탄소(SC-$CO_2$)를 이용하여 추출을 수행하였다. SC-$CO_2$ 추출법으로 얻은 지질의 지방산메틸에스테르 함량은 58.31%로 높았으며, Bligh-Dyer 추출법은 18.0 wt.%의 가장 높은 조지방 수율을 나타내었다. SC-$CO_2$ 추출법에 극성을 높이기 위해 공용매로서 methanol을 사용한 결과, 조지방 수율 12.5 wt.%, 지방산메틸에스테르 함량 56.32%, 지방산메틸에스테르 수율 7.04 wt.%였으며, SC-$CO_2$ 만을 이용하는 추출 방법에 비하여 추출 시간을 2시간에서 30분으로 단축시킬 수 있었다. 따라서 미세조류에서 지질을 추출하는데 기존의 유기용매 추출법과 비교하여 SC-$CO_2$ 추출법이 친환경적이며, 효율적인 방법임을 확인하였다.

한국연안 해조류 생물량의 연간 변동 양상: 전북 외조도와 주삼도 지역 (Temporal Variations in Seaweed Biomass in Korean Coasts: Woejodo and Jusamdo, Jeonbuk)

  • 최한길;이기훈;만효금;유현일;박향하;김정하;정익교
    • ALGAE
    • /
    • 제23권4호
    • /
    • pp.335-342
    • /
    • 2008
  • Seasonal and vertical variations of seaweed biomass were examined at Woejodo and Jusamdo of western sea, Korea from July 2006 to April 2007. Annual seaweed biomass was 198.27 g m$^{-2}$ in wet weight at Woejodo and 417.34 g m$^{-2}$ at Jusamdo, respectively and biomass of intertidal zone was greater than that of subtidal zone at Jusamdo sites. Seaweeds distributed vertically from mid intertidal to 5 m of subtidal zone at Woejodo and from high intertidal to 10m of subtidal zone at Jusamdo. Seaweed biomass and species number were maximal at lower intertidal zone (27 species, 365.43 g m$^{-2}$) of Woejodo and at mid intertidal zone (26 species, 684.18 g m$^{-2}$) of Jusamdo. Seasonal biomass varied from 136.73g m$^{-2}$ in autumn to 249.33 g m$^{-2}$ in winter at Woejodo and from 353.37 g m$^{-2}$ in autumn to 482.07 g m$^{-2}$ in summer at Jusamdo. Dominant species was Sargassum thunbergii showing highest annual biomass (Woejodo, 94.68 g m$^{-2}$ Jusamdo, 228.59 g m$^{-2}$) among all seaweeds and finding at various shore levels during the study period. Subdominant species were Corallina pilulifera and Gracilaria textorii at Woejodo, and were Sargassum fusiformis and Chondria crassicaulis at Jusamdo. Thus, we can conclude that Jusamdo shore is better place than Woejodo based on seaweed biomass and vertical distribution, and S. thunbergii is the representative species of the two islands.

유류 유출 사고 해역에 서식하는 패류의 다환방향족탄화수소(PAHs) 위해도 평가 (Polycyclic Aromatic Hydrocarbons Hazard Assessment of Shellfish due to Oil Spill Accidents)

  • 김풍호;김민정;조미라;이두석;송기철;변한석;조기채;박광재;전제천;윤호동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43권3호
    • /
    • pp.211-216
    • /
    • 2010
  • On 7 December 2007, about 12,547 kL of crude oil spilled from the Hong Kong registered tanker Hebei Spirit along the west coast of the Republic of Korea, including Taean-gun, Chungcheongnamdo Province. This study evaluated the safety of seafood collected from the coastal area polluted by the crude oil. The range of total polycyclic aromatic hydrocarbons (${\sum}PAHs$) at 22 stations was 3.9-37.1 ng/g. The concentration of ${\sum}PAHs$ was higher in oysters, Crassoatrea gias, than that in short-necked clams, Ruditapes philippinarum. Benzo(a)pyrene, a highly toxic PAH, ranged from 0.07-1.47 ng/g, which did not exceed the European Union regulatory limit for benzo(a)pyrene. The toxicity equivalent of benzo(a)pyrene in oysters and short-necked clams was 0.49-1.70 and 0.09-1.01 ng/g, respectively. The estimated life time cancer risk was very low, i.e., $1.31{\times}10^{-8}$ for the oysters and $6.9{\times}10^{-9}$ for the short-necked clams. The body burden of PAHs in bivalves originated mostly from petroleum contamination, but the levels was not sufficiently high to harm human health.

암컷 가무락조개, Cyclina sinensis의 난소 발달단계에 따른 폐각근 조직과 내장낭 조직의 생화학적 성분의 계절적 변화 (Seasonal Changes in Biochemical Components of the Adductor Muscle and Visceral Mass Tissues in the Female Cyclina sinensis, in Relation to Gonad Developmental Phases)

  • 정의영;박관하;김종배;이창훈
    • 한국패류학회지
    • /
    • 제20권1호
    • /
    • pp.85-92
    • /
    • 2004
  • We investigated the reproductive cycle with gonadal development of the female Cyclina sinensis by histological observations and seasonal changes in biochemical components of the adductor muscle and visceral mass tissues were studied by biochemical analysis, from January to December, 2001. The reproductive cycle of this species can be classified into five successive stages: early active stage (February to April), late active stage (March to June), ripe stage (May to August), partially spawned stage (July to October) and spent/inactive stage (September to February). Total protein contents in the adductor muscle tissues reached the maximum in February (early active stage) and appeared the minimum in June (ripe stage), while their contents in the visceral mass tissues reached the maximum in the late active and ripe stages (June) and gradually decreased from July (partially spawned stage) to November (spent/inactive stage). Changes in total protein contents showed a negative correlationship between the adductor muscle and visceral mass tissues (r = -0.499, p = 0.099). Total lipid contents in the adductor muscle tissues reached the maximum in January (the inactive stages) and their contents gradually decreased from February. Their contents in the visceral mass tissues, however, reached the maximum in June (late active and ripe stage) and gradually decreased from July (the partially spawned stage). On the whole, total lipid contents showed a negative correlationship between the adductor muscle and visceral mass tissues (r = -0.631, p < 0.05). Therefore, These results indicate that the nutrient contents of the adductor muscle and visceral muscle tissues change in response to gonadal energy needs. Glycogen contents in the adductor muscle tissue reached the maximum in March (early and late active stages) and decreased from July to September (partially spawned stage). while their contents in the visceral mass tissues reached the maximum in June (late active and ripe stages) and gradually decreased from July (partially spawned stage). Thereafter, their levels gradually increased in November (spent/inactive stage). On the whole, changes in glycogen contents appeared negative correlationship between the adductor muscle and visceral mass tissues. However, they showed no significant different (r = -0.307, p = 0.331).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