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creen door

검색결과 132건 처리시간 0.037초

기술적 해결을 통한 위험관리의 가능성과 한계: 지하철 스크린도어를 중심으로 (The Possibility and Limit of Risk Management through Technological Fix: A Case Study into the Platform Screen Door (PSD))

  • 강윤재
    • 과학기술학연구
    • /
    • 제10권2호
    • /
    • pp.77-105
    • /
    • 2010
  • 이 글은 지하철 위험의 해결책으로 제시된 스크린도어를 대상으로 "기술적 해결"(technological fix)의 가능성과 한계를 검토하고 있다. 지하철 위험은 그 유형에 따라 모두 다섯 종류―"전철운행 사고", "역사 내 사고", "승강장 사고", "지하의 공간적 위험", "범죄 및 테러의 위험"―로 분류할 수 있는데, 가장 중요한 것은 궤도와 역사의 접촉면에 위치한 승강장에서 발생하는 승강장 사고이다. 스크린도어는 승강장 사고를 예방할 수 있는 효과적인 기술적 수단으로 여겨진다. 여기에는 사고를 기술적 수단을 통해 해결하려는 기술적 해결의 이데올로기가 강하게 작용한다. 신설되는 역이 아니라 기존 역의 승강장에 스크린도어를 설치하는 것이 세계적으로 유래를 찾기 힘든 경우라는 사실이 이를 잘 보여준다. 스크린도어는 현실적 수단으로서 가시적 효과를 낳았지만 예상치 못한 비가시적 위험을 가중시킨 측면도 없지 않다. 승강장 내부, 특히 출퇴근 환승역 승강장에서 화재가 발생했을 때, 스크린도어는 승객의 탈출로를 차단하는 "통곡의 벽"으로 돌변할 수 있다. 기술적 해결에 대한 지나친 기대와 의존은 금물이며, 그 한계에 대한 성찰이 요구되는 이유이다.

  • PDF

부산 지하철 소음도 조사 및 평가 (Investigation and Evaluation of Noise Level of the Busan Subway)

  • 이장명;정진국;정진석
    • 대한환경공학회지
    • /
    • 제33권4호
    • /
    • pp.243-250
    • /
    • 2011
  • 부산지하철 3개 노선에 대한 소음도 조사 및 비교 평가가 이루어 졌다. 차량이 역을 다 빠져 나간 순간부터 차량이 다음 역에 도착할 때까지를 기준으로 하여 차량 내부에서의 평균 소음값을 측정하였다. 또한 차량이 역사 도착 시 측정과 차량이 역사 출발 시 측정으로 나누어서 측정하였다. 주간시간대(오전9시~오후6시)와 야간시간대(오후6시~오후10시)로 구분하여 측정하였으나 주 야간 차이가 크지 않아 주 야간의 차이를 두지 않고 전체적으로 평균을 취했다. 2010년 5월과 7월 두 차례 부산지하철의 차량실내 소음도를 측정하여 실험에 대한 재현성을 검정하였다. 노선별 스크린 도어 효과, 도상조건, 열차차종 및 노선별 곡률반경 변화에 따른 소음도 차이가 조사되어 졌다. 부산지하철 3개 노선 중 2호선의 소음도가 가장 높았으며 이에 대한 방안도 강구 되었다. 스크린도어가 미설치된 역이 설치된 역에 비하여 소음도가 약 10 dB(A) 정도 높았으며 S 자형의 급곡선부에서 소음도가 높음이 확인되었다.

지하철 역사 승강장의 PSD 설치에 의한 미세먼지 감소 효과 (The Removal Effect of Fine Particles Applied Platform Screen Door in Seoul Subway Station)

  • 손종렬;정영림;박현희;오윤희;최원;김순근
    • 환경위생공학
    • /
    • 제24권4호
    • /
    • pp.60-68
    • /
    • 2009
  • The most principal approach to improve indoor air quality(IAQ) of subway was to examine the fine particulate(PM-10) from the emission sources. Therefore, this study was carried on the investigation the fine particulate for comparison with the removal efficiency of PM-10 in divided the PSD(Platform Screen Door) and Non-PSD subway station from July, 2007 to May 2008. In the monitoring results, the range of PM-10 concentration of Non-PSD station was $44.6{\sim}116.5{\mu}g/m^3$ and the range of PM-10 concentration of PSD station was $23.9{\sim}81.1{\mu}g/m^3$. And then the range of PM-2.5 concentration of Non-PSD station was $17.4-56.6{\mu}g/m^3$, and then the range of PM-2.5 concentration of PSD station was $17.9{\sim}34.4{\mu}g/m^3$. In comparison with the results of the PSD and Non-PSD subway station, we found that the PM-10 removal efficiency of PSD was 30-40%. In conclusion, the PSD will be applied the effective facilities of decreasing PM-10 in subway station in Korea.

동적 PSD광고 구현을 위한 기술적 제안 : 수도권 지하철 2호선을 중심으로 (The Technical Suggestion for Implementing Animated PSD Ads : Focused on Seoul Metro Line2)

  • 김경주;김석래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6권7호
    • /
    • pp.381-391
    • /
    • 2018
  • 본 논문은 지하철 PSD(Platform Screen Door)광고의 효과증진을 위하여, 동적 대상은 정적 대상에 비해 강한 시선 유인 효과를 가진다는 이론적 배경을 전제로, 동적 이미지를 활용한 새로운 형태의 PSD광고를 제안하는 것에 연구의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스크린도어와 전동차의 관계 분석을 통해, 효율적인 동적 이미지 구현을 위한, 위치적, 시각적 요소들을 도출하였다. 그 후, 이러한 요소들을 적용한 예시광고를 제작, 3D 프로그램 상에 적용함으로서, 동적 PSD광고의 구현 과정을 확인하였다. 연구결과, 시간차를 이용한 이미지 합성을 통해서 동적 시각효과를 보여줄 수 있는 새로운 형태의 PSD광고 제작이 가능함을 확인할 수 있었고, 이미지들의 조합과 적용에 따라 다양한 시각적 표현이 가능하기에, 본 연구의 제안이 PSD광고라는 광고매체에 다양성을 부여할 수 있음을 또한 확인하였다.

스크린도어의 장애물 검지를 위한 Area센서와 다중공간분할 3D센서의 검지율 비교 분석 (Comparison of detection rates Area sensors and 3D spatial division multiple sensors for detecting obstacles in the screen door)

  • 유봉석;이현수;진주현;김종식
    • 한국전자통신학회논문지
    • /
    • 제11권6호
    • /
    • pp.561-566
    • /
    • 2016
  • 승강장에는 승객의 안전사고를 방지하기 위하여 스크린도어를 설치하고 있으며 스크린도어에는 장애물 검지를 위해 Area센서를 설치하고 있다. 그러나 먼지, 햇빛, 눈, 벌레 등으로 인한 스크린도어의 빈번한 동작오류가 원활한 열차운행을 방해하고 있어 장애물 감지 센서의 동작오류 감소와 장애물 검지 기능을 고도화하기 위한 대체 검지기의 연구가 필요하다. 본 논문에서는 대구 문양역에 시범운영 중인 로프타입 상하개폐식 스크린도어에 Area센서와 장애물검지 다중공간분할 검지알고리즘을 적용한 3D센서를 설치하여 검지 데이터를 수집하고 CCTV를 이용한 영상데이터 판독결과를 비교하였다. 3D 센서의 장애물 검지율은 약 86.91%로 Area센서의 약 78.88% 대비 장애물 검지율이 6.87~9.79%가 더 높아 설치비용의 절감과 검지성능을 개선한 3D 센서의 적용 가능성을 확인 할 수 있었다.

스크린도어가 설치된 대심도 지하역사의 제연 실험 I - 승강장에서의 제연의 효과 분석 (Smoke Control Experiment of a Very Deep Underground Station Where Platform Screen Doors are Installed (I) - Analysis on Smoke Control Performance on the Platform)

  • 박원희;김창용;조영민;권태순;이덕희
    • 예술인문사회 융합 멀티미디어 논문지
    • /
    • 제8권7호
    • /
    • pp.485-496
    • /
    • 2018
  • 본 논문에서는 스크린도어가 설치되어 있는 지하역사 승강장에서 화재가 발생시 승강장 환기실에 설치된 송풍기의 작동에 따른 연기거동을 실험적인 방법으로 측정하였다. 스크린도어가 닫힌 승강장에서 모의화재 발생시 승강장의 제연설비가 작동하지 않은 경우와 작동하는 경우에 제연 특성을 비교하였다. 화재연기를 모사하기 위하여 연기발생기에서 발생한 연기를 열풍기를 이용하여 가열하였다. 화재연기를 정량적으로 측정하기 위하여 연기농도계를 이용한 광투과도를 측정하였다. 스크린도어가 닫혀져있고 지하역사의 제연설비가 작동되지 않는 경우 승강장에 화재가 발생하면 연기가 승강장 내부에 축적되어 승객의 피난이 매우 어려우며, 매우 위험한 상황으로 연결될 수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반면에 역사의 제연설비를 가동한 조건에서는 승강장 화재에 의해 발생한 연기가 역사의 제연설비를 통하여 외부로 빠져나가며, 대합실에서 승강장 방향으로 기류가 형성되어 승강장 승객이 대합실 방향으로 대피하는 것이 가능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후속 논문에서는 승강장 인접부에 위치한 터널환기구를 통한 터널 제연의 병행효과에 대하여 다룰 예정이다.

초음파 센서를 이용한 전동차 도어 개폐 감지 장치에 관한 연구 (A study train door open-close perception control System using ultrasonic sensor)

  • 이종성;이희성;이해철;김성렬;조현상
    • 한국철도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철도학회 2011년도 춘계학술대회 논문집
    • /
    • pp.1681-1688
    • /
    • 2011
  • The platform screen door open-close mechanisms at today's subway are divided by "Radio Frequency method" and "Method at entrance perception sensor". In the case of "method at entrance perception sensor", there happen a lot of occasions of malfunctioning that may cause problems in terms of timeliness, swiftness and reliability of train operation and even ends up to train operation stop since the perceiving process is complicated and it is prone to have dust on lenses, position alteration by train vibration, and less reflection light in the case of new train. In this study, we find how to minimize possible problems in terms of maintenance during train operation period, and seek its alternatives in order not only to have no malfunction in perception but also to cause no disturbance in train operation through dealing organically when perceiving door open-close to minimize delay time.

  • PDF

Video Phone Tube用 형광박의 제조에 관한 연구 (A Study on Manufacture of Phosphor Screen for Video Phone Tube)

  • 우진호
    • 한국인쇄학회지
    • /
    • 제22권2호
    • /
    • pp.123-138
    • /
    • 2004
  • The video phone tube (VPT) of monochrome CRT have utilized home door phone, fish-finder and the rear watch monitors. Phosphor screen formation is made by electrodeposition spin coating and thermal transfer methods etc. Recently, thermal transfer method was developed, as a novel method, to form the phosphor surface for mnonchrom VPT. This method have advantages of simple process, automatization, clean environment, saving raw material and saving running-cost. In this study, it was developed new phosphor of VPT, and tested about phosphor paste properties. An experimental studies of VPT as a new phosphor property and improved VPT's manufacturing process shortening and brightness. As thermal transper method is a paste processing, it is important that rheology of phosphor effects on the formation of phosphor screen. Hence this paper was studied rheology properties of phosphor paste and the formation of phosphor screen had looked most suitable condition. Experimented thermal separation properties of low calcination temperature resin and the result analyzed comparison by TGA. Also, examined calcination properties to reduce remaining binder phosphor.

  • PDF

열차 운행에 따른 상대식 승강장에서 지하철 승강장 스크린 도어 풍압해석 (THE PRESSURE-TRANSIENT ANALYSIS ON THE PLATFORM SCREEN DOORS OF THE SIDE PLATFORMS IN A SUBWAY STATION WITH VARIOUS OPERATING CONDITIONS)

  • 이명성;안혁진;원찬식;허남건
    • 한국전산유체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전산유체공학회 2008년도 학술대회
    • /
    • pp.283-289
    • /
    • 2008
  • The pressure-transient on platform screen doors in side platforms caused by passing trains with various operating conditions have been investigated numerically. The transient compressible three-dimensional flow simulations are performed with actual operating conditions of two trains by adopting moving mesh technique. To achieve more realistic results, the detailed shape of train and the subway station including tunnels connecting the adjacent stations are represented in the computational domain. Numerical analyses are carried out for cases considering arriving/passing/departing train with or without train stopped on the opposite track, and both trains on the move in opposite direction. From the numerical results, the maximum pressure on the platform screen doors, which is predicted in the case of two passing trains, satisfied the design standards for similar stations.

  • PDF

열차 운행에 따른 상대식 승강장에서 지하철 승강장 스크린 도어 풍압해석 (THE PRESSURE-TRANSIENT ANALYSIS ON THE PLATFORM SCREEN DOORS OF THE SIDE PLATFORMS IN A SUBWAY STATION WITH VARIOUS OPERATING CONDITIONS)

  • 이명성;안혁진;원찬식;허남건
    • 한국전산유체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전산유체공학회 2008년 추계학술대회논문집
    • /
    • pp.283-289
    • /
    • 2008
  • The pressure-transient on platform screen doors in side platforms caused by passing trains with various operating conditions have been investigated numerically. The transient compressible three-dimensional flow simulations are performed with actual operating conditions of two trains by adopting moving mesh technique. To achieve more realistic results, the detailed shape of train and the subway station including tunnels connecting the adjacent stations are represented in the computational domain. Numerical analyses are carried out for cases considering arriving/passing/departing train with or without train stopped on the opposite track, and both trains on the move in opposite direction. From the numerical results, the maximum pressure on the platform screen doors, which is predicted in the case of two passing trains, satisfied the design standards for similar stations.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