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cientifically gifted

검색결과 143건 처리시간 0.031초

CAQDAS에 의한 부모의 관찰 기록 및 질적 선발 자료에 나타난 한국과학영재학교 학생들의 행동 특성에 관한 질적 연구 (Qualitative Research on Behavioral Characteristic of KSA Students That Appear to Observation Recording of Parents and Qualitative Admission Data by CAQDAS)

  • 이정철;강순민;김동렬;허홍욱
    • 영재교육연구
    • /
    • 제20권2호
    • /
    • pp.427-459
    • /
    • 2010
  • 2009학년도 한국과학영재학교 신입생 143명의 자기소개서와 지도 교사와 교수가 관찰한 학생들의 영재성 사례와 관찰 기록을 담은 추천서, 학부모의 학생에 대한 관찰기록지를 컴퓨터 보조 질적 분석 체계(Computer Assisted Qualitative Date Analysis System)를 이용한 질적 분석을 통해 과학 영재에게서 나타나는 행동 특성을 알아보았다. 연구 결과 과학 영재의 행동 특성을 5개의 주요 범주로 나눌 수 있었다. 본 연구는 외국의 연구와 양적 연구에 의존한 기존의 영재의 행동 특성 연구를 보완해줄 뿐 아니라 영재성의 구체적인 영역으로서 과학 영재의 행동 특성을 파악할 수 있게 하여 과학 영재를 판별 도구 및 교수학습 프로그램의 개발에 유용한 자료로 이용될 수 있을 것이다.

SSC(Small-Scale Chemistry)실험이 과학영재의 과학적 태도, 창의적 성격 특성 및 과학탐구 능력에 미치는 효과 (The Effect of SSC(Small-Scale Chemistry) Lab Program on Scientifically Gifted Students' Scientific Attitude, Creative Personality Characteristics and Science Inquiry Skills)

  • 유미현
    • 영재교육연구
    • /
    • 제20권2호
    • /
    • pp.487-502
    • /
    • 2010
  • 이 연구의 목적은 SSC 실험을 과학영재 수업에 적용한 후 얻을 수 있는 효과를 조사하는 것이다. 연구 참여자는 대학부설 과학영재교육원에 선발되어 교육받고 있는 15명의 중학생 과학영재 학생이다. SSC 실험 프로그램은 3개월간 5가지 주제로 적용되었다. 연구 설계는 단일집단 사전-사후 설계였으며 PASW 18 통계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데이터를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SSC 실험은 과학영재 학생의 과학적 태도를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향상시켰다(p<.01). 특히 과학적 태도 하위 영역 중 '협동성', '자진성', '끈기성' 영역에서 사전검사와 사후검사 점수 간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둘째, SSC 실험은 과학영재 학생의 창의적 성격 특성을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향상시켰다(p<.01). 특히 창의적 성격 특성의 하위 영역 중 '집착성' 영역에서 사전검사와 사후검사 점수 간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셋째, SSC 실험을 적용하기 전과 후에 과학영재 학생의 과학탐구 능력에서는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p>.05). 연구 결과는 SSC 실험이 과학영재 수업에 효과적인 프로그램임을 시사한다.

Perception of the Scientifically Gifted and Long-term Effects of Science Gifted Education Program - from the Students' Perspectives

  • Chun, Mi-Ran;Shin, Yoon-Joo;Lee, Sung-Muk;Choe, Seung-Urn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28권3호
    • /
    • pp.241-252
    • /
    • 2008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impacts of a science gifted education program. 155 students who experienced the SNU science gifted education program were interviewed. The interview questions consisted of eligible questions from 'Interview Protocol of Hertzog' (2003) based on 'Recommended Practice in Gifted Education (Shore, Cornell, & Ward, 1991)'. All interviews were immediately transcribed and analyzed qualitatively. It was found that scientifically gifted students had similar concepts of the gifted to what scholars consider as the gifted. Comparing the programs to school education program, the students agreed that the science gifted education program provided more experiments opportunities, higher and deeper level of contents, and more active interactions. Regarding long-term effects, it was found that program influenced on students' decisions for the future, stimuli and expansion of horizons, school work and entrance examinations. Students gained self-confidence and became more interested in science. Some pointed out that they felt greater stimulated, although some indicated an elevated level of self conceit. Implications of science gifted education were found based on these results.

과학영재 추수관리체제 모델 개발 예비연구: 국가수준 과학영재교육기관 사례를 중심으로 (Research on Follow-up Management Systems for Scientifically Gifted: Focusing on the Case of the Nation-level Institutes for Gifted and Talented Education)

  • 강정하;허남영;백민정;한기순
    • 영재교육연구
    • /
    • 제24권6호
    • /
    • pp.975-1000
    • /
    • 2014
  • 본 연구는 국가수준 과학영재교육 기관들의 과학영재 추수관리 현황에 대한 사례연구이다. 연구 목적은 국가수준 과학영재교육 수혜자들이 세계적으로 경쟁력 있는 과학인재로 지속 성장할 수 있도록, 그들을 계속 관리, 지원하는데 토대가 될 추수관리체제 개념모델을 개발하는데 있다. 구체적으로, 과학영재를 체계적이고 효율적으로 추수관리하는 체제의 구성요소를 밝히고자 한다. 이를 위해, 우선적으로 과학영재교육 전문가 의견 수렴을 통해 가설모델(초안)을 생성하였고, 다음으로, 과학영재교육 기관의 추수관리 사례 조사를 위해 가설모델(초안)을 기본틀 및 분석틀로 활용하였다. 이 과정에서 가설모델(수정안)이 산출되었고, 이는 사례 분석으로 타당화 과정을 거치면서 개념모델로 성장, 완성되었다. 전문가 의견 수렴에는 12인의 전문가가, 그리고 추수관리 기관 사례 조사에는 6개 기관이 참여하였다. 결과, 과학영재 추수관리 체제는 3개의 상부체제-자원체제 운용체제 활용체제-로 구성되며, 각 상부체제는 2개~3개의 하부체제로 이루어진다. 즉, 자원체제는 인적정보체제와 교육정보체제로, 운용체제는 입력체제, 분석체제, 관리체제로, 마지막으로 활용체제는 예축체제, 검증체제, 그리고 개선체제로 구성되는 것이 타당한 것으로 검증되었다.

서가대에 게시된 소자보를 통해 본 과학영재들의 심리적 특성 (A Study of Psychological Description of Scientifically Gifted Students through the Sojabo Post Noticed on their Bookshelves)

  • 육근철;김언주;이군현
    • 영재교육연구
    • /
    • 제11권1호
    • /
    • pp.43-65
    • /
    • 2001
  • 과학영재들이 도서실 서가대에 적어 논 소자보를 수집 분석하여 그들이 어떤 문제에 관심을 가지고 있으며, 자신의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서 자기 자신을 어떻게 통제하고 길들이고 있는가를 알아보았다. 그 결과 과학영재들은 학교공부 및 진학에 가장 큰 관심을 갖고 있으며 자기자신의 자아실현을 위해서 끊임없이 담금질을 하는 목표 지향적 특성을 가지고 있었다. 특히 교사와의 인간관계에 있어서 매우 힘들어하는 경향이 나타났다.

  • PDF

뇌의 인지기능 특성을 통한 과학 영재성 판별 (Identifying the scientifically giftedness through brain's cognitive function characteristics)

  • 하종덕;송경애
    • 영재교육연구
    • /
    • 제15권2호
    • /
    • pp.77-100
    • /
    • 2005
  • 본 연구는 과학영재교육의 중요성이 증대되고 있는 현 시점에서 그 동안 실시 되어온 과학영재성 판별방법과는 다른 접근을 시도하고자 수행되었다. 즉 그 동안의 판별은 주로 인지수행의 결과적인 측면을 다루었다고 본다면, 본 연구는 인지수행의 과정적인 측면을 다루었다고 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우선 영재성 판별 및 뇌기능 연구방법과 뇌의 정보처리과정에 대한 이론적인 문헌고찰을 하였고, 이를 바탕으로 초등학교 4-6학년 아동 중 과학영재아 11명, 일반아 10명을 연구대상으로 선정하여 PC용 뇌파측정기를 통해 과학영재아와 일반아들의 뇌파특성을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과학영재아들은 과학적이고 창의적인 문제해결과제를 수행 중에 좌뇌 보다는 우뇌의 활성도가 높았고, 평소와는 달리 과학적이고 창의적인 문제해결 과제를 수행 중에는 좌.우뇌의 뇌파 특성이 모두 일반아들에 비해 세타파와 알파파의 활성도가 높았다. 또한 과학영재아들은 평소 특정한 과제를 수행하고 있지 않은 상태에서 보다 과학적이고 창의적인 문제해결력과 같은 특정 과제를 수행하는 중에서 세타파의 활성도가 높고, 그 차이는 좌뇌에서 보다는 우뇌에서 더 큰 차이를 나타내고 있었다. 따라서 특정과제 수행 하에서의 뇌파특성은 과학영재 판별의 한 방법으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초등 과학영재 학생과 일반 학생의 과학상상화 특성 및 과학상상화 그리기에 대한 인식 비교 (Comparing Characteristics and Perceptions of Science Imaginary Drawings of Scientifically-Gifted and General Elementary Students)

  • 이지영;강훈식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35권5호
    • /
    • pp.817-827
    • /
    • 2015
  • 이 연구에서는 초등 과학영재 학생과 일반 학생의 과학상상화 그리기 특성 및 인식을 비교하였다. 이를 위해 경기도 지역 소재 3개 영재교육기관에서 초등학교 6학년 과학영재 학생 60명, 같은 지역 2개 초등학교에서 일반 학생 51명을 선정한 후, 설문 조사를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일반 학생보다 과학영재 학생들의 과학상상화에서 학문 분야와 장소가 좀 더 다양하게 분포 및 통합되어 있었다. 또한, 일반 학생보다 과학영재 학생의 과학상상화가 더 정교하였으나, 채색의 완성도는 부족한 경향이 있었다. 일반 학생보다 과학영재 학생들이 인지적 및 정의적 측면에서의 과학상상화 그리기의 교육적 효과에 대하여 더 긍정적으로 인식하였다. 그러나 과학상상화에 대한 이해, 시제에 따른 과학상상화의 분포, 심미적 측면에서의 과학상상화 그리기의 교육적 효과와 과학상상화 그리기 과정에서의 어려움에 대한 인식에서는 일반 학생과 과학영재 학생 사이에 의미 있는 차이가 없었다. 일부 과학영재 학생들은 과학상상화 그리기가 일반 학생보다 과학영재 학생에게 더 도움이 되는 것은 아니라고 인식하기도 하였다. 이에 대한 교육적 함의를 논하였다.

과학영재교육센터 평가 기준 개발 (Standards for Evaluation of a Center for Scientifically Gifted Education)

  • 최돈형;강완;손연아;전영석
    • 영재교육연구
    • /
    • 제11권2호
    • /
    • pp.59-85
    • /
    • 2001
  • 본 연구는 대학부설 과학영재교육센터의 종합적인 평가 기준을 개발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서 먼저, 국내 대학부설 과학영재교육센터의 운영 현황을 분석하고 과학영재교육센터 운영에 있어서 시급한 문제점을 도출하였고, 다음으로 ‘특수목적고’와 시·도교육청이 운영하고 있는 ‘과학영재반’과의 차별성을 위한 대학부설 과학영재교육센터의 위상을 정립하기 위한 과학영재교육센터 평가의 기본 방향 및 평가틀을 구안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과학영재교육센터 평가 영역별 평가 기준 및 평가 방법을 구안하였다. 마지막으로, 이상의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실제 과학영재교육센터 평가에 적용하기 위한 평가 종류(시기)에 따른 평가 방법과 활용 방안을 정리·제시하였다. 본 연구에서 개발한 과학영재교육센터 평가 기준은 우리나라 대학부설 과학영재교육센터의 효율적인 평가를 위해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 PDF

과학영재들은 어떻게 사고하는가 (How Do Scientifically Gifted Students Think)

  • 한기순;배미란;박인호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23권1호
    • /
    • pp.21-34
    • /
    • 2003
  • 본 연구는 현재 과학 영재 교육 프로그램에 참가하고 있는 266명의 과학 영재들을 대상으로 Sternberg(1988, 1990)의 정신자치제 이론에 기초한 사고양식 검사 도구를 사용하여 그들의 사교양식의 특성을 밝히고, 사고양식과 지능 및 창의성과의 관계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에 따르면 과학영재들은 일반 학생들 보다 자유주의적이고 입법적인 성향, 그리고 사법적인 성향을 두드러지게 나타났다. 이러한 경향은 집행적이고 보수적의적인 성향보다 창의적이고 비판적인 사고에 적합한 양식이라고 할 수 있다. 또한 사고양식은 지능검사 및 과학적 탐구능력과는 거의 관계가 없었지만, 창의성 검사와는 부분적인 상관을 보여 주었다. 즉 자유주의적인 성향이 강한 학생들은 TTCT검사의 독창성에서 높은 점수를 받았고, 유창성은 보수주의적인 경향성과 부적인 상관을 보였다. 또한 사법적인 양식은 독창성 및 융통성과 긍정적인 상관이 있었다. 본 연구를 통해서 과학 영재들의 사고양식의 경향성을 파악할 수 있었으며, 이러한 점을 고려하여 과학 영재교육에 시사점을 제공하였다.

중학교 과학영재의 완벽주의 성향과 스트레스와의 관계 (A study on the Perfectionism and stress of the Scientifically Gifted Middle school students)

  • 송경애;이지현
    • 영재교육연구
    • /
    • 제11권2호
    • /
    • pp.23-37
    • /
    • 2001
  • 본 연구는 과학영재 중학생과 일반 중학생의 완벽주의 성향과 스트레스 요인별 강도를 비교하고 완벽주의 유형과 스트레스와의 관계를 살펴보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질문지 조사를 통해 143명의 과학영재 중학생과 148명의 일반 중학생의 완벽주의 성향과 스트레스를 살펴본 결과, 전반적인 완벽주의 성향은 과학영재집단이 비교집단에 비해 높게 나타났는데 특히 영재집단의 자기지향적 완벽주의가 높았으며, 스트레스는 일반학생들이 영재집단에 비해 더 많이 받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영재집단의 경우 학교생활에서 느끼는 스트레스와 사회적으로 부과된 완벽주의에 있어 유의한 상관을 나타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