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ualitative Research on Behavioral Characteristic of KSA Students That Appear to Observation Recording of Parents and Qualitative Admission Data by CAQDAS

CAQDAS에 의한 부모의 관찰 기록 및 질적 선발 자료에 나타난 한국과학영재학교 학생들의 행동 특성에 관한 질적 연구

  • Received : 2010.03.09
  • Accepted : 2010.05.17
  • Published : 2010.08.31

Abstract

The personal introduction of 2009 academic year Korea Science Academy (KSA) freshman, 143 persons, recommendation that is filled with giftedness cases and observation recording through observing the students by guidance teacher and professor, and Observation recording paper about students that is made by parents, were analyzed in order to investigate behavior characteristics of the Scientifically Gifted by Computer Assisted Qualitative Data Analysis System (CAQDAS). We could divide behavior characteristics of the Scientifically Gifted to 5 main categories by study results. As well as this study may make up for foreign researches and existing researches dependent on quantitative research about behavior characteristics of the Scientifically Gifted, This can be used as a useful data for development of instrument for identifying the scientifically Gifted and teaching-studying program by supporting understand behavior characteristics of the Scientifically Gifted as a specific area of giftedness.

2009학년도 한국과학영재학교 신입생 143명의 자기소개서와 지도 교사와 교수가 관찰한 학생들의 영재성 사례와 관찰 기록을 담은 추천서, 학부모의 학생에 대한 관찰기록지를 컴퓨터 보조 질적 분석 체계(Computer Assisted Qualitative Date Analysis System)를 이용한 질적 분석을 통해 과학 영재에게서 나타나는 행동 특성을 알아보았다. 연구 결과 과학 영재의 행동 특성을 5개의 주요 범주로 나눌 수 있었다. 본 연구는 외국의 연구와 양적 연구에 의존한 기존의 영재의 행동 특성 연구를 보완해줄 뿐 아니라 영재성의 구체적인 영역으로서 과학 영재의 행동 특성을 파악할 수 있게 하여 과학 영재를 판별 도구 및 교수학습 프로그램의 개발에 유용한 자료로 이용될 수 있을 것이다.

Keywords

References

  1. 김민정, 류성림 (2007). 수학영재의 특성에 관한 사례연구. 한국수학교육학회지 시리즈C<초등수학교육>, 10(1), 41-56.
  2. 김선희, 김기연, 이종희 (2006). 중학교 수학영재와 과학영재 및 일반학생의 인지적.정의적.정서적 특성 비교. 수학교육학회지, 44(1), 113-124.
  3. 김정휘 (1998). 영재 학생 식별 편람. 서울: 원미사.
  4. 김진희 (1994). 영재 판별 평정 척도의 타당화 연구.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5. 남궁근 (2004). 행정조사방법론. 서울: 법문사.
  6. 박민정, 전동렬 (2008). 과학 영재교육 대상자 선발방법으로써 교사 추천제 분석: 학생의 과학적 태도, 탐구력, 사고력, 문제 해결력, 창의성을 중심으로.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8(2), 111-119.
  7. 박병관 (2008). 학습능력검사. 서울: KPTI 한국심리검사연구소.
  8. 박성익, 조석희, 김홍원, 이지현, 윤여홍, 진석언, 한기순 (2003). 영재교육학원론. 서울: 교육과학사.
  9. 방승진, 최중오, 김혁 (2006). 패턴인식을 이용한 과학영재 판별도구에 관한 연구. 한국수학교육학회지 시리즈E<수학교육논문집>, 20(4), 551-559.
  10. 서울대학교 교육연구소 편 (2007). 교육학용어사전. 서울: 하우동설.
  11. 신명희, 김주현 (2002). 과학영재의 지능특성 연구. 연세교육과학, 50, 77-92.
  12. 오경애, 김성원 (1995). 중학교 과학영재아에 대한 교사와 부모의 태도 및 과학영재아의 행동특성. 한국과학교육학회지, 15(3), 291-302.
  13. 육근철, 김언주, 이군현 (2001). 서가대에 게시된 소자보를 통해 본 과학영재들의 심리적 특성. 영재교육연구, 11(1), 43-65.
  14. 이경숙, 허명 (2004). 초등학교에서 활용 가능한 과학 영재 판별 도구 개발. 이화논총, 14, 119-134.
  15. 이군현 (1990). 과학영재 학생에 관한 사례연구. 교육학연구, 28(1), 131-144.
  16. 이명선 (1999). 컴퓨터를 이용한 질적 자료 분석. 기본간호학회지, 6(3), 570-582.
  17. 이명자 (2002). 과학영재의 특성 분석. 경북대학교교육학논총, 23(1), 127-140.
  18. 이명자 (2001). 다분문항반응이론을 활용한 영재 판별 측정 도구 개발. 경북대학교교육학논총, 22(1), 161-180.
  19. 이용숙, 김영천 (2008). 교육에서의 질적연구: 방법과 적용. 서울: 교육과학사.
  20. 이종규 (2007). 질적 연구방법론. 서울: 교육과학사.
  21. 이해명 (2006). 영재교육의 이론과 실제. 서울: 교육과학사.
  22. 이화국 (1999). 과학영재의 판별과 선발 방안. 화학교육, 26(2), 29-33.
  23. 임혜숙 (1997). 영재아동의 행동특성에 관한 일연구 : 기관 영재, 일반 영재를 중심으로. 교육심리연구, 11(3), 183-205.
  24. 장언효, 조석희 (1980). 영재의 심리적 특성에 관한 연구. 서울: 한국교육개발원.
  25. 정연태 (1985). 고등학교 과학영재아 실태조사와 대학 특별프로그램 참가자 선발 기준개발. 서울: 서울대학교 출판부.
  26. 조석희 (1993). 자녀에 대하여 부모가 갖는 영재성의 개념 및 판별상의 정확도. 영재교육연구, 2(1), 181-193.
  27. 조용환 (2008). 질적연구 방법과 사례. 서울: 교육과학사.
  28. 조은부, 백성혜 (2006). 초등과학 영재학급 학생들과 일반 학생의 인지적 특성 비교 분석.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6(3), 307-316.
  29. 한종하 (1987). 과학영재교육론. 서울: 학연사.
  30. 한국교육개발원 (2002). 창의적 지식 생산자 양성을 위한 영재교육-이론 전문직편-(교육인적자원부 주최 제3기 영재교육담당교원 직무연수 교재). 서울: 한국교육개발원.
  31. Brandwein, P. F. (1986). A portrait of gifted young with science talent. Roeper Review, 8(4), 235-243. https://doi.org/10.1080/02783198609552981
  32. Brandwein, P. F. (1955). The gifted student as a future scientists. New York: Harcourt, Brace Co.
  33. Cattell, R. B., & Butcher, H. J. (1968). The prediction of achievement and creativity. Indianapolis, IN: Bobbs-Merrill.
  34. Conard, P., & Reinharz, S. (1984). Computers and qualitative data: Editors' introductory essay. Qualitative Sociololgy, 7(1/2), 3-15. https://doi.org/10.1007/BF00987104
  35. Guba, E., & Lincoln, Y. (1985). Naturalistic inquiry. Newbury Park, CA: California.
  36. Dauber, S. L., & Benbow, C. P. (1990). Aspects of personality and peer relations of extremely talented adolescents. Gifted Child Quarterly, 34, 10-15. https://doi.org/10.1177/001698629003400103
  37. Davis, D., & Rimm, S. (1989). Education of the gifted and talented(2nd ed.). Englewood Cliffs, NJ: Prentice-Hall.
  38. Fetterman, D. M. (1989). Ethnography: Step by step. London: Sage.
  39. McCrae, R. R., & Costa, P. T. (1999). A five factor theory of personality. In L. A. Pervin, & O. P. John (Eds.), Handbook of personality: Theory and research (2nd ed.). New York: Guilford Press.
  40. Renzulli, J. S., Smith, L. H., White, A. J., Callahan, C. M., & Hartman, R. K. (1977). Scales for rating the behavioral characteristics of superior students. Mansfield Center, CT: Creative Learning Center.
  41. Roe, A. (1951). A psychological study of physical scientists. Genetic Psychlolgy Monographs, 43(2), 121-235.
  42. Roe, A. (1953). The making of a scientist. New York: Dodd, Mead.
  43. Roe, A. (1956). The psychology of occupations. New York: Willy.
  44. Stanley, J. C. (1978). Educational non-acceleration: An international tragedy. Gifted Child Today, 1(3), 2-5.
  45. Strauss. A., & Corbin, J. (2001). 질적연구 근거이론의 이해 [신경림 역] 서울: 현문사.(원본출간년도: 1998).
  46. Terman, L. M. (1925). Mental and physical traits of thousand gifted children, genetic studies of genius. Vol. 1, Stanford, CA: Stanford University Press.
  47. Terman, L. M. (1954). Scientists and nonscientists in a group of 800 gifted man. Psychological Monographs: Gerneral and Applied, 68(7), 1-44.
  48. Terman, L. M. (1955). Are scientists different. Scientific American, 192(1), 25-29. https://doi.org/10.1038/scientificamerican0155-25
  49. Terman, L. M. (1959). The gifted group at mid-life: Thirtyfive years follow-up of the superior child (genetic studies of genius, Vol. 5). CA: Stanford University Press.
  50. Walberg, H. J. (1982). Educational productivity: Theory, evidence, and prospects. Australian Journal of Education, 26(2), 115-1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