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Research on Follow-up Management Systems for Scientifically Gifted: Focusing on the Case of the Nation-level Institutes for Gifted and Talented Education

과학영재 추수관리체제 모델 개발 예비연구: 국가수준 과학영재교육기관 사례를 중심으로

  • Received : 2014.10.10
  • Accepted : 2014.12.29
  • Published : 2014.12.31

Abstract

This study is a case study about the status of science gifted follow-up management systems for nation-level institutes for gifted and talented education. The aim of the study is to develop the theoretical model that establishes the basis of follow-up management systems for scientifically gifted to support in order to grow the beneficiaries of nation- level scientifically gifted education into globally competitive talented. Specifically, this study says the components of the systematic and efficient structure for nation-level gifted follow-up management. For this, we collect the experts' opinions on gifted education for follow-up management of the beneficiaries on national level science gifted, and gifted and talented education institutions conducted the case study for follow-up management. The collecting of experts' opinion have participated 11 persons, and 6 institutes were involved in the case study of follow-up management institutes. As a result, it reports for scientifically gifted follow-up management systems to be made by forming of the upper systems and each lower systems. Resources system was found to be composed of human information system and education information system. Operating system was found to be composed of input system, analysis system, and management system. Application system was found to be composed of prediction system, verification system and improvement system.

본 연구는 국가수준 과학영재교육 기관들의 과학영재 추수관리 현황에 대한 사례연구이다. 연구 목적은 국가수준 과학영재교육 수혜자들이 세계적으로 경쟁력 있는 과학인재로 지속 성장할 수 있도록, 그들을 계속 관리, 지원하는데 토대가 될 추수관리체제 개념모델을 개발하는데 있다. 구체적으로, 과학영재를 체계적이고 효율적으로 추수관리하는 체제의 구성요소를 밝히고자 한다. 이를 위해, 우선적으로 과학영재교육 전문가 의견 수렴을 통해 가설모델(초안)을 생성하였고, 다음으로, 과학영재교육 기관의 추수관리 사례 조사를 위해 가설모델(초안)을 기본틀 및 분석틀로 활용하였다. 이 과정에서 가설모델(수정안)이 산출되었고, 이는 사례 분석으로 타당화 과정을 거치면서 개념모델로 성장, 완성되었다. 전문가 의견 수렴에는 12인의 전문가가, 그리고 추수관리 기관 사례 조사에는 6개 기관이 참여하였다. 결과, 과학영재 추수관리 체제는 3개의 상부체제-자원체제 운용체제 활용체제-로 구성되며, 각 상부체제는 2개~3개의 하부체제로 이루어진다. 즉, 자원체제는 인적정보체제와 교육정보체제로, 운용체제는 입력체제, 분석체제, 관리체제로, 마지막으로 활용체제는 예축체제, 검증체제, 그리고 개선체제로 구성되는 것이 타당한 것으로 검증되었다.

Keywords

References

  1. 교육과학기술부 . 16개시도교육청 . 한국교육개발원 영재교육연구센터(2012). 영재교육종합데이터베이스 2012 통계 입력 매뉴얼[교육기관용].
  2. 김양분, 김성식, 박성호, 민병철, 강상진, 김현철, 신종호(2006). 한국교육종단연구2005(II). 한국교육개발원.
  3. 김언주, 이군현, 문정화(2000). 과학고등학교 졸업생에 대한 추적 조사 연구. 영재교육연구, 10(1), 55-74.
  4. 심재영, 김언주, 김종득(2006). 과학영재교육을 위한 인재양성현황 분석 및 정책개발. KAIST과학영재교육연구원; 대전.
  5. 육근철, 문정화(2004). KAIST 조기진학을 위해 초고속 속진학습을 받은 과학영재들의 성취정도와 효과에 대한 종단연구. 영재교육연구, 14(2), 1-18.
  6. 양태연(2012). 추적연구를 통한 과학영재교육원 수료생들의 진로탐색. 한국교육개발원, KD2012-39-03-04.
  7. 이군현, 신붕섭, 김언주(1999). 주요 이공계 대학 수석입학자 추적연구. 교육행정학연구, 17(4), 195-220.
  8. 이재호, 김연희, 김선경, 권남오(2009). 국가과학영재 통합정보시스템 중장기 발전 방안. 한국과학창의재단 최종보고서 2009-13.
  9. 임인성, 심재영, 김언주, 민병희(2006). 국제천문올림피아드 참가자에 대한 추적연구. 천문학논총, 21(1), 11-20. https://doi.org/10.5303/PKAS.2006.21.1.011
  10. 임인성, 성현일, 김유제, 최승언(2011). 천문올림피아드 국제대회 참가자에 대한 추적연구. 천문학논총, 26(3), 103-114. https://doi.org/10.5303/PKAS.2011.26.3.103
  11. 임현정, 김양분, 김성식, 이규민, 이애리, 윤은애(2009). 한국교육종단연구2005(V). 한국교육개발원, RR2009-26.
  12. 천세영, 김정겸, 김환식, 백영실, 김창환(2002). 교육통계 조사항목 및 연보체계 개편방안 연구. 교육인적자원부 정책연구과제, 2002-특-20.
  13. 한기순, 김명숙, 안도희, 양태연, 이정훈(2007). 대학부설 과학영재교육원 프로그램 효과성의 총체적 진단과 분석. 한국과학재단 2007.
  14. Denzin, N. K. (1989). The Research Act: A Theoretical Introduction to Sociological Methods(3rd). NJ: Prentice Hall.
  15. Hatch, J. A. (2008). 교육상황에서 질적 연구 수행하기. [진영은 역]. 서울: 학지사. (원전은 2002 출판).
  16. Mason, J. (1999). 질적 연구방법론. (김두섭 역). 서울: 나남출판. (원전은 1996에 출판)
  17. Luhmann, N. (2007). 사회체계이론. (박여성 역). 한길사. (원전은 1984 출판)
  18. Strauss, A. & Corbin, J. (1990) Basics of Qualitative Research: Grounded theory procedures and techniques. SAGE Publication, Inc..