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cientifically gifted

검색결과 143건 처리시간 0.024초

과학 영재 아동과 일반 아동의 창의적 과학 문제 해결 과정에 대한 사례 연구 (A Case Study on the Scientifically-Gifted Students' and Average Student's Creative Science Problem Solving Processes and Skills)

  • 심혜진;장신호
    • 한국초등과학교육학회지:초등과학교육
    • /
    • 제25권spc5호
    • /
    • pp.532-547
    • /
    • 2007
  • The purposes of this study were to investigate the creative science problem solving (CSPS) process amongst scientifically-gifted students and average students through the qualitative think-aloud research method, and to compare the differences in their CSP, scientific knowledge, scientific process skills, creative thinking, and finally, the affective domain used in their CSPS. For the purposes of this study, two scientifically-gifted 6th grade students and one average student were selected. The results show that one gifted student with good creative thinking skills exhibited better performance in CSPS than the other gifted student, who had the highest level of scientific knowledge. In the case of the average student, in spite of her high level of factual knowledge, she had difficulty in proceeding in CSPS due to her shallow scientific knowledge along with her low level of understanding of the given problem. This study highlights the importance of considering the factors which influence successful CSPS and which can play an important role in the education of scientifically-gifted children. These factors were identified as scientific knowledge, understanding of the scientific process, creative thinking, the affective domain, and science problem solving skills.

  • PDF

초등학교 5학년 과학영재와 일반 학생들의 포화 용액 개념에 대한 비유 만들기 과정의 유형과 비유 만들기에 대한 인식 (The Types of Analogy Generation Processes and the Perceptions of Analogy Generation on Saturated Solution of Fifth Grade Scientifically-gifted and General Elementary Students)

  • 노태희;양찬호;강훈식
    • 한국초등과학교육학회지:초등과학교육
    • /
    • 제29권2호
    • /
    • pp.219-232
    • /
    • 2010
  • In this study, we investigated and compared the types of analogy generation processes and the perceptions of analogy generation on saturated solution of fifth grade scientifically-gifted and general elementary students. After the instruction of self-generating analogies on 'saturated solution' concept for two classes, 12 scientifically-gifted and 8 general elementary students were interviewed to explore their analogy generation processes and the perceptions of the abilities required in the processes, the conditions of good analogies, and the advantages/disadvantages of analogy generation. The results revealed that their analogy generation processes were classified into three types. The scientifically-gifted students generated the analogies in more systematic and efficient ways and had better understanding of the important parts in the processes than the general elementary students. They also suggested more concrete and various ideas about the conditions of good analogies. Many scientifically-gifted and general elementary students thought that analogy generation would have positive influences on the developments of the cognitive aspects such as various higher-level thinking abilities and understanding of science concepts as well as the affective aspects such as science learning motivation and interest. Educational implications of these findings are discussed.

  • PDF

과학영재와 일반학생들의 창의적 사고 편향에 대한 분석 (Analysis on Creative Thinking Leaning Between Scientifically Gifted Students and Normal Students)

  • 정덕호;박선옥
    • 영재교육연구
    • /
    • 제21권1호
    • /
    • pp.175-191
    • /
    • 2011
  • 본 연구는 일반 학생들과 과학영재들을 대상으로 문제해결과정에서 주로 활용하고 있는 창의적 사고의 편향을 알아보기 위한 것이다. 일반 학생 144명과 과학영재 97명을 대상으로 창의적 사고의 편향을 알아보기 위하여 R/LCT, BPI를 실시하였다. R/LCT에서 일반 학생들은 우뇌 영역의 사고를 주로 활용하였고, 과학영재들은 좌뇌 영역의 사고를 주로 활용하였다. 일반학생들은 전체적 사고의 활용을 가장 선호하였고, 언어적 사고를 가장 기피하였다. 과학영재들은 논리적 사고를 가장 선호하였고, 임의적 사고를 가장 기피하였다. 일반 학생들의 좌뇌선호집단과 우뇌선호집단 간 좌뇌 영역 사고의 성향과 우뇌 영역 사고의 성향에서 모두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즉, 각 집단은 특정의 사고에 편향되어 문제를 해결하려는 경향이 분명하다. 그러나 과학영재들은 좌뇌선호집단과 우뇌선호집단 간 좌뇌 영역 사고 성향은 차이가 적고 주로 우뇌 영역의 사고 성향에서 차이가 크게 나타났다. 즉 과학영재들은 두 집단 모두 논리적 사고, 상징적 사고, 직선적 사고 등 좌뇌 영역의 사고를 적극적으로 활용하고 있다. 결과적으로 과학영재는 일반학생들에 비해 문제를 해결하는 과정에서 서로 다른 방식으로 문제를 해결하려고 한다. 따라서 복잡한 문제는 다양한 사고를 통하여 해결할 수 있으므로 효과적인 과학영재교육을 위하여 영재들의 창의적 사고의 편향을 고려한 교수학습방법이 요구된다.

과학영재의 스트레스, 완벽성, 낙관성과 학업성취도의 관계에 대한 연구 (A study on the stress, perfectionism, optimism and academic achievement of the scientifically gifted)

  • 하종덕;송경애
    • 영재교육연구
    • /
    • 제14권1호
    • /
    • pp.47-64
    • /
    • 2004
  • 본 연구는 중학교 과학영재 학생과 일반 중학생의 스트레스, 완벽성, 낙관성과 학업성취도에 어떤 차이가 있는지를 알아보는데 그 목적이 있다. 연구의 방법은 질문지 조사를 통해 154명의 과학영재 중학생과 145명의 일반 중학생의 스트레스, 완벽성, 낙관성을 비교하고 학업성취와의 관계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 스트레스는 과학영재 집단이 일반 학생에 비해 낮게 나타나 스트레스를 덜 받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과학영재 학생은 완벽주의 성향이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낙관성 역시 과학영재 학생들이 일반 학생보다 높게 나타났다. 스트레스, 완벽성, 낙관성과 학업성취의 상관관계는 의미 있는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학업성취에 있어서는 과학영재와 일반 학생 모두 스트레스, 완벽성, 학업성취는 상호 독립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생명과학 관련 주제에 대한 과학영재들의 글쓰기 특성 분석 (An Analysis of Writing Characteristics of Scientifically Gifted Students about Biological Sciences)

  • 송신철;심규철
    • 과학교육연구지
    • /
    • 제39권1호
    • /
    • pp.88-98
    • /
    • 2015
  • 본 연구에서는 과학영재들의 생명과학 관련 과학글쓰기 활동에서 나타난 과학글쓰기 특성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대학교 부설 과학영재교육원 소속 생명과학 분야 과학영재들 16개 모둠(남자 20명, 여자 20명)에서 작성한 과학글쓰기 활동 자료를 분석하였다. 과학영재들의 생명과학 관련 과학글쓰기 활동 자료는 생명공학, 생명윤리, 생활과학, 건강과 질병 등 4개 영역으로 구분하여 분석하였다. 과학영재들은 글의 구성이나 논리적으로 자신의 주장을 글로 표현하는 능력이 다소 부족한 것으로 나타났다. 그 중에서 생활과학이나 건강과 질병 관련 내용에 대해서는 글의 구성과 논리적인 글의 전개 등 상대적으로 나았으나 생명공학이나 생명윤리 등에 관해서는 충분한 의견을 제시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로 볼 때, 과학영재들의 논리적인 과학글쓰기 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영재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할 필요가 있으며, 아울러 생명공학 및 생명윤리 등과 같이 생명과학 이슈와 관련한 과학글쓰기 소재의 개발이 필요하다.

  • PDF

초등 과학 영재와 일반 아동의 과학 창의적 문제 해결 과정에서 나타난 사고 유형 및 특성 (The Comparison of the Scientifically Gifted and General Children's Characteristics on Reasoning Patterns in Creative Science Problem Solving Processes)

  • 이수진;배진호;김은진
    • 한국초등과학교육학회지:초등과학교육
    • /
    • 제25권spc5호
    • /
    • pp.567-581
    • /
    • 2007
  • This study examined patterns of reasoning of both the scientifically-gifted and children of average ability as witnessed in their science problem solving skills. Science problem solving skills are one of the significant characteristics of scientifically gifted children, and by using methods such as individual interviews, inductive reasoning, abductive reasoning, and deductive reasoning, the characteristics of these children can be to be further explored and categorized. The study also compared the findings with those of average children. This study sought to determine efficient guidelines fur teaching the scientifically-gifted, to come up with basic materials for developing relevant programs, and to find suggestions for identifying such students.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ly, the creative science problem solving skills of the scientifically-gifted were better than that of the average students. Secondly, all of the three reasoning patterns used revealed in creative science solving processes were different between the gifted and the average, especially in terms of abductive reasoning, which was proved to reveal the greatest distinction between the two groups.

  • PDF

초등 과학영재학생들의 자유탐구 산출물 특성 분석 (Analysis on the Characteristics of Free Inquiry Products for Scientifically-Gifted Elementary School Students)

  • 양현정;강훈식
    • 한국초등과학교육학회지:초등과학교육
    • /
    • 제39권2호
    • /
    • pp.243-254
    • /
    • 2020
  • This study analyzed the characteristics of "free inquiry" products for scientifically-gifted elementary school students. To do this, 5~6 graders (n=99) at a gifted science education institutes in Seoul were selected. The products (n=82) of "free inquiry" submitted by the students in 2018 and 2019 were analyzed according to their contents and method types. The analysis of the results showed that the free inquiry outputs of scientifically-gifted students tended to not include the scientific knowledge of the upper grades than the corresponding students. In the outputs, the scientific knowledge in different grades were often not linked. There were relatively many cases of convergence of knowledge in various science and/or non-science subjects and knowledge of 'physics', whereas knowledge of 'earth science' were the least. The outputs were more often aimed at "finding scientific facts" than "development and invention" and tended to target non-living things rather than living things. The scientifically-gifted students tended to conduct free inquiry using 'experimental-centered inquiry' by themselves rather than by group. They were also most likely to conduct experiments only once, and did not clearly write down the period of their inquiry. Educational implications of these findings are discussed.

과학영재교육센터 교육체제의 효율적인 운영방안에 관한 연구 (A Study for Advancing the Educational System of the Science Education Center for Gifted Youth)

  • 정원우;권용주;황석근
    • 영재교육연구
    • /
    • 제9권2호
    • /
    • pp.73-101
    • /
    • 1999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suggest an advanced system for educating scientifically gifted children in the Center for Science Talented Education at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 Several suggestions based on analysis of current identifying-process and instructional materials for scientifically gifted children were provided for advancing the educational system of the center. First, this study suggested a three-step procedure to identify procedure emphasized students reasoning skills as one of important characteristics of the gifted child. Second, this study provided an instructional model for developing hypothesis testing skills in scientifically gifted children. The model was originally based on Lawson's scientific reasoning processes and learning cycle mode. Third, this study also suggested an effective administration system of the Center for Science Talented Education. Further, this study suggested effective ways on research works for advancing the center, educating instructors, the cyber center for remote education, and international co-works for developing the gifted children's potential abilities.

  • PDF

초등학교 과학 영재와 일반 학생의 물리 오개념 비교 (Comparing Misconceptions of Scientifically-Gifted and General Elementary Students in Physics Classes)

  • 권성기;김지은
    • 한국초등과학교육학회지:초등과학교육
    • /
    • 제25권spc5호
    • /
    • pp.476-484
    • /
    • 2007
  • 본 연구의 목적은 일반 학생과 과학 영재 학생들의 열, 전자기, 힘, 빛 개념을 중심으로 한 물리 영역에 대한 오개념을 조사하여, 과학 영재 학생과 일반 학생을 비교하여 개념의 이해도, 오개념의 유형에 어떤 차이가 있는지 알아보기 위한 것이었다. 연구 대상은 대구 지역의 영재교육원의 과학 영재 75명과 동일 지역에 소재하고 있는 두 개의 초등학교 5, 6학년 학생 148명을 표집했다. 선행 연구와 교육 과정 분석을 통해 물리 영역에 대한 초등학교에서 갖추어야 할 개념을 선정한 후, 기존의 물리영역에 대한 개념 검사 도구를 보완 및 수정하여 문항을 작성하였으며, 일부는 개발하여 선택형과 진술형으로 초등학교 물리 오개념 검사 도구를 개발하였다. 20문항으로 구성된 그 검사 도구는 열개념, 전자기 개념, 힘 개념, 빛 개념을 대상으로 하며 각 개념별로 5가지의 하위 개념을 조사하였다. 진술형 문항에 의한 결과를 바탕으로 과학 영재학생과 일반 학생의 물리 개념의 이해도 차이를 분석하였고, 선택형 문항에 의한 결과를 바탕으로 오개념의 차이를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로 첫째, 열 개념, 전자기 개념, 힘 개념, 빛 개념에서 과학 영재 학생과 일반 학생 모두 이해도가 비교적 낮았으나, 과학 영재 학생이 일반학생보다 모든 물리 영역에서 개념 이해도가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로부터 과학 영재 학생이 일반 학생에 비해 물리 영역에 대한 개념에 대한 이해 수준이 높았다고 말할 수 있다. 또 과학 영재 학생이나 일반 학생 모두 개념 이해도가 전자기 개념, 열 개념, 힘 개념, 빛 개념 순으로 낮아져서 과학 영재 학생이나 일반 학생이 각각서로 다른 어떤 특정 개념의 이해에 곤란을 겪는 것은 아니고, 동일 개념에 대해 비슷한 난이도를 느끼고 있음을 보여주었다. 둘째, 과학 영재 학생과 일반 학생은 대부분 비슷한 오개념 유형을 나타냈으며 과학 영재 학생은 일반 학생에 비해 오개념을 적게 가지고 있었다. 결론적으로 초등학교 과학 영재 학생도 일반 학생처럼 과학에 대한 오개념을 가지고 있지만, 오개념이 정착되지 않아 학습 후 과학적 개념으로 쉽게 수정될 수 있는 가능성을 보여주었다.

  • PDF

초등 과학영재와 일반 학생의 과학탐구문제 발견 능력에 대한 비교 (A Comparison of Science Inquiry Problem Finding Ability of Gifted Elementary Students of Science and General Elementary Students)

  • 김민희;이석희
    • 한국초등과학교육학회지:초등과학교육
    • /
    • 제32권4호
    • /
    • pp.464-472
    • /
    • 2013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science inquiry problem finding ability of gifted elementary students of science and general elementary students. For this purpose, this study analyzed the types of science inquiry problems in an ill-structured problem finding situation. Also, this study has compared science inquiry problem finding abilities of those two groups. From the results of this study, new ways of improving student' science inquiry problem finding ability and selection of gifted students of science were suggested.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most of the inquiry problems generated by the scientifically gifted and the general students in an ill-structured problem situation could be categorized into seven types (measurement, method, cause, possibility, what, comparison, relationship) according to the inquiry objectives, and both group found more problems in scientific context than in everyday context. Regardless of the context of problem, scientifically gifted students found more problems and the type of problems generated by them were more various than those of general students. Second, there were differences in problem finding ability between scientifically gifted and general students. Scientifically gifted students found more problems and the quality of problems were higher than general stud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