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cience teaching-learning program

검색결과 381건 처리시간 0.03초

미국 학교도서관 기준 관련 문서 "21세기 학습자를 위한 기준"의 구조와 내용 분석에 관한 연구 (Study on the Structure and Contents Analysis of America New School Library Standards Sets Standards for the 21st-Century Learner)

  • 이병기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40권3호
    • /
    • pp.203-223
    • /
    • 2009
  • 미국 학교도서관 기준은 미국의 각 주(州) 정부의 학교도서관 정책은 물론 전 세계 학교도서관계에 지대한 영향을 미치고 있다. 미국의 학교도서관 기준은 미국교육학회(NEA) 주도로 1920년에 처음으로 제정된 이래 교육 및 기술 변화를 적극 수용하여 약 10여 차례 개정되어 왔으며, 가장 최근의 기준으로는 2009년에 AASL에서 발행한 "학습자 힘 기르기"가 있다. "학습자 힘 기르기"는 2007년과 2009년에 각각 발행한 "21세기 학습자를 위한 기준", "21세기 학습자를 위한 기준의 실천"을 바탕으로 하고 있으며, 전 세계의 학교도서관계에 영향을 끼칠 것으로 예상된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2007년에 제정한 학교도서관 기준 관련 문서 "21세기 학습자를 위한 기준"과 "21세기 학습자를 위한 기준의 실천"의 구조와 내용을 분석하여 학교도서관계의 동향을 파악하고, 우리나라 학교도서관 정책의 바로미터로 삼고자 한다. "21세기 학습자를 위한 기준"은 학교도서관의 교육적 비전을 제시하고, 학교도서관과 사서교사가 학생들의 학습에 어떻게 기여할 수 있는가를 보여주고 있다. "21세기 학습자를 위한 기준의 실천"은 학교도서관을 통해서 기준을 실천할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하고 있다.

  • PDF

간호대학생의 임상시험실무역량강화를 위한 '임상연구관리' 교과목 개발 (Development of Clinical Research Management: Enhancement of Nursing Students' Clinical Competency in Handling Clinical Trials)

  • 추상희;장연수;여기선;안지현;김두리
    • Journal of Korean Biological Nursing Science
    • /
    • 제16권3호
    • /
    • pp.192-200
    • /
    • 2014
  • Purpose: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 new course entitled 'Clinical Research Management' to enhance nursing students' clinical competency in handling clinical trials. Methods: The goals and content of the existing current education program for clinical research professionals such as clinical research coordinators and clinical research associates provided by the Korea National Enterprise for Clinical Trials were analyzed to identify the core educational concepts. A focus group interview was performed to investigate essential competency levels for the professionals who were to begin their career in the area of clinical trials after graduating from the college of nursing. Through these initial processes, we identified the core competency required for clinical research professionals and the related course content. Goals and objectives based on the specified four competencies were set and confirmed by expertise review. Results: We developed a new course entitled Clinical Research Management, a 16-week elective subject consisting of various teaching and learning strategies based on four core competencies: basic knowledge on clinical trials, communication, risk management, and ethics. Conclus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will contribute to enhancing nursing students' clinical competency, including knowledge, skills, and attitudes relevant to clinical trials.

예비초등교사들의 생식 및 유전에 관한 개념 분석 (A Conception Analysis on Reproduction and Inheritance of Elementary Preservice Teachers)

  • 홍승호
    • 한국초등과학교육학회지:초등과학교육
    • /
    • 제24권4호
    • /
    • pp.351-359
    • /
    • 2005
  • The aims of this research are to analyze elementary preservice teacher's conception and causes of their misconceptions on biological reproduction and inheritance. In future, it would be also to provide useful data for the effective teaching-teaming method in the elementary school as well as opportunities to correct their misconceptions, which help elementary preservice teachers have the appropriate scientific conceptions. Thirty kinds of test questions were designed in science curriculum for elementary students and biology textbook for university students in order to develop reproduction and inheritance's concepts. The questionnaire was given to 166 junior students of university of education in a local city. All statistical analysis was performed using SPSS version 10.0 program. The major results are as follows: Among 30 test questions, 2 questions in plants, 5 questions in animals and 2 questions in gene were appeared as misconceptions over $50\%$. The major reason to hold the misconceptions was influenced by 'learning up to now' category. The selection reasons of response were significantly different between scientific conceptions and misconceptions in 10 questions by analysis of variance. The gender also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scientific conception and misconception in 3 questions by $\chi^2$ test. The selection reasons according to gender were significantly different between male and female students in 5 questions. For the reasons in forming misconceptions, they may cause by stereotype, conscious priority, differences of experiences, interest or attention, lack of professional Knowledge, and so on. Therefore, it was concluded that this research may help elementary preservice teachers to reconsider their conception for reproduction and inheritance and to be successful in science instructions fur elementary students.

  • PDF

정신간호학실습교육에서 간호학생의 의사소통능력과 실습스트레스가 실습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요인 (Influencing Factor of Nursing Students' Communication Competence and Practice Stress on Practice Satisfaction in Psychiatric Nursing Practice)

  • 김미자;오현주
    • 실천공학교육논문지
    • /
    • 제15권1호
    • /
    • pp.63-72
    • /
    • 2023
  • 본 연구는 정신간호학실습교육에서 간호학생의 의사소통능력과 실습스트레스가 실습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기 위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연구대상자는 일 대학 4학년 간호학생 237명이었고 수집된 자료는 SPSS/WIN 24.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기술통계, t-test, ANOVA, 상관분석 및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의사소통능력은 실습만족도(r=.285, p<.001)와 양의 상관관계를 보였고, 실습스트레스 하부 영역 중 연계 교육(r=-.13, p<.05)과 음의 상관관계, 의료진과의 갈등(r=.18, p<.01)과는 양의 상관관계가 있었다. 실습스트레스는 실습만족도(r=-.28, p<.001)와 음의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정신간호학 실습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역할 모델(β=-.43, p<.001), 의사소통능력(β=.23, p<.001), 전공만족도(β=.21, p<.01), 연계 교육(β=.20, p<.05)이었으며 이 변수들의 설명력은 27.1%이었다. 간호학생의 실습만족도 향상을 위해 실습스트레스 하위요인인 역할모델, 연계교육과 의사소통능력을 고려한 교수학습법과 프로그램개발이 요구된다.

지역자원을 활용한 과학교과 연계 진로교육 프로그램 개발 연구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Career Education Program for Science Subjects Using Local Resources)

  • 문병찬
    • 대한지구과학교육학회지
    • /
    • 제16권2호
    • /
    • pp.210-223
    • /
    • 2023
  • 본 연구는 진로교육과 관계된 선행연구 결과들을 참고하여 과학교과 및 지역의 자연자원을 연계한 초중등 진로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초중학생들에게 적용하고 각 프로그램에 대한 학생들의 학습 결과와 진로 교육적 관점에서 학습효과 그리고 지역자원 연계 진로 프로그램개발과 운영에 따른 시사점을 탐색하였다.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지역의 자연과 사회자원을 활용한 10차시 분량의 진로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농촌지역 초중학생 25명에게 적용하였다. 연구결과, 본 연구에 참여한 초중학생들의 대부분은 본인들이 생활하는 지역에 대한 자연·사회적 자원가치를 잘 알지 못하였다. 그러므로 농어산촌 지역에서 초중학생들을 대상으로 하는 지역기반 진로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운영할 경우, 해당 지역의 자연·사회 정보 및 자원 적 가치에 대해 학생들이 충분히 알 수 있도록 별도의 교수/학습활동 시간을 운영하는 것이 필요하다. 또한 진로교육 프로그램에 대한 학생들의 참여와 흥미를 제고시키기 위해서는 프로그램의 운영을 개인이 아닌 모둠단위로 조직하고, 프로그램 수행과정을 몇 개의 하위단계로 나누어 각 단계에 대한 활동내용을 구체적으로 안내해 줌으로써 학생들이 프로그램을 수행하는데 활동내용과 순서를 명확히 인지하고 활동할 수 있도록 유도하는 것이 필요하다. 마지막으로, 지역 연계 진로교육 관련 프로그램의 중심소재가 자신과 관계 깊은 내용, 즉 부모님이 재배하는 농산물의 품목등에 더 집중 하였으며, 프로그램에서 미래 직업설정이 농장주 등 1차 생산관계자에 비해 여행사, 제조회사 대표 등 회사를 직접 운영하는 창업 등에서 학생들의 참여도와 흥미가 높게 나타났다. 최근 교육과정에서 진로교육이 강조되는 추세를 감안하여 특히 자연자원과 밀접한 내용적 관계가 있는 지구과학분야에서 지역의 자원 적 가치를 지닌 소재를 발굴하고 지구과학교육 분야에서 이를 지역자원과 연계한 진로교육 프로그램으로 개발·운영함으로써 지역 학생들이 자신의 지역에서 미래 직업을 탐색해 볼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해 주는 것에 더 많은 관심이 필요함을 제언한다.

TV 프로그램을 활용한 중학교 과학 진로교육 자료 개발 및 적용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Science Career Education Materials Using TV Programs in Junior High School)

  • 윤혜경;김형석;정혁식;김정연;김명순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26권4호
    • /
    • pp.518-526
    • /
    • 2006
  • 본 연구에서는 과학기술자와 관련된 TV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과학 수업에서 활용할 수 있는 과학 진로교육 자료를 개발하고 이러한 영상 자료가 학생들의 과학 진로 지향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살펴보고자 하였다. 또한 단순히 영상 자료만을 시청한 경우와 영상 자료를 보다 적극적으로 교과 학습과 연관 시키기 위해 교사의 인지적 설명을 추가한 경우 그 효과가 어떻게 다른지 분석하여 과학 교과에서 바람직한 진로교육 방안을 탐색하고자 하였다. TV 프로그램을 활용한 과학 진로교육 자료를 개발하였으며(전자저울, 헬멧, 압력밥솥 관련) 이를 서울 소재 중학교 1학년 2학급에 적용하여 그 결과를 분석하였다. 프로그램의 실시 효과는 '과학 진로 지향도' 설문을 사전, 사후에 실시하여 분석하였으며 영상 자료와 관련된 인지적 설명을 한 것과 하지 않은 것의 차이를 알아보기 위해 과학 진로 지향도 각 범주별 사전 점수를 공변량으로 한 공분산분석을 실시하였다. 중학교 1학년을 대상으로 개발된 영상 자료를 적용한 결과, 영상 자료만 시청하게 하는 경우 과학 진로 지향도의 유의미한 증가를 보이지 않은 반면 영상 자료와 관련된 인지적 설명을 보충한 경우에는 유의미한 증가(p<0.05)를 보여 과학 학습과 과학 진로교육이 유기적으로 통합하는 것이 의미 있음을 시사하고있다. 이는 또한 비형식 교육인 TV 프로그램 등을 과학 진로교육에 활용할 수 있는 가능성을 보여준다.

자연사관 관람에서 중학생 소집단의 대화적 탐구에서 나타나는 상호작용 유형 (Interaction Patterns in Dialogic Inquiry of Middle School Students in Small Groups in the Natural History Gallery)

  • 정원영;이주연;박은지;김찬종;이선경
    • 한국지구과학회지
    • /
    • 제30권7호
    • /
    • pp.909-927
    • /
    • 2009
  • 탐구는 과학교육의 본질을 설명해주는 결정적인 특징이다. 최근에는 스스로 문제를 제기하여 탐구하고 그것을 의사 소통하는 능력을 포함한 논증이 강조되고 있는데, 학교 탐구학습 맥락에서는 자율적이고 활발한 상호작용의 측면에서 그 한계가 지적되고 있다. 그래서 대안으로 비형식 맥락에서의 탐구학습이 제안되고 있으며, 이에 본 연구는 국립과천과학관 내 자연사관을 자유 관람하는 중학생 소집단의 대화적 탐구에서 나타나는 상호작용 유형을 밝히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중학생 13그룹의 탐구적 대화 42사례를 대상으로 탐구요소 및 상호작용 유형을 분석하였다. 탐구요소는 문제제기, 자료수집, 설명의 세 가지로 구분하였고, 상호작용은 대화의 흐름을 화살표로 도식화하여 나타내었다. 문제제기로부터 탐구가 시작된다고 보았으며, 문제제기 이후 후속적인 반응에 따라 유형이 구분되었는데, 총 7가지 유형이 발견되었다. 그 유형은 문제제기 공유, 문제제기-단순응답, 문제제기-단순설명, 문제제기-단순설명-(자료수집)-자료기반 설명, 문제제기-자료수집-자료기반 설명의 5가지로 크게 나누어지고, 가장 많은 빈도를 보인 유형 2는 다시 소극 회피적 응답, 부정확한 응답, 패턴의 반복으로 세분화되었다. 본 연구는 비형식 탐구학습에서 학교 탐구학습과 차별화되는 상호작용 패턴을 파악하였다는 점에서 기존 연구들과 차별성을 가지며, 비형식 탐구학습에서 상호작용 유형을 기술하고 있다는 점에서 비형식 탐구학습 연구를 위한 기초를 제공하였다는 의의를 가진다.

확률논리와 조합논리 미형성 학생의 논리지도에 대한 연구 (A Study on Teaching of Logical Thinking Students with Non-formation in Probabilistic Reasoning and Combinational Reasoning)

  • 김영신;박애련;임수민;정재훈;김수완;송하영
    • 과학교육연구지
    • /
    • 제33권1호
    • /
    • pp.69-76
    • /
    • 2009
  • 이 연구의 목적은 확률 논리와 조합 논리가 형성되지 않은 학생들에게 논리 지도를 위한 최적의 시기를 찾고자 하는 것이다. 초등학교 4, 5, 6학년 학생 430명을 대상으로 논리의 형성정도를 사전에 검사하였다. 검사도구는 GALT를 참고하여 개발하였고, 이는 과학 교육 전문가에게 타당도를 검증 받았다. 처리 프로그램은 두 가지 논리가 모두 형성되지 않은 각 학년 20명의 학생을 대상으로 수행하였다. 이는 바둑돌과 카드를 반복적으로 수행하는 검사도구이다. 4주 뒤 사후검사에서 확률논리와 조합논리의 발달정도를 알아보는 검사를 다시 수행하였고 그 변화는 확인되었다. 확률논리의 경우 4, 5, 6학년에서 형성율이 각각 15%, 25%, 40% 증가하였고, 평균도 .15, .30, .50 증가하였다. T-검증에 의한 의미있는 결과는 6학년 중에서 얻어졌다. 그러나 과도기 학생 비율(21.7%)를 제외하면 형성 학생의 비율은 5.0%로 여전히 저조하였고, 다수의 학생(73.3%)은 미형성 상태를 유지하였다. 조합논리의 경우 4, 5, 6학년에서 형성율이 각각 20%, 25%, 63.2% 증가하였고, 평균도 .20, .25, .63 증가하였다. T-검증에 의한 의미있는 결과는 역시 6학년 중에서 얻어졌다. 그러나 처치 후 논리 형성 학생으로의 전이는 없었으며, 과도기 학생의 비율만 35% 증가하였다. 위의 연구결과, 확률논리와 조합논리가 형성되지 않은 학생들은 학습을 통한 향상은 이루어 졌지만, 인지발달과 같은 질적인 변화는 이루어지지 않았다. 이 연구로 인하여 확률논리와 조합논리의 학습 효과가 큰 6학년 학생들의 인지수준 개선을 위한 여러 분야에서의 더 활발한 연구가 이루어지길 기대한다.

  • PDF

구성주의 프로파일로 표현된 예비교사들의 신념변화 (Preservice Teachers' Belief Change Represented as Constructivist Profile Change)

  • 곽영순
    • 한국지구과학회지
    • /
    • 제23권3호
    • /
    • pp.242-258
    • /
    • 2002
  • 본 연구는 구성주의 학습이론의 기초를 이루는 존재론 및 인식론적 관점에 대한 예비교사들의 이해수준을 조사한것이다. 각 예비교사들의 학습관의 인식론적, 존재론적, 교수론적 특성들의 발달을 네 번의 심층 인터뷰를 통하여 점검하였다. 인터뷰 자료는 존재론적, 인식론적,교수론적 신념을 포함하는 세 개의 프로파일을 작성하는 데 사용되었다. 본 연구는 구성주의 프로파일 변화라는 개념이 예비교사들의 신념변화를 분석 및 기술에 있어서 유용한 분석 도구로서 사용될 수 있음을 보여주었다. 중요 연구결과로는 구성주의 프로파일의 시간에 따른 변화, 시간에 따른 프로파일 구성요소의 다양화, 과학 교수${\cdot}$학습 프로파일 변화의 특징, 및 자신들의 프로파일에 대한 예비교사들의 인식부족 등이다. 그러나 이들 예비교사들에게 있어서 존재론 및 인식론적 신념변화는 쉽게 일어나지 않았으며, 쉽게 내면화되지도 않았다. 본 연구의 시사점은 예비교사들은 그들 프로파일 상의 공존하는 다양한 범주들에 대하여 인식하고 있어야 하며, 교사교육자들은 이러한 예비교사들의 신념을 변화시킬 수 있도록 설계된 수업들을 제공하여야 한다는 것이다. 즉, 예비교사들의 교수${\cdot}$학습에 대한 신념 프로파일에서 구성주의적 교수${\cdot}$학습관의 비율은 증가시키고 다른 바람직하지 못한 성분들의 비중은 줄여나갈 수 있는 방향으로 교사 교육과정을 설계하여야 한다.

초등학생의 수학학습 포기 인식과 정의적 요인 연관성 분석 (Elementary School Students Who Give Up on Learning Mathematics: Correlations with Non-cognitive Learner Characteristics)

  • 고호경;김형원;카지 시주오;최수영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C:초등수학교육
    • /
    • 제20권2호
    • /
    • pp.143-151
    • /
    • 2017
  • 본 연구는 수학포기자가 사회적 이슈로 대두되면서 실시한 수학학습 실태조사 데이터를 활용하여 초등학생 수학학습 포기 인식과 연관성이 높은 정의적 영역 요인과 정의적 영역 검사 문항을 추출하였다. 데이터 분석을 위하여 R의 빅데이터 분석 기법을 통해 기계학습 분석과 연관성 분석을 하였다. 그 결과 정의적 영역 요인 중에서는 효능감, 흥미 등이 가장 연관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정의적 영역 문항 중에서는 수학학습 포기 인식과 흥미 요인의 문항인 '나는 수학이 좋다'와 효능감 문항인 '나는 앞으로 수학을 더 잘할 수 있을 것이라 생각한다' 등 8문항을 순위별로 추출하여 초등학생을 대상으로 하는 정의적 영역 검사 간편 버전을 추출하였다. 본 연구에서 나온 결과는 초등학생의 정의적 영역 함양을 위한 지도에 있어서 보다 중점을 두어야 하는 사항을 시사할 것이다. 또한 본 연구에서 개발한 간편 버전은 향후 초등학생을 대상으로 하는 정의적 영역 검사에 활용될 것으로 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