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Science Career Education Materials Using TV Programs in Junior High School

TV 프로그램을 활용한 중학교 과학 진로교육 자료 개발 및 적용

  • Published : 2006.08.30

Abstract

Science career education is for every student as well as for students who want to become scientists. In this study, we developed and applied science career education materials using TV programs which showed successful application of science in industry and business. The effects of the programs were surveyed mainly by questionnaire on 'Science Career Orientation', which have four categories.Video materials using TV programs were effective in changing science career orientation (p<0.05) of junior high school students, but only when the teacher added some cognitive explanation on the scientific concept involved. Providing only video materials were not enough to make meaningful change on science career orientation. The results implied science career education should be linked with science teaching and learning. It also showed the possibility and the way of using informal education like TV program in science career education.

본 연구에서는 과학기술자와 관련된 TV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과학 수업에서 활용할 수 있는 과학 진로교육 자료를 개발하고 이러한 영상 자료가 학생들의 과학 진로 지향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살펴보고자 하였다. 또한 단순히 영상 자료만을 시청한 경우와 영상 자료를 보다 적극적으로 교과 학습과 연관 시키기 위해 교사의 인지적 설명을 추가한 경우 그 효과가 어떻게 다른지 분석하여 과학 교과에서 바람직한 진로교육 방안을 탐색하고자 하였다. TV 프로그램을 활용한 과학 진로교육 자료를 개발하였으며(전자저울, 헬멧, 압력밥솥 관련) 이를 서울 소재 중학교 1학년 2학급에 적용하여 그 결과를 분석하였다. 프로그램의 실시 효과는 '과학 진로 지향도' 설문을 사전, 사후에 실시하여 분석하였으며 영상 자료와 관련된 인지적 설명을 한 것과 하지 않은 것의 차이를 알아보기 위해 과학 진로 지향도 각 범주별 사전 점수를 공변량으로 한 공분산분석을 실시하였다. 중학교 1학년을 대상으로 개발된 영상 자료를 적용한 결과, 영상 자료만 시청하게 하는 경우 과학 진로 지향도의 유의미한 증가를 보이지 않은 반면 영상 자료와 관련된 인지적 설명을 보충한 경우에는 유의미한 증가(p<0.05)를 보여 과학 학습과 과학 진로교육이 유기적으로 통합하는 것이 의미 있음을 시사하고있다. 이는 또한 비형식 교육인 TV 프로그램 등을 과학 진로교육에 활용할 수 있는 가능성을 보여준다.

Keywords

References

  1. 교육부(1997). 제7차 교육과정 총론. 교육부
  2. 김성자(1999). 중학교 과학교육을 통한 진로교육 프로그램 개발에 관한 연구. 숙명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3. 김영수 외(1994). 교사용 지도자료 과학기술계의 진로지도. 서울 : 교육부
  4. 김충기(1998). 생활지도.상담.진로지도. 교육과학사
  5. 명전옥(1986). Factors affecting science track choice of Korean high school students. 한국과학교육학회지, 6(2), 63-72
  6. 박승재(1985). 진로지도자료 첨단과학기술의 길. 서울.서울특별시교육위원회
  7. 박정근(2001). 과학수업을 통한 진로교육이 중학생의 진로성숙에 미치는 효과. 동국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8. 박현아(2003). 10학년 과학 교수 학습을 통한 진로교육 연구. 국민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9. 양미경(2005). 제7차 교육과정 중학교 과학 교과서에 제시된 진로교육 내용 분석 및 중학교 2학년 과학 진로교육 프로그램 개발.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10. 양미경, 김소연, 여성희(2005). 제7차 중학교 과학교과서에 제시된 진로교육 관련 내용 분석. 한국생물교육학회지, 33(3), 338-349
  11. 양희진(2004). 중학생의 진로교육 인식 조사 및 중학교 3학년 과학 진로교육 프로그램 개발.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12. 육동은(2004). 중학교 교사들의 진로교육 인식 조사 및 중학교 1학년 과학 진로교육 프로그램 개발.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13. 윤진(2001). 과학 관련 진로 선택 요인들의 분석. 서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논문
  14. 윤진, 박승재, 명전옥, 정형식(2003). 초중등 학생들의 과학 진로교육 프로그램 및 자료개발을 위한 실태 분석. 교과교육공동연구 연구보고서
  15. 윤진, 박승재, 정형식(2004). 초중등 학생틀을 위한 과학진로교육 프로그램 및 자료의 연구 개발. 교과교육 공동연구 연구보고서
  16. 윤혜경, 김형석, 정형식, 김정연(2005). 종합적 과학 진로교육 프로그램 개발의 적용 및 효과 분석. 교과교육 공동연구 연구보고서
  17. 이화영(2001). 진로 관련 학습내용을 적용한 과학 수업이 학생들의 학업성취와 직업인식과 과학 학습태도에 미치는 영향.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18. 장경애(2001). 과학자들의 진로 선택과정에서 드러난 부각요인. 서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논문
  19. 전주영(2004). 중학교 과학교과서에 포함된 진로교육 내용 분석 및 진로교육을 반영한 교수학습자료 개발 : 중학교 '과학3'을 중심으로. 연세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20. 조선미(2002). 과학 관련 진로접근 수업에 관한 교사들의 인식과 진로접근 수업이 학생들의 학업성취 및 태도변화에 미치는 영향: 중학교 2학년 화학단원을 중심으로.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21. 조선영(2003). 과학교과를 통한 진로교육이 중학생의 진로성취도에 미치는 영향. 국민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22. 한국과학문화재단(2002), 과학기술자가 만드는 미래, 지금이 기회다. 교학사
  23. 한국진로교육학회 (편)(2000). 진로교육의 이론과 실제. 교육과학사
  24. Wang, J., & Staver, J. R. (2001). Examining relationships between factors of science education and student career aspiration. Journal of Educational Research, 94(5), 312-19. May-Jun 2001
  25. Woolnough, B. E. (1994). Factors affecting students' choice of science and engineering. International Journal of Science Education, 16, 659-67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