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cience Teacher

검색결과 2,359건 처리시간 0.03초

교원능력개발평가 사서교사 평가지표와 문항의 중요도 및 수행도에 대한 사서교사들의 인식 (Teacher Librarians' Perceptions of the Importance and Performance Frequency of Their Roles Inherent in the Indicators and Items for Teacher Evaluation)

  • 박지혜;최희준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40권4호
    • /
    • pp.93-111
    • /
    • 2009
  • 이 연구는 2009년에 개발되어 현재 선도학교를 통해 활용되고 있는 교원능력개발평가 사서교사 평가지표 및 문항에 대한 설문조사를 통해 그 개선점을 제안하였다. 연구결과 현행 평가지표 및 문항의 중요도에 대한 사서교사의 인식이 대체로 긍정적인 것으로 나타났고, 각 문항의 중요도와 수행도에 대한 사서교사의 인식에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 평가지표 및 문항에서 개선해야 할 점으로는 현재의 평가문항에 다양한 독서교육활동 실시여부에 대한 항목 추가, 자료조직 및 관리 관련 평가문항 수정의 필요성, 학생지도 평가영역 명칭에 대한 제고 등이 제기되었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현재 활용되고 있는 사서교사 평가지표와 문항이 대체로 타당하기는 하지만 일부분에서 수정 보완이 필요함을 제시하였다.

  • PDF

과학교사 학습공동체에서 나타나는 사회적 상호작용 과정의 분석 (Analysis of Social Interaction Process in Science Teachers' Learning Community)

  • 차가현;장신호
    • 한국초등과학교육학회지:초등과학교육
    • /
    • 제33권4호
    • /
    • pp.784-794
    • /
    • 2014
  • In this study, we operated science teacher learning community to enhance professionality of elementary science teachers. 8 participants with various background, which include their science content knowledge, teaching experience and beliefs about teaching, were involved in this study. Bales(1950)'s social interaction process framework was mainly used to understand the members' interaction, focusing particularly on process aspects not on contents aspects. The data analysis shows that the members in the science teacher learning community tried their best to maintain the positive reaction to other members in most occasions in the community meetings. On the other hand, there were also negative reaction process due to their different ideas and views, causing their emotional conflicts in some social relations and dialogical situations. Nevertheless, the results also imply that the dual reaction processes, which are positive and negative processes, are equally important to facilitate science teachers' professional knowledge and experience. The educational meanings are discussed in the aspects of science teacher education.

70점 체육교사의 삶과 고백: 교사로서 회의감의 근원에 대한 생애사 연구 (C Grade Physical Education Teacher's Life and Confession : A Life History Research on root of Skepticism as a Physical Education Teacher)

  • 장승현;임새미
    •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지
    • /
    • 제38권4호
    • /
    • pp.1195-1208
    • /
    • 2021
  • 본 연구는 체육교사로서 회의감의 근원적 문제를 찾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이준호 체육교사를 연구 참여자로 선정하고 생애사 연구방법을 활용하였다. 그 결과, 1) '스테레오타입과 문화', 2) '훈육의 변화', 3) '혼란과 자책', 4) '참교사가 아닌 보통교사'의 내용이 도출되었다. 그 결과, 이준호 교사를 괴롭혀온 회의감은 '변화의 아이러니'로 설명될 수 있었으며, 그것은 '비동시성의 동시성'이라는 근원적 배경에서 비롯된 것임을 확인시켜주었다. 결국, 학교 내 존재하는 '비동시성의 동시성'의 모순으로 인해 이준호 교사의 감정적 소진은 필연적 귀결이었으며 그것은 한편으로 그가 이 시대의 평범한 체육교사임을 보여주고 한국사회 평범한 체육교사들의 삶과 고민을 이해하는데 도움을 주었다고 판단된다.

중등 예비화학교사의 수업 계획에서 교사용 지도서의 활용 방식 분석 (Analysis of Pre-service Secondary Chemistry Teachers' Uses of Teacher's Guide in Planning Lessons)

  • 양찬호;송나윤;김민환;노태희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36권4호
    • /
    • pp.681-691
    • /
    • 2016
  • 이 연구에서는 중등 예비화학교사의 수업 계획에서 교사용 지도서의 활용 방식을 분석하였다. 서울 소재 사범대학에 재학 중인 11명의 예비교사가 연구에 참여하였다. 예비교사들에게 교과서와 교사용 지도서 및 부속자료를 제공하고 이를 활용하여 일반적인 수업과 과학 교수학습 모형을 활용한 수업을 계획하도록 하였다. 예비교사들이 작성한 교수학습 지도안과 활동지, 면담 결과를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대부분의 예비교사들은 교사용 지도서의 차시 구분을 그대로 따랐으나, 전체 대단원의 차시 구성이나 교육과정 상의 내용 간 연계에 대한 고려는 부족하였다. 또한, 수업에 적용할 모형을 선정할 때 제시된 예시 지도안의 도움을 받는 경우도 있었다. 교수학습 활동 측면에서 일반적인 수업에서는 교과서의 탐구 활동에 제시된 질문을 변형하였고, 모형을 적용한 수업에서는 모형의 각 단계에 맞춰 교과서의 탐구 활동을 변형하였다. 대부분의 예비교사들이 부속자료로 제공된 활동지를 활용하지 않고 교사용 지도서와 부속자료를 응용하여 활동지를 제작하였다. 예비교사들은 예시 지도안에 제시된 평가 단계를 보고 교수학습 평가 요소를 인식하였으나, 교과서나 교사용 지도서, 부속자료를 응용하여 주로 내용 지식을 평가하기 위한 지필평가를 계획하였다. 예비교사들은 교사용 지도서에 제시된 소단원 도입 질문이 학생의 흥미 유발에 효과적이지 않다고 평가하여, 이를 변형하거나 새로운 내용을 추가하였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예비교사 교육과정에서 예비교사의 PDC 향상을 위한 교사용 지도서의 효과적인 활용 방안과 교사용 지도서의 개선 방향에 대해 논의하였다.

과학과 교사용 지도서에 대한 교사의 인식과 개선 방향 (Teachers Perception and Improvement on the Elementary Science Teacher s Guide)

  • 권종미;정완호;김영신
    • 한국초등과학교육학회지:초등과학교육
    • /
    • 제20권1호
    • /
    • pp.75-89
    • /
    • 2001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get the more qualified elementary science teacher's guide as a major curriculum material for teachers and to find more improvement suggestions by analyzing of the teachers' perception and using status of it. To examine the problems of this study, 183 teachers from the elementary schools were surveyed by the questionnaire that was developed by researcher, and statistical technique for data analysis was frequency, using SPSS win(version 7.5). Teachers generally thought that the general remarks of the elementary science teacher's guide were helpful to understand elementary science education and the detailed subjects were useful, but teachers less satisfied about 'practice of teaching' of the detailed subjects. The most interested sector of the teachers' was the sector of the teaching methods.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that the sector' the methods and evaluation of the elementary science education' of the general remarks and the sector' practice of teaching' of the detailed subjects were mostly interested. So it is necessary to be more detailedly guided when the development of the elementary science teacher's guide are considered.

  • PDF

중학교 '일과 에너지' 단원 수업의 정성적 이해 - 구성주의적 관점에서의 고찰 - (A Qualitative Understanding of 'Work and Energy' Unit Lessons in a Middle School: an Investigation from a Constructivist Perspective)

  • 윤혜경;박승재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16권2호
    • /
    • pp.154-163
    • /
    • 1996
  • In Korea, previous survey in science education mainly dealt with Quantitative variables. Qualitative ethnographic observation can bring deeper understanding of the context of school lesson and it's featur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qualitative understanding about the learning experiences provided in middle school and students' responses to them through observation and interview and to investigate it from a constructivist perspective. Six lessons of the 9th grade were observed and recorded on the video tape. The topics of the lessons were potential energy, kinetic energy and conservation of mechanical energy. We had also unstructured interview with the teacher and three groups of students. The teacher's deductive explanation starting from scientific definition and quantitative problem solving using formula were the main features of the classroom lectures. The video - watching lesson was taking the role of a break rather than being seen as a useful tool for science learning and teaching by both students and the teacher. The teacher's perception about the lab experiment was not supported by the responses from the students. The teacher and students preferred problem-book to textbook for their teaching and learning. From a constructivist's perspective, however the teacher seemed to have intention of introducing daily life context, he couldn't unfold it to main context of the lessons. Students were so accustomed to passive learning that they did not express directly their complaint about their learning and did not participate in planing and controling their learning. The teacher and the students believed the scientific knowledge came from an exact experiment. There was a cooperation to seek right answer rather than a social process of making sense of knowledge. In conclusion, the observed science lessons of a middle school showed typical cross section of teacher - centered, passive learning environment, which is far from constructivist perspective.

  • PDF

과학실험수업에 대한 초등과학영재들의 인식분석 (Analysis of Science Gifted Elementary Students' Perceptions about Laboratory-based Science Learning)

  • 양일호;박선옥
    • 대한지구과학교육학회지
    • /
    • 제8권2호
    • /
    • pp.164-182
    • /
    • 2015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investigated the perceptions and expectations of science gifted elementary students in the laboratory-based science learning. For the purpose of this study, semi-structured interviews were conducted with 20 science gifted elementary students in J city. The question of the interview is constructed with perception and expectation of science gifted elementary students in divided with 4steps of understanding of lesson object, planning experiment, performing experiment and drawing conclusion in laboratory-based science learning and an attitude for science. The interview is progressed per individual and all the content of the interview is recorded. The result of this research is as follows. The science gifted elementary students have a wish for building an assumption and expectation and planning an experiment with discussion more than following the textbook and teacher present. In the step of the experiment, they wanted general more discussion of their own activities rather than teacher's instruction and they wanted teacher's instruction and they wanted teacher's mediation conflicts within small groups and comments for students' experiment results. The science gifted elementary students wish to open a science lab, which man who likes science can go and come freely and to study with friends who have a same interest to make a theme. And from top to bottom they want to test autonomous and ask to salute like a representative experiment of teacher. And they ask to have a chance to test individually and want to see a movie related to an experiment before doing an experiment. Like this, it presents that the scientifically gifted elementary students want to do an experiment what they can, want to have a class which can plan and can do an experiment by themselves through discussion with the unit more than following explanation of a teacher and a textbook without condition.

과학 수업 시간에 발생하는 교사-학생 간 교실 담화 분석 (Classroom Discourse Analysis between Teacher and Students in Science Classroom)

  • 한신;정진우
    • 과학교육연구지
    • /
    • 제35권2호
    • /
    • pp.159-172
    • /
    • 2011
  • 본 연구의 목적은 교사의 경력에 따라 교사와 학생간 I-R-E 패턴과 질문-대답 계열을 확인하는 것이다. 본 연구를 위해 6학년 과학 수업의 6차시 담화 텍스트를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초임 교사의 경우, I-R-E 패턴이 반복적으로 났다. 둘째, 경력 교사의 경우에는 초임교사에 비해 확장된 I-R-E 패턴이 나타났다. 셋째, 초임 교사의 경우, 독립 관계 구조가 다른 구조에 비해 더 많이 반복적으로 나타났지만, 경력 조사는 모든 종류의 질문-대답 계열이 -독립관계, 병렬관계, 삽입관계, 재구성관계 구조- 고르게 나타나는 경향을 보였다.

  • PDF

Pre-service Teachers' Learning to Teach: Theory Into Practice

  • Kwak, Young-Sun;Choe, Seung-Urn
    • 한국지구과학회지
    • /
    • 제23권2호
    • /
    • pp.166-179
    • /
    • 2002
  • This study investigated preservice teachers' perceived constraints in implementing their ideal pedagogies and the influence of the teacher education program on their pedagogical beliefs changes. Unique features that the university-based coursework and field experiences had on preservice teachers' learning to teach were also explored. This preservice teacher education program employs constructivist aspects of teacher education and generates applications of constructivism to the practice of teaching. Major findings include: preservice teachers' having traditional pedagogy as the default, recovery of prior beliefs, constraints on implementing constructivist pedagogy, and being overly confident in themselves as teachers. With the influence of constructivist epistemology, these preservice teachers' pedagogical beliefs evolved and were refined over time as they incorporated various constructivist ideas. The benefits and influences of the M.Ed. program's theoretical coursework and the field experiences on these teachers' learning-to-teach experiences are addressed with rich data. The implications for teacher educators as well as for the instructional practices of preservice teacher education programs are discussed. Recommendations for future research are also presented.

교사학습공동체에 참여한 한 고등학교 교사의 과학적 모델링에 대한 이해 및 수업 실행 변화 탐색 -프레임 분석을 중심으로- (Exploring How a High School Science Teacher's Understanding and Facilitation of Scientific Modeling Shifted through Participation in a Professional Learning Community)

  • 심수연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40권1호
    • /
    • pp.29-40
    • /
    • 2020
  • 본 연구의 목적은 한 고등학교 과학 교사(E 교사)가 약 1년 3개월간 교사공동체 탐구에 참여하며 어떻게 과학적 모델링에 관한 이해와 실행을 변화시켜나갔는지를 탐색하는 것이었다. 상황 학습 관점을 기반으로 본 연구에서는 E 교사의 사회적 상호작용들로부터 모델링에 관한 그녀의 프레임들을 탐색하였다. E 교사는 1년 3개월간 총 6회의 "스튜디오"라는 교사 연수에 참여해 같은 학교의 과학 교사들과 연구자들, 코치들과 협력하였다. 매 스튜디오에서 참여자들은 함께 모델링 기반 수업을 계획하고, 실행하고, 그에 관해 반성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먼저 E 교사가 수업을 진행한 2회차, 6회차 스튜디오에 초점을 맞추어, E 교사의 교사공동체 및 교실 상호작용으로부터 드러난 모델링에 관한 그녀의 프레임들을 질적으로 탐색하고, 그로부터 E 교사의 이해와 실행에 변화가 있었는지 탐색하였다. 다음으로, 교사공동체 탐구가 E 교사의 이해와 실행 변화에 어떻게 영향을 미쳤는지 탐색하기 위하여, 1-6회차 스튜디오에서 진행된 교사공동체 탐구가 질적으로 분석되었다. 연구 결과, 2회차 스튜디오에서 E 교사는 과학적 모델링을 학생들이 활동지에 정답을 채워 넣는 활동으로 보고 있었다. 반면 6회차 스튜디오에서 E 교사가 드러낸 과학적 모델링에 관한 프레임들은 그녀가 모델링을 학생들이 협력을 통해 증거를 사용하여 자연현상에 관한 설명을 구성하는 과정으로 보고 있었음을 보여주었다. E 교사가 속한 교사공동체는 모델링 기반 교수를 발전시키고자 하는 목표를 바탕으로, 매 스튜디오에서 학생들의 모델링을 돕고, 학생들의 설명과 추론을 분석하였다. 또한 그들은 여러 스튜디오들에 걸쳐 탐구 초점들과 교수 실행들을 구체화시키고 발전시켜나갔다. 이러한 공동체 탐구의 초점들은 E 교사의 과학적 모델링에 관한 이해와 실행 변화에 반영되었다. 본 연구의 결과는 교사공동체 탐구나 교사 전문성 발달을 지원하고자 하는 연구자, 실행가들에게 유용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