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ciaenops ocellatus

검색결과 8건 처리시간 0.027초

참돔과 홍민어 판별을 위한 Multiplex PCR 검사법의 개발과 검증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Multiplex PCR Method for the Identification of Pagrus major and Sciaenops ocellatus)

  • 최이슬;신지영;양지영
    •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 /
    • 제35권6호
    • /
    • pp.561-566
    • /
    • 2020
  • 참돔은 등쪽에 푸른 반점이 흩어져 있고, 홍민어는 꼬리 쪽에 검은 점이 있어 원물 형태는 쉽게 구분할 수 있다. 그러나 횟감이나 필렛으로 이용 시 참돔과 홍민어를 구분하기 어려워, 참돔의 종 특이 primer를 개발 및 검증하고 모니터링을 통해 참돔의 위변조 사례를 조사하고자 하였다. 시료에서 gDNA를 추출하여 PCR을 진행하였으며 참돔 primer의 product size는 468 bp, 홍민어 primer의 product size는 181 bp으로 설계하였다. Multiplex PCR 결과 참돔과 홍민어에 대한 종 특이적 증폭이 확인되었다. 또한, 참돔과 홍민어 PCR 민감도 실험 결과 참돔 primer는 1 ng, 홍민어 primer는 0.1 ng 까지 밴드가 확인되었다. 모니터링 결과 참돔으로 구매한 시료 19건 모두 참돔으로 판정되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 제작된 참돔과 홍민어 종에 대한 종 특이적 primer는 횟감 등 수산물에도 적용할 수 있어 현재 유통 및 판매되고 있는 참돔 및 홍민어 판별에 적합성을 확인하였다.

Determining the optimal range of vitamin C for early red drum (Sciaenops ocellatus) juveniles

  • Nguyen Thi Thuy;Khuong V. Dinh;Ngo Van Manh;Trung Si Trang
    • Fisheries and Aquatic Sciences
    • /
    • 제26권9호
    • /
    • pp.525-534
    • /
    • 2023
  • Vitamin C plays an important role for fish survival, growth and disease resistance. However, the optimal vitamin C for rearing red drum Sciaenops ocellatus juveniles in Vietnam is not known. To address this issue, a 70-day feeding trial was conducted to evaluate the optimal dietary vitamin C requirements for red drum juveniles. Seven isonitrogenous (55.35% protein) and isolipidic (9.07% lipid) diets were formulated to include graded vitamin C concentrations of 23.2, 124.5, 235.2, 423.8, 626.7, 824.6, and 1,027.3 mg/kg, respectively. The results showed that fish fed on 423.8 mg/kg vitamin C diet had the highest growth rate, which can be linked to the increased feed utilization. Broken-line analysis indicated that the optimal dietary vitamin C requirements of red drum juveniles were 342.92 and 405.80 mg/kg for growth parameters, feed utilization, body composition and biochemical parameters of serum. Based on these parameters the optimal vitamin C supplementation level for red drum juveniles was estimated in the range of 342.92-405.80 mg/kg vitamin C in the diets with direct applications in producing artificial feed for rearing juveniles of this species in Vietnam.

바이러스성 신경괴사증 미감염 홍민어, Sciaenops ocellatus 의 종묘생산 (Nervous necrosis virus (NNV) -free seed production of red drum, Sciaenops ocellatus)

  • 김진도;정성주;오봉세;박성우;오명주;김영진;키타무라신이치;변순규
    • 한국어병학회지
    • /
    • 제19권1호
    • /
    • pp.65-72
    • /
    • 2006
  • 홍민어의 종묘 생산 중에 자어의 대량 폐사를 일으키는 nervous necrosis virus (NNV)의 감염에 의한 피해를 방지하기 위하여 NNV 미감염 친어의 선발에 의한 종묘 생산을 시도함과 동시에 수정란, 부화자어, 먹이생물, 사육 용수 등의 NNV 감염 여부를 확인하였다. RT-PCR법에 의한 홍민어 친어의 바이러스 감염 여부를 확인한 결과, 총 40마리의 검사어 중에서 양성인 개체가 18마리, 음성인 개체는 22마리였다. 시험어로부터 자연 산란된 수정란 및 경과 단계별 부화 자어로부터 PCR법을 이용한 NNV 감염 확인 결과, 미감염 친어로부터의 수정란에서는 바이러스가 확인되지 않았으나, 감염된 친어로부터의 수정란에서는 바이러스 감염이 확인되었다. 또한 자어의 먹이생물인 클로렐라, 로티퍼, 알테미아 및 사육 용수를 대상으로 한 NNV 검출 결과, 모두 음성으로 나타났다. 부화 후 8주간의 감염 및 미감염 자치어의 사육 결과에 있어서는 초기 2주째까지의 생존율이 각각 80%, 85%로서 양호하였으나, 부화 후 25일째부터 폐사가 일어나기 시작하였다. 감염 친어구의 경우 41일째에 100% 폐사한 반면, 미감염 친어구는 최종적으로 18.3%의 생존율을 보여, 이러한 결과는 친어에 대한 NNV 검사를 실시하여 바이러스에 감염되지 않은 홍민어 종묘를 생산할 수 있다는 것을 제시한다.

수온과 사육밀도에 따른 홍민어, Sciaenops ocellatus(Sciaenidae)의 성장

  • 최영웅;노섬;이영돈
    • 한국어업기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어업기술학회 2001년도 춘계 수산관련학회 공동학술대회발표요지집
    • /
    • pp.305-306
    • /
    • 2001
  • 홍민어, Sianops ocellatus는 미국 플로리다에서 멕시코 중부지역에 이르는 대서양 연안에 분포하며 160cm 까지 성장하는 대형종으로, 맛이 우수한 것으로 알려져 양식대상종으로 기대되고 있는 어종이다. 미국에서는 1980년 중반부터 종묘생산에 성공하여 산업화된 종으로 중국에서는 양식산업화 단계이다(국립수진흥원 1999). 홍민어는 미국의 캐롤리나주와(Paul A, 1993) 그리고 지중해에서(Diamant, 1998) 새로운 양식대상어종으로서 연구가 되고 있다. (중략)

  • PDF

홍민어 Sciaenops ocellatus에서의 바이러스성 신경괴사증 viral nervous necrosis (Occurrence of viral nervous necrosis(VNN) in red drum(Sciaenops ocellatus) larvae)

  • 김진도;김석렬;정성주;김영진;정태성;최태진;박성우;오명주
    • 한국어병학회지
    • /
    • 제14권2호
    • /
    • pp.91-95
    • /
    • 2001
  • 1999년 10월에서 11월 사이에 남해안 일대의 홍민어 종묘 생산장에서 20~30열령의 치어가 척추만곡 및 이상유영을 하며 대량 폐사하였다. 병어는 특이 외부 증상이 없었고, 높은 누적폐사량이 바이러스 질병으로 의심되어, 조직학적 및 분자생물학적인 검사를 행하여 폐사원인을 확인하였다. 폐사개체의 조직을 H-E 염색하여 관찰한 결과 뇌와 안구의 신경세포에서 공포와 괴사가 관찰되었고, 전자현미경 관찰에서는 안구와 뇌에서 바이러스 입자가 관찰되었다. RT-PCR 결과에서는 ${\fallingdotseq}426$ bp의 DNA 단편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러한 결과로 홍민어에서 발생한 대량폐사는 바이러스성 신경괴사증(VNN)으로 진단되었다.

  • PDF

사육수온과 밀도가 홍민어 Sciaenops ocellatus의 성장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Water Temperature and Stocking Density on Growth of Juvenile Red Drum Sciaenops ocellatus)

  • 최영웅;노섬;이영돈
    • 한국양식학회지
    • /
    • 제15권3호
    • /
    • pp.131-138
    • /
    • 2002
  • 수온과 사육밀도에 따른 홍민어의 성장을 조사하기 위하여 20${\pm}$0.5, 23${\pm}$0.5 그리고 26${\pm}$0.5$^{\circ}C$로 각각 조절한 항온 수조에서 평균전장 4.60${\pm}$0.3 cm, 체중 1.17${\pm}$0.6 g되는 치어를 32주간 비교 사육하였으며, 평균 전장 26.6${\pm}$1.7cm, 체중 213.6${\pm}$46.7 g되는 개체를 대상으로 사육밀도 2.16, 4.24 그리고 6.40 kg BW/㎥로 조절하여 25주 동안 사육하였다. 수온에 따른 성장실험에서 전장, 체중, 일간 성장률에서 26$^{\circ}C$, 23$^{\circ}C$, 20$^{\circ}C$ 순으로 수온이 높을수록 빠른 성장을 하였다. 일간섭식율에서도 26$^{\circ}C$에서 가장 높아 수온이 높을수록 높은 값을 나타내었다(P<0.05). 사육밀도에 따른 성장실험에서 전장, 체중, 일간성장률에서 저밀도 실험구에서 높은 값을 나타내었고 일간섭식율에서도 같은 경향이었으며(P<0.05), 실험 시작시 2.16 kg BW/$m^3$, 4.24 kg BW$m^3$ 그리고 6.40 kg BW$m^3$의 사육밀도는 실험 종료시 각각 7.26 kg BW$m^3$, 14.01 kg BW$m^3$, 19.17kg BW$m^3$로 증가하여 6.40 kg$m^3$에서 생산성이 가장 높았다

해산어 종묘 생산 시기에 발생하는 바이러스성 신경괴사증 (VNN) 원인바이러스의 유전학적 비교 (Phylogenic Comparison of Viral Nervous Necrosis (VNN) Viruses Occurring Seed Production Period)

  • 김석렬;정성주;김영진;김진도;정태성;최태진;;오명주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35권3호
    • /
    • pp.237-241
    • /
    • 2002
  • This study was performed both to explore the host of nervous necrosis virus (NNV) between mariculturing fish species and to examine the phylogenic position of the NNV in Korea. NNV was confirmed on the basis of histopathological and molecular biological examination, then VNN infection was Preyed from either moribund or dead fishes including red drum, Sciaenops ocellatus; oblong rock fish, Sebastes oblongus and flounder, Paralichthys olivaceus. As a result of sequencing for a part of ms, virus from red drum was showed $98\%, $97\%, $86\% and $74\% homology with oblong rock fish, grouper, Japanese flounder and striped jack, respectively. On the other hand, NNV from oblong rock fish was demonstrated $96\%, $85\% and $72\% homology with grouper, Japanese flounder and striped jack, respectively. NNV from red drum and oblong rock fish was exhibited phylogenically distant from the representative NNV, SJNNV originated from striped jack. On the contrary, the viruses appeared to be similar species with Taiwan NNV isolated from culturing grouper.

경남 남부지역 양식어류 질병에 관한 역학적 연구 (The Epidemiological Study on fish Diseases in the Southern Area of Kyeognam)

  • 허정호;정명호;조명희;김국헌;이국천;김재훈;정태성
    • 한국임상수의학회지
    • /
    • 제19권1호
    • /
    • pp.14-18
    • /
    • 2002
  • An epidemiological study was performed to evaluate the state of fish diseases between aquaculture fishes in the area of southern Kyeongnam, especially Tongyeong-si, Geoje-si, and Goseong-gun. Examination for a total of 91 cases was carried out for a variety of fishes, including Japanese flounder(Paralichthys olivaceus), rock fish (Sebastes schlegeli), sea bass (Lateolabrax japonicus), sea breams(Pagrus major), and red drum (Sciaenops ocellatus) from November, 1999 to October, 2001. The investigation resulted in exploring 155 infectious diseases, including 62 Vibriosis, 16 Edwasiella infection, 11 Streptococcosis, 7 Pseudotuberculosis, 15 Scuticociliatida infection, 20 Gill flukes, and 9 Trichodiniasis. When the infections were classified according to fish species, Japanese flounder was infected by 30 Vibrio spp., 16 Edwardsiella tarda, 6 Streptococcus spp., 12 Scuticociliatida infection. In case of sea bass, 10 Vibrio spp. was able to isolate out of 10 outbreaks, on the other hand, rock fish was dominantly infected by gill flukes since it was observed 12 out of a total of 20 cases. With reference to seasonal fluctuation, Vibrio spp. infection was continually observed through all seasons but Edwardsiella septicaemia, Streptococcosis and Pseudotuberculosis was mainly isolated in summer and autumn when the water temperature was raised high. Scuticociliatida infection was frequently occurred from late autumn to early spring but gill flukes were watched all the year regardless of temperature. As regards, multiple infection, 47 out of 91 cases was Identified to have involved in more than 2 pathogens, especially Vibrio spp. was highly mixed with other pathogens since 42 out of 47 cases was mixed with Vibrio sp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