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chool-based curriculum

검색결과 2,194건 처리시간 0.03초

기술·가정과 교사의 학교교육과정 편성 참여와 고교학점제에 대한 인식 (Technology and Home Economics Teachers' Perception of Participation in School Curriculum Organization and High School Credit System)

  • 박미정;임윤진;권유진;이광재
    •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 /
    • 제32권1호
    • /
    • pp.15-34
    • /
    • 2020
  • 본 연구는 중등학교 기술·가정과 교사의 학교교육과정 편성 참여와 고교학점제에 대한 인식을 알아보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유의표집 방법으로 전국의 중등 기술·가정과 교사 345명의 설문 자료를 SPSS 24를 활용하여 기술통계, t검정, F검증을 통해 분석하였으며,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기술·가정과 교사들은 현재 단위 학교에서 기술·가정과 교육과정 편성 시수가 부족하고(61.1%), 교사의 수도 부족(53%)하다고 인식하고, 학교교육과정 편성에 대부분 참여하고 있었으며(62.0%), 향후 학교교육과정 편성 과정에 참여하겠다는 의지도 매우 높았다(4.47, 89.9%). 둘째, 기술·가정과 교사들은 고교학점제 도입에 대해 보통 이상으로 알고 있었고(3.34) 긍정적인 인식(37.7%)보다 부정적인 인식(52.8%)이 많았다. 고교학점제 도입으로 학생들의 진로 선택(3.88)과 전공 분야의 전문내용 심화(3.81)를 긍정적인 영향으로 인식한 반면, 비입시 과목으로 인한 선택 감소(3.90)와 이에 따른 교사 전보의 어려움(3.57) 등을 부정적인 영향으로 인식하고 있었다. 셋째, 기술·가정과 교사들은 고교학점제 도입에 안정적으로 대응하기 위하여 진로선택과목의 조정(4.51), 선택과목의 교수·학습 자료 개발 및 보급(4.46), 기술과 가정의 분리(4.45), 평가방법 및 적용에 대한 연수 제공(4.44) 등을 중요하게 인식하고 있었다. 본 연구는 기술·가정 교과가 차기 교육과정 개정과 고교학점제에 지혜롭게 대비할 수 있는 기초 자료와 고등학교 기술·가정교육과정 편제에 대한 논의의 단초를 마련한 것에 의의가 있다.

학교 기후 변화 교육의 현황과 과제 (The Current State and Tasks of School Climate Change Education)

  • 윤순진
    • 한국환경교육학회지:환경교육
    • /
    • 제22권2호
    • /
    • pp.1-22
    • /
    • 2009
  • Even though climate change is visibly proceeding and public concern about climate change is increasing both nationally and internationally, teenagers' and students' perception of climate change is relatively low in Korea. Since climate change is a problem with long-term effects, it is young people including children and juveniles of the current generation and future generations who are more affected by climate change. They are the most interested party who should know why climate change happens, what kind of impacts will be given, and how to respond to the problem. Based on the aforementioned concern, this study aims to explore the extent and contents of school education with regard to climate change in Korea as well as in other advanced countries and to provide policy suggestions. This study finds that school climate change education requires consideration of multiple aspects including reorganization of school curriculum, revitalization of related programs by school, expansion of teachers' training chances, in which multiple institutions such as the Ministry of Environment, the Ministry of Education, Science and Technology, Offices of Education are related and, consequently, the activation of climate change education program is by no means simple. Therefore, for effective climate change education in schools, cooperation and coordination of related institutions are essential, along with development of diverse school education curriculums and programs and training programs for teachers.

  • PDF

원의 넓이에 관련된 순환논법과 국소적 조직화 (The Vicious Circle in Calculating Circle Area and the Local Organization)

  • 최영기;홍갑주
    • 대한수학교육학회지:학교수학
    • /
    • 제8권3호
    • /
    • pp.291-300
    • /
    • 2006
  • 본 논문에서는 학교수학에서 발견할 수 있는 순환논법의 예로서 고등학교 미분과 적분 교과서에서 정적분을 통해 원의 넓이를 구하는 과정에서 발견되는 순환논법을 수학적으로 분석하고, 학교수학의 수준에서 원의 넓이에 관련된 몇 가지 증명방법들의 의미를 비교 분석한다. 특히 원의 넓이에 대한 아르키메데스의 증명과정을 고찰하여 학교수학에서 국소적 조직화의 의미와 가치를 재조명한다.

  • PDF

역량중심 교육과정에서의 핵심역량 요소와 가정과 교육과정과의 연관성 연구 (Relations of Key Competencies and Home Economics Curriculum in the Competency-Based Curriculum)

  • 양지선;유태명
    •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 /
    • 제27권3호
    • /
    • pp.1-18
    • /
    • 2015
  • 본 연구는 핵심역량 관련 문헌과 선행연구들을 분석함으로써 핵심역량 요소들을 살펴보고 이를 통하여 핵심역량과 가정과교육과정과의 연관성을 알아보는 것에 목적이 있다. 교육과정과 관련한 2개 연구소(한국교육과정평가원, 한국교육개발원)와 2개 학회(한국교육과정학회, 한국가정과교육학회)에서 출간된 26편의 문헌들을 수집하고 분석하였으며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핵심역량에서 강조하는 요소들을 OECD의 역량을 기준으로 분류하고 살펴본 결과 각 나라별로 종류나 범주를 달리하여 제시되고 있었다. 교과영역은 개별 교과를 통해서 지적 역량이나 학습 역량을 함양하도록 하고 있었으며, 인성이나 역량의 함양에 목적을 두고 간학문적, 통합적 접근을 기반으로 하고 있었다. 둘째, 가정과 교육에서 추구되어야할 바람직한 인간상으로 가정과 사회의 항구적인 문제를 자율적이고 실천적인 인간상이 제시될 수 있을 것이나 가정과 교육을 통해 추구되어야할 인간상과 관련한 부분이 적절히 반영되어 있다고 어렵다. 셋째, 성취기준의 궁극적인 목적은 학습자의 학습이 기준이 되어야 하므로 교과의 성격이 보다 명확히 드러날 수 있도록 역량, 목표, 내용체계, 교육과정 성취기준의 일관된 진술이 요구되고 있었다. 넷째, 교수 학습과정에 있어서 학습자가 문제해결을 위해 자신이 갖고 있는 지식이나 기능, 전략 등을 능동적으로 사용하고, 관련된 학습영역을 통합하거나 학문 이외의 다른 요소들을 교육과정을 위한 설계의 틀로 활용할 수 있어야 할 것이다.

  • PDF

리빙랩 기반 초등학교 데이터 과학 프로그램의 효과성 분석 (The Effectiveness of the Living Lab-based Elementary School Data Science Program)

  • 손정명;김태영
    • 정보교육학회논문지
    • /
    • 제26권2호
    • /
    • pp.105-120
    • /
    • 2022
  • 팬데믹으로 인한 급격한 시대적 변화와 더불어 새로운 교육과정의 개정이 맞물리며 교육과정을 구성하는 학습자, 사회, 교과의 세 요소의 비중 변화가 불가피한 현실이다. 특히 교육과정에서 '사회'의 비중과 함께 '교육공동체'라는 단어의 범위가 커지고 이를 중심으로 한 교육과정 재구성의 허용 범위가 넓어졌다. 새로운 교육과정에서 의도하는 교육의 방향이 제대로 정착되기 위해서는 새롭게 등장한 역량과 문해력 등을 함양하기 위한 다양한 교육 방법적 연구가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교과 선정의 다양한 기준을 중심으로 융합 교과 내용과 목표를 선정한 후 이를 바탕으로 리빙랩의 PDIE 방법론을 재구성하여 데이터 과학 프로그램을 설계하였다. 이에 대한 평가 요소로 교육과정에서 강조하는 미래 역량 중 '창의성', '문제해결력', '의사소통 능력', '협업능력'에 대한 효과성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연구 결과 창의성과 의사소통능력 향상에 효과가 있었으며, 본 연구는 학교 교육과정내의 문제를 해결하는 스쿨 리빙랩의 효과성 검증에 초점을 두고 연구를 진행하여 일반화에 제한이 있다는 측면에서 연구의 적용 공간을 넓히고 교육공동체 주체의 역할 비중을 다양화 시킨 사후 연구 진행의 필요성을 제언한다.

정보과 교육과정 표준모델을 위한 알고리즘 및 프로그래밍 영역 프레임워크 개발 (Development of Algorithm and Programming Framework for Information Education Curriculum Standard Model)

  • 성영훈;박남제;정영식
    • 정보교육학회논문지
    • /
    • 제21권1호
    • /
    • pp.77-87
    • /
    • 2017
  • 학교현장에서 활용할 수 있는 SW교육과정 구성을 위해 알고리즘과 프로그래밍 영역에서 개념이해와 학습활동을 구성된 프레임워크를 개발하였다. 이를 기반으로 영역별 5단계 성취기준 체계로 구성되어 있으며 알고리즘 영역은 18개, 프로그래밍 영역은 21개의 성취기준 요소로 구성되어 있다. 각 영역별 성취기준에 대한 내용의 중요도와 교육시기의 적절성을 검토하기 위해 전문가 델파이조사 검증을 통한 타당도를 제시하였다. 연구의 결과는 정보과 교육과정 표준모델 구성을 위한 연구 자료로 활용될 수 있으며 학교 현장에 적용을 위한 SW교육과정 개발을 위한 시사점을 제공하고 있다는 점에 의의가 있다.

2007년 개정 중학교 정보과목 '정보기기의 구성과 동작' 영역의 성취기준과 평가기준에 관한 연구 (A study on achievement and assessment standards of the "Construction and Operation of Information Device" unit for middle school 'Informatics' subject in the revision of the 7th National Curriculum)

  • 김경훈;허민;김영식
    • 컴퓨터교육학회논문지
    • /
    • 제11권5호
    • /
    • pp.9-17
    • /
    • 2008
  • 본 연구에서는 2007년 개정 중학교 정보과목 교육과정의 근거로 '정보기기의 구성과 동작'영역의 성취기준과 성취기준에 근거한 평가기준을 설정하고, 이에 대한 예시 자료를 제시하였다. 새 교육 과정에 대한 이해와 분석을 통해 성취 영역 수준을 소영역 수준으로 설정하였으며, 성취기준의 진술은 학생의 입장에서 작성하였다. 소영역별 성취기준에 따른 평가기준은 상, 중, 하로 제시하였다. 해당학교의 교육 환경이나 이수 시간, 학생 수준 등을 고려하여 본 연구에서 제시한 성취기준과 평가기준을 재구성하여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2007년 개정 종보 교육과정을 적용하기에 앞서 새 교육과정에 대한 이해를 향상시키고, 학교 현장에서 이루어지는 정보 교과 교육활동의 질적 향상에 이바지 하고자 하였다.

  • PDF

창업교육의 대학교과과정 설계방향에 관한 연구 (A Study on Curriculum Design of Entrepreneurship Education in Undergraduate School)

  • 목영두;최명길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1권1호
    • /
    • pp.320-334
    • /
    • 2010
  • 글로벌 경제위기와 고용 없는 성장으로 일자리 문제가 중요한 사회적 현안으로 떠오르고 있다. 체계적인 교육을 통한 잠재적인 창업가 육성은 고용 없는 성장의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대안이 될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체계적인 창업 교육을 위한 교과과정 설계를 위해 필요한 창업 교과목을 제시한다. 본 연구는 선행연구를 기반으로 설문지를 개발하고, 대학에서 창업학 관련 과목을 강의하는 연구자 그룹과 현업에서 창업교육 및 컨설팅 업무를 수행하고 있는 실무 전문가 그룹을 두 개의 포커스 그룹으로 선정하여 설문조사를 실시한다. 본 연구의 결과는 대학의 창업교과과정을 공통기초과목, 전공필수과목, 전공선택과목에 적합한 창업 교과목을 제시하고, 대학교의 창업 교육 과정설계 방안을 제시한다. 본 연구의 결과는 각 대학의 창업학 도입단계, 학과가 설치될 학부, 특성화 방향 등 각 대학의 상황에 따라 교과과정을 설계하고 운영하는데 활용될 수 있다.

초등학교 소프트웨어교육의 교육과정 개선을 위한 내용체계 및 교과 편성의 설계에 대한 연구 (A Study on the Instructional System and Curriculum Design to Evolve the Software Education in Elementary School)

  • 박판우;신승기
    • 정보교육학회논문지
    • /
    • 제23권3호
    • /
    • pp.273-282
    • /
    • 2019
  • 본 연구에서는 우리나라의 컴퓨터교육의 국가적인 추진 경과를 분석하여 시기별 추진 주체와 주요 내용에 대한 분석을 실시하였다. 이를 토대로 2015개정교육과정을 통해 적용되고 있는 소프트웨어교육의 제한점과 차기교육과정 개정 논의에서 반영되어야할 시수와 내용체계를 비롯하여 교수학습내용의 위계를 구성하는 방안을 제시하고 있다. 우리나라의 경우 사실상 1995년부터 본격적인 컴퓨터교육이 추진되었다는 점에서 세계적으로 선도적으로 시행되었다고 할 수 있으며, 최근 개정된 교육과정을 기반으로 컴퓨터교육을 통한 미래인재를 양성하기 위한 노력을 통해 교육에서의 선도적인 역할을 수행하기 위한 노력을 경주하고 있다. 다만, 프로그래밍 교육을 통한 문제해결력 신장뿐만 아니라 컴퓨팅에 대한 소양능력을 강화하여 균형있는 컴퓨터교육의 역량이 강화될 수 있도록 추진되어야 하며, 이를 위한 충분한 시수가 확보되어야 할 것이다.

제7차 교육과정에 의한 초.중.고등학교 교과서의 흡연예방교육내용 분석 (Analysis of the seventh school curriculum relating to smoking prevention in Korea)

  • 황명희송;서미경;서홍관;명승권
    • 보건교육건강증진학회지
    • /
    • 제24권4호
    • /
    • pp.181-200
    • /
    • 2007
  • Objectives: A content analysis was conducted to examine whether the current school textbooks providing smoking information are effective or not. Methods: The authors reviewed 111 qualified textbooks using elementary through high schools during 2006-2007 academic year in Korea. Educational components were coded with an analysis tool developed through the present research. Result: Tobacco education components were narrowly focused on long-term physiological consequences of tobacco use, addictiveness, and harmful ingredients and they were repetitively shown in the textbooks. Negative health consequences such as lung cancer were emphasized 10 times among 12 smoking-related textbooks. Educational messages or contents are mainly based on medical knowledge (72%) rather than psycho-social components. The US school-based smoking prevention programs, however, employ psycho-social approach with cognitive and life-skill components and they contain only 7-17% of smoking-related medical knowledge. In order to increase psycho-social smoking prevention components in Korean textbooks, the present study identified social subjects of textbooks (and relating core sessions) for elementary, middle, and high school. It also provided guidelines for school instructors to use. Conclusion: Adolescent smoking behavior is not caused by the deficit of health information, but mostly by social influences including media and peer pressure. School textbooks proving smoking information need to increase psycho-social context. One of the most effective ways as a psycho-social smoking prevention program is to use social subjects (or curriculum) of textbooks such as social studies, ethics, social cultures, social environment, and home manag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