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chool life satisfaction

검색결과 1,150건 처리시간 0.025초

기혼 직장여성의 출산의도 결정요인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Determinants of Married-Working Women's Childbirth Intention)

  • 장한나;이명석
    • Human Ecology Research
    • /
    • 제51권4호
    • /
    • pp.425-438
    • /
    • 2013
  • Postponing childbirth is becoming increasingly common and consequently serious social problem in Korea, among married-working women. It is relatively unknown which factors determine married-working women's childbirth intention. This study investigated the effects of demographical factors, labor market factors and social support factors on married-working women's childbirth intention. Data from a national survey of married-working women (Korean longitudinal survey of women and families) are used in this study. The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logistic regression analyses that married-working women's childbirth intention could be predicted by 1) personal characteristic factors such as age (p <.000), education level (p<.029), parenthood (p<.000) monthly pay (p<.01); 2) husband support factors, such as satisfaction with division of household labor (p<.009), time with family (p<.049) influence of family life on work (p<.083); and 3) institutional support factors such as regular position (p<.015), regression analysis showed similar results. Personal characteristic factors and husband support factors had statistically significant effects on the number of future children. Personal value factors such as traditional family support (p<.05) proved to be the best predictor of the number of future children. Institutional support factors, on the other hand, did not have statistically significant effect on the number of future children. In a nutshell, personal characteristics and husband support proved to be the most important determinant of married-working women's childbirth intention. The findings suggest that family friendly policy and flexible labor market policy will impact married-working women's childbirth intention.

모바일 지도 애플리케이션의 사용성 연구 -네이버, 다음 지도를 중심으로- (A Study of Usability for Mobile Map Applications -Focused on Mobile Map Applications of Naver and Daum-)

  • 문정선;김승인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5권2호
    • /
    • pp.347-353
    • /
    • 2017
  • 본 연구는 국내 지도 앱의 사용자 경험을 분석하고 장단점을 가려 더 많은 사람이 쉽게 이용할 수 있도록 개선하는 데 목적이 있다. 더 나은 UX/UI를 제시하기 위해 첫째, 정성적 방법으로 기존 문헌과 블로그 등의 자료수집을 하고. 둘째, 정량적 방법으로 설문조사와 인터뷰로써 네이버와 다음 지도 앱의 만족도 조사, 사용성 평가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 네이버 사용은 포털에서부터 인지도, 친숙함, 블로그 등의 맛집, 여행 정보의 활용성 때문이었고, 다음 지도 이용자는 네이버와 비교하면 소수이지만 다른 지도 앱을 충분히 이용해보고 비교하여 다음 지도를 선택한 경우로 상세한 경로 표시와 간단한 조작, 실시간 정확도에서 만족도가 더 높았다. 네이버는 인지도와 친숙함으로 가장 대중적인 지도이며 특히 최근 개발된 내비게이션을 보면 지속적인 기술개발까지 뒷받침되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고, 다음 지도는 상세함과 실시간 경로 정보를 한눈에 보여주는 인터페이스로 소수의 마니아층을 이룰 정도로 신뢰를 얻고 있다. 향후, 이 장점들만 서로 보완해도 국내 지도발전에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한다.

전국 승가대학 예비승려들의 식행동과 음식기호도에 관한 연구 (A Study on Dietary Behavior and Food Preference of Sramanera·Sramanerika Monks in Nationwide Buddhist Monk's Universities)

  • 한수진;이심열
    • 대한지역사회영양학회지
    • /
    • 제22권5호
    • /
    • pp.387-400
    • /
    • 2017
  • Objectives: This study was designed to find out factors that are needed to be improved for the Buddhist training environment of Sramanera Sramanerika monks, who have been newly adapted for their life style after becoming a monk, and to provide basic data for the development of the standard diet in Buddhist temples. Methods: A self-administered questionnaire was applied to 365 Sramanera Sramanerika monks at 11 Buddhist monk universities. The questionnaire was designed to investigate their dietary habits, dietary evaluation, satisfaction of food service, and food preferences. Results: The study population consisted of 52.6% men, and 47.4% women. The subjects who had a vegetarian diet before joining the Buddhist priesthood were 27.7% women, and 13.5% men (p<0.01). 42.2% of the total subjects felt that they are healthy now and 19.4% felt weak. The most difficulty of dieting adaptation as soon as entering the priesthood was the strict diet rules (42.9%). The subjects considered health or nutrition (40.0%) highly when having meals. 94.8% women, 84.1% men ate breakfast every day (p<0.001). Women (55.4%) frequently ate snacks more than men (26.6%) (p<0.001). The results of the dietary evaluation indicated that the intake of milk, soy milk or dairy products and beans or tofu received lower than 3 points and women had lower point result than men (p<0.001). Foods with higher preference were grilled mushrooms, grilled laver, miso stew, sweet and sour mushrooms, steamed tofu with seasoning. Conclusions: Women were more interested in their health than men but they also required to improve the nutritional eating habits. It appeared that the lower intake rates of the calcium containing food (milk and dairy), and proteins (beans and tofu) could result in nutritional imbalance.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offer food based on the standard menu plan with consideration given to their food preferences in order to maintain their health and desirable dietary habits.

일개 대학교 신입생과 예비졸업생의 우울수준과 그 관련요인 - 영적안녕과 신앙성숙도를 중심으로 (Depressive Symptom and Its Associates in College Freshmen and Seniors - Focus on Spiritual Well-being and Faith Maturity)

  • 김태규;장인순
    • 한국학교보건학회지
    • /
    • 제24권1호
    • /
    • pp.71-80
    • /
    • 2011
  • Purpose: This study was conducted to compare the level of depressive symptom, spiritual well-being and faith maturity between college freshmen and seniors and to investigate the affecting factors on their depressive symptom. Methods: The study was cross-sectional descriptive survey. A self-report questionnaire were used to collect data from 335 college students during June to July, 2010. Data were analyzed by ${\chi}^2$-test, t-test, ANOVA, Scheffe's test,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 and stepwise multiple regression using the SPSS/WIN 14.0 program. Results: The mean score of depressive symptom was $17.55{\pm}11.24$ and prevalence of depression was 26.5% in college freshmen. And those in college seniors were $14.18{\pm}14.17$ and 17.4%. And those were significantly higher in college freshmen than in seniors. The depressive symptom was a significant negative correlation with spiritual well-being, existential spiritual well-being, religious spiritual well-being, and faith maturity. Factors significantly influencing on depression in college freshmen included existential spiritual well-being, subjective health status, age, and confidence of salvation ($R^2$=49.7%). And those in college seniors included existential spiritual well-being and life satisfaction ($R^2$=53.3%). Conclusion: The counseling program and spirituality development program for preventing depression considering these affecting factors for especially college freshmen are necessary.

노인 SNS 활용 능력 증진을 위한 효과성에 관한 연구 -동년배 멘토 활용을 중심으로- (A Study on the Effectiveness of Social Networking Service for the Elderly -Focusing on the use of mentors of the same age-)

  • 최예식;권순철;이승현;임성규;조성원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12권5호
    • /
    • pp.147-155
    • /
    • 2021
  • 본 연구는 노인을 위한 SNS 활용 교육의 효과성에 대하여 연구하였다. 연구 참여자는 현재 교육에 참여하고 있는 교육생과 보조 강사로 활동하고 있는 동년배 멘토를 연구대상으로 심층인터뷰를 하였다. 연구는 동년배 노인이 멘토가 되어 수업을 할 때, 어렵게만 생각하는 SNS 활용 교육이 보다 유효한 수업이 될 수 있는가를 연구하였다. 연구 결과는 노인 SNS 활용 교육 후 동년배의 친근한 배려와 공감으로 어려운 기기에 대한 두려움에서 벗어나 즐겁고 보람된 교육이었다고 한다. 노인 SNS 활용 교육에 동년배 멘토를 활용한다면 기기에 대한 두려움과 노인에게 어렵고 부담스럽게만 여겨지는 SNS 교육이 보다 유연한 교육으로 활성화 될 것으로 기대된다.

교육환경 개선 지표 설정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Establishment of Educational Environment Improvement Indicators)

  • 이상민;최형주
    • 교육녹색환경연구
    • /
    • 제17권3호
    • /
    • pp.35-45
    • /
    • 2018
  • 본 연구는 학생들의 교육 및 생활 전반에 중요한 영향을 끼칠 수 있는 교육환경 개선 관련 지표를 개발하기 위한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이를 위해 문헌분석을 통해 선행연구와 차별화된 본 연구의 구체적인 방향과 교육환경 개선 개념을 설정하였으며, 교육환경 개선 지표 설정 방향 및 교육환경 개선 분야와 요소를 설정하였다. 이를 토대로 2차에 걸친 전문가 델파이 조사를 실시하였으며, 그 결과 연면적 적정성, 일반교실 적정성, 다목적강당 적정성 등 양적 측면의 지표 43개, 내진성능 확보유무, 소방시설 노후도, 화장실 노후도, 마감재 노후도 등 질적 측면의 지표 34개, 에너지사용량, 사용자 만족도 등 운영 측면의 지표 11개 등 총 88개의 교육환경개선 지표를 최종 설정하였다.

모바일 환자 교육 서비스의 린 캔버스 적용 사례연구: 삼성서울병원 스마트설명서비스 사례를 중심으로 (A Study on Mobile Patient Education Service Based on Lean Canvas: The Case of Samsung Medical Center)

  • 이승준;박재홍
    • 경영정보학연구
    • /
    • 제19권2호
    • /
    • pp.57-70
    • /
    • 2017
  • IT 기술의 발달과 평균 수명의 연장 등의 이유로 모바일 헬스케어 시장이 주목받고 있다. 대학병원 등 의료기관들도 모바일 기기를 이용한 환자 교육 및 설명서비스를 통해 편의성과 치료효율성이라는 목적을 동시에 달성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 본 연구는 삼성서울병원이 출시한 모바일 기반의 환자교육 서비스인 '스마트설명서비스' 앱 구축 및 사용 사례를 비즈니스 모델 분석 방법로인 린 캔버스를 적용하여 분석하였다. 아울러 환자 및 의료진과의 인터뷰를 통해 모바일 환자 교육 서비스의 필요성과 효과성에 대한 의견을 수집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모바일 기반의 환자 교육 서비스를 준비 중인 의료기관과 관련 업계에 유의미한 시사점을 제공할 것으로 기대한다.

고등학생의 호스피스완화의료 인식 영향요인 (Factors Influencing Perception of Hospice Palliative Care in High School Students in Korea)

  • 이영은;김미경;최은아;임민숙
    • Journal of Hospice and Palliative Care
    • /
    • 제19권3호
    • /
    • pp.222-232
    • /
    • 2016
  • 목적: 본 연구는 고등학생을 대상으로 영적안녕, 죽음에 대한 태도, 호스피스 인식 간의 상관관계를 파악하고, 호스피스 인식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규명하고자 한다. 방법: 대상자는 B 광역시에 소재한 고등학교인 실업계(남자, 여자) 2곳, 인문계(남자, 여자) 2곳에 재학 중인 1, 2학년 학생 229명이었고, 자료수집 기간은 2015년 5월 1일부터 동년 5월 31일까지였다. 자료는 SPSS Win 18.0 program을 이용하여 기술통계, t-test, ANOVA, Pearsion correlation coefficients, Stepwise multiple regression으로 데이터를 분석하였다. 결과: 고등학생의 호스피스 인식은 성별(t=-3.377, P=0.001), 주관적 건강상태(t=3.334, P=0.001), 주관적 학교생활만족도(t=3.233, P=0.001), 부직업(t=2.393, P=0.018), 호스피스 사전인지경험(t=-7.181, P<0.001), 호스피스, 죽음 관련 교육경험(t=-2.120, P=0.035)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사후 내 몸에 대한 태도와 죽음준비에 대한 태도가 긍정적일수록 호스피스 인식에 대한 태도가 긍정적이었다. 호스피스 인식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 요인은 호스피스 사전 인지 경험, 죽음준비에 대한 태도, 주관적 학교생활 만족도, 성별로 총 설명력은 34.5%였다. 결론: 고등학생의 호스피스 인식을 증진하기 위해서는 죽음준비에 대한 태도와 호스피스에 대한 인지를 높여줄 수 있는 좋은 죽음 및 호스피스 교육프로그램 개발과 시행이 필요하다고 본다.

일부 여자고등학생들의 학업스트레스와 절망감과의 관련성 (Relationship Between Academic Stress and Hopelessness Among Female High School Students)

  • 조은민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21권1호
    • /
    • pp.593-603
    • /
    • 2020
  • 본 연구는 일부 여자고등학생들의 학업스트레스와 절망감과의 관련성을 파악하고자 시도하였다. 조사대상은 D광역시에 소재하고 있는 인문계 여자고등학교 학생 334명으로 하였으며, 조사는 2018년 8월 20일부터 9월 20일까지 구조화된 무기명 자기기입식 설문지를 이용한 설문조사에 의하였다. 연구결과, 조사대상자의 절망감 수준의 분포는 「정상범위군」 61.6%, 「경도 절망감군」 23.1%, 「중등도 절망감군」 12.9%, 「중증 절망감군」 2.4%이었다. 조사대상자의 절망감은 학업스트레스가 낮은 군보다 높은 군에서 유의하게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p=0.000), 학업스트레스와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를 보였다(r=0.371, p<0.01). 로지스틱 회귀분석 결과, 절망감이 나타날 위험비는 학업스트레스 총점이 낮은 군에 비해 높은 군에서 9.27배 유의하게 증가하였다. 다중회귀분석 결과, 절망감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는 학교생활에 대한 만족도, 부모와의 대화여부, 규칙적 식사 여부, 시험에 대한 스트레스, 공부에 대한 스트레스 및 진로에 대한 스트레스가 유의한 변수로 선정되었다. 이상과 같은 연구결과를 볼 때, 여자고등학생들의 절망감은 학업스트레스와 유의한 관련이 있음을 시사하고 있다. 따라서 학업스트레스 요인을 적절하게 통제할 수 있는 프로그램의 개발 및 운영이 필요하다고 본다.

대학편입생의 편입 이전 대학생활 특성 탐색 (Exploring Transfer Students' University Life before Transferring)

  • 서재영;최원석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7권11호
    • /
    • pp.123-134
    • /
    • 2017
  • 본 연구에서는 한국교육개발원의 한국교육종단조사 2005 데이터를 사용하여 편입생들의 편입 이전의 대학생활이 일반학생과 어떻게 다른지를 탐색적으로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대조집단은 편입하지 않는 학생 전체를 대상으로 하는 대조집단 1과 관찰집단 유사한 특성을 가지는 학생을 1:1 매칭하여 표집한 대조집단 2로 나누었다. 대조집단 1의 7차년도 및 8차년도 대학생활과 비교하고, 대조집단 2의 7차년도 및 8차년도 대학생활과 비교하여 각 변수별로 총 4 종류의 비교를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에 따르면 편입학생들은 이전의 대학에서 일반학생에 비해 성적이 우수하고, 수업에도 적극적으로 참여하며, 수업 외의 항목에서 교수와도 활발히 교류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에 편입학생들은 이전 대학에서 상대적으로 학교생활 만족도가 낮고, 학교에 대한 소속감이 낮았다. 또한 학생회, 축제와 같은 기타 교내 활동 참여도나 친구 및 선후배와의 교류도 적은 경향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편입생들은 편입 이전의 학교에서 학점과 교수와의 교류 등 학교의 공식적인 활동에서는 일반학생들에 비해 뛰어났으나 학생들 간의 교류나 대학생으로서의 다양한 활동 등 학교생활의 정서적인 측면에서는 활동을 잘 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를 활용하여 향후 편입생들의 학교 적응을 효율적으로 돕기 위한 프로그램 개발 방안을 마련할 필요가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