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 Study on Mobile Patient Education Service Based on Lean Canvas: The Case of Samsung Medical Center

모바일 환자 교육 서비스의 린 캔버스 적용 사례연구: 삼성서울병원 스마트설명서비스 사례를 중심으로

  • 이승준 (경성대학교 디지털미디어학부) ;
  • 박재홍 (경희대학교 경영대학)
  • Received : 2017.04.17
  • Accepted : 2017.06.19
  • Published : 2017.06.30

Abstract

Researchers and industry managers highlight the emergence of mobile healthcare market given the rapid development of IT and the expansion of average life expectancy. Medical institutions, such as university hospitals, are aiming to achieve convenience and effectiveness of treatment by providing patient education through a mobile device. This study examines a case related to the development and usage of a mobile application based on Lean Canvas, namely, the Smart Explanation Service released by Samsung Medical Center. This application comprehensively analyzes the usage status of mobile application-based patient education and its application in clinical settings. This study also examines the level of satisfaction of patients and medical workers toward this application. The result of this study is expected to provide meaningful implication to medical institutions and related industries and enable them to create and offer prepare mobile healthcare services.

IT 기술의 발달과 평균 수명의 연장 등의 이유로 모바일 헬스케어 시장이 주목받고 있다. 대학병원 등 의료기관들도 모바일 기기를 이용한 환자 교육 및 설명서비스를 통해 편의성과 치료효율성이라는 목적을 동시에 달성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 본 연구는 삼성서울병원이 출시한 모바일 기반의 환자교육 서비스인 '스마트설명서비스' 앱 구축 및 사용 사례를 비즈니스 모델 분석 방법로인 린 캔버스를 적용하여 분석하였다. 아울러 환자 및 의료진과의 인터뷰를 통해 모바일 환자 교육 서비스의 필요성과 효과성에 대한 의견을 수집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모바일 기반의 환자 교육 서비스를 준비 중인 의료기관과 관련 업계에 유의미한 시사점을 제공할 것으로 기대한다.

Keywords

References

  1. 김승환, 전진옥, 박종현, 스마트 헬스의 미래, 전자신문사, 2014.
  2. 김찬영, 이강덕, 김용진, "병원 헬스케어 서비스 혁신: ICT 조직기능 연관성(ICT Relatedness) 에 기반한 상호작용과 지식공유", Information Systems Review, 제17권, 제1호, 2015, pp. 19-47.
  3. 뉴스와이어, "모바일 헬스 앱 서비스 시장규모 2017년 260억 달러 전망", 2013년 3월 28일, Available at http://www.newswire.co.kr/newsRead.php?no=686798&ected=.
  4. 문남진, 간호정보제공이 중환자실 개심술 환자의 불안에 미치는 효과 (석사학위논문), 부산대학교, 1996.
  5. 문혜선, "모바일 헬스케어산업의 도전과 과제", KIET 산업경제 산업포커스, 2015, pp. 37-38.
  6. 이진수, "디지털 헬스케어 플랫폼과 주요 기업동향", 보건산업브리프, 제140호, 2014, pp. 3-5.
  7. 정혜실, "헬스케어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동향과 전망", 보건산업브리프, 제115호, 2014.
  8. 황순삼, 김성근, "린(Lean) 개념을 소프트웨어 개발 방법에 적용하기 위한 사례 연구: 낭비제거의 가시화를 중심으로", Information Systems Review, 제13권, 제1호, 2011, pp. 61-74.
  9. Amit, R. and C. Zott, "Value Creation in E-business", Strategic Management Journal, Vol.22, No.6-7, 2011, pp. 493-520.
  10. Blank, S., "Why the lean start-up changes everything", Harvard Business Review, Vol.91, No.5, 2013, pp. 63-72.
  11. Chesbrough, H. and R. S. Rosenbloom, "The role of the business model in capturing value from innovation: Evidence from Xerox Corporation's technology spin-off companies", Industrial and Corporate Change, Vol.11, No.3, 2002, pp. 529-555.
  12. DeWalt, D. A., N. D. Berkman, S. Sheridan, K. N. Lohr, and M. P. Pignone, "Literacy and health outcomes: A systematic review of the literature", Journal of General Internal Medicine, Vol.19, No.12, 2014, pp. 1228-1239.
  13. Goodman, K., A. Nowacki, J. Wu, and J. Hickner, "Utilization and impact of pre-office visit video health maintenance education", Patient Education and Counseling, Vol.85, No.2, 2011, pp. 65-68.
  14. Johnson, M. W., C. M. Christensen, and H. Kagermanne, "Reinventing your business model", Harvard Business Review, Vol.86, No.12, 2008, pp. 1-11.
  15. Timmers, P., "Business model for electronic markets", Electronic Markets, Vol.8, No.2, 1998, pp. 3-8.
  16. Wolf, M. S., M. V. Williams, R. M. Parker, N. S. Parikh, A. W. Nowlan, and D. W. Baker, "Patients' shame and attitudes toward discussing the results of literacy screening", Journal of Health Communication, Vol.12, 2007, pp. 721-732.
  17. World Health Organization, "mHealth-new horizons for health through mobile technologies", Global Observatory for eHealth, Vol.3, 2010, pp. 5-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