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chool Violence

검색결과 532건 처리시간 0.026초

생태학적 측면에서 본 학교폭력의 유발 요인 (Ecological Consideration of Factors Inducing School Violence)

  • 정종진
    • 초등상담연구
    • /
    • 제11권3호
    • /
    • pp.331-350
    • /
    • 2012
  • 이 논문은 학교폭력을 예방하고 대처하기 위해서는 학교폭력의 원인에 대한 정확한 진단이 선행되어야 한다고 보고, 학교폭력을 유발하는 요인이 무엇인지 생태학적 관점에서 고찰하는데에 그 목적을 두었다. 이를 위해 Bronfenbrenner(1979)의 생태학적 발달이론의 영향을 많이 받은 Benbenishty와 Astor(2005)의 학교폭력 관련 요인들에 대한 생태학적 경로모형을 간단히 살펴보았고, 이 모형에 기초하여 학교폭력의 유발 요인으로 학교 요인, 개인 요인, 가정 요인, 지역사회 요인으로 구분하여 관련 문헌과 선행연구를 고찰하였다. 이러한 고찰을 통해 본 논문에서는 학교폭력은 한 가지 원인이 아닌 학교, 개인, 가정, 지역사회 관련 요인 등 여러 원인이 복합적으로 작용하여 발생하는 이른바 '폭력의 종합 세트'이기 때문에 이러한 요인들을 고려한 종합적 처방을 마련하여 장기적인 노력을 기울여야 한다는 점과 본 논문에서 고찰한 학교폭력의 유발 요인과 그 영향에 대한 성찰을 토대로 학교와 가정 및 사회를 바로 세워나갈 때 학교폭력의 대책이 진정성과 효과를 지니게 될 수 있다는 점을 강조하였다.

  • PDF

중학생의 학교폭력 예방교육에 대한 인식 연구 (Study on Middle School Student's Perception of School Violence after Preventive Education)

  • 김미원;박옥임;김진희;박준섭
    • 한국지역사회생활과학회지
    • /
    • 제26권1호
    • /
    • pp.155-166
    • /
    • 2015
  • This thesis attempts to provide a foundation for effective preventative education of middle school students regarding school violence after identifying the level of perception of school violence as well as analyzing perception of preventive education among students. The study compiled data on 474 middle school students from middle schools in Jeollanamdo. The finding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most of the students were aware of the necessity for preventive education regarding school violence. By gender, girls and those of lower grades showed great class participation and satisfaction. Second, research on the preventive education found differences in the seriousness of school violence according to school location. Fourth, preventive education conducted once or twice a month was the most desirable condition for middle school students. As a result, schools should consider gender differences and grade level when, developing an education program in order to prevent school violence.

중학생의 학교폭력 피해경험이 사이버불링 가해행동에 미치는 영향과 자기통제력의 조절효과 (The Effects of School Violence Victimization on Cyberbullying Perpetration in Middle School Students and the Moderating Role of Self-Control)

  • 박예슬;박주희
    • 아동학회지
    • /
    • 제37권3호
    • /
    • pp.39-51
    • /
    • 2016
  • Objective: The present study examined the effects of school violence victimization and self-control on cyberbullying perpetration in middle school students and investigated whether self-control moder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school violence victimization and cyberbullying perpetration. Methods: The participants of this study were 315 middle school students (172 boys; 143 girls) from three middle schools in Seoul and Incheon. To measure the level of cyberbullying perpetration, the Bullying/Victimization Questionnaire was used. School violence victimization and self-control were measured via the School Violence Victimization Scale and the Self-Control Scale, respectively. The data were analyzed by means of descriptive statistics and hierarchical regressions. Results and Conclusion: The results indicated that school bullying victimization level increased cyberbullying perpetration level whereas self-control level decreased cyberbullying perpetration. In addition, self-control moderated the effect of school violence victimization on cyberbullying perpetration. That is, the influence of school bullying victimization on cyberbullying perpetration was greater when self-control was low, compared to when it was high.

학교 밖 청소년의 가정폭력피해와 또래폭력가해와의 관계: 불안과 공격성의 매개효과 (Impact of Family Violence Victimization on Peer Violence Behavior in Out-of-School Youths : Mediating Effect of Anxiety and Aggression)

  • 최은희;황미영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7권8호
    • /
    • pp.597-609
    • /
    • 2017
  • 본 연구는 학교 밖 청소년의 가정폭력피해경험이 또래폭력가해에 미치는 영향과 이 과정에서 불안과 공격성의 매개효과를 검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연구대상은 충북의 학교 밖 청소년 169명이다. 자료는 SPSS를 활용하여 분석하였으며 매개효과를 검증하기 위해 Sobel test를 실시하였다. 연구결과를 보면 먼저, 가정폭력피해는 또래폭력가해에 정적인 영향을 미쳐 직접효과가 있었다. 다음으로 가정폭력피해와 또래폭력가해와의 관계에서 불안과 공격성의 매개역할을 검증한 결과, 공격성의 간접효과는 유의하게 나타났으나 불안은 유의하지 않았다. 이러한 결과는 가정폭력피해가 학교 밖 청소년의 또래폭력가해를 높이는 중요한 요인으로 가정폭력피해를 줄이기 위한 개입 및 또래폭력 예방을 위한 공격성 감소 노력이 필요함을 시사한다. 이를 통해 본 연구는 학업중단 후 학교 밖 청소년과 그 가족에 대한 신속한 개입, 가족관계 및 기능 강화, 학교 밖 청소년의 임파워먼트 강화, 학교 밖 청소년에 대한 사회의 인식 전환을 제안하였다.

학교안전지킴이의 학교폭력예방에 대한 제도적 고찰 - 전문성과 제약성을 중심으로 - (Study about the role of the Prevention of School Safety Keeper System)

  • 공배완
    • 융합보안논문지
    • /
    • 제13권2호
    • /
    • pp.3-13
    • /
    • 2013
  • 최근 발생하고 있는 학교폭력은 저연령화, 집단화 되는 경향을 보이고 있으며, 폭력의 유형도 다양해 질 뿐만 아니라 피해수준도 증가하고 있다. 학교폭력은 가정 학교 사회적 요인에 의해 발생되고 있지만, 폭력에 대한 인식부족과 신고의식의 저조 탓도 폭력의 간접적 방조로 작용하고 있다. 학교폭력을 최소화하기 위해서는 폭력이 유발된 장소인 학교만을 대상으로 법적 제도적 장치를 마련하는 것은 한계가 있을 수밖에 없고 그 실효성도 미미하다. 학교폭력 문제를 청소년 범죄 문제와 연계하여 예방과 관리, 처벌이 복합적이고 중층적으로 이루어져야 한다. 2005년을 기점으로 각 지방자치단체에서는 학교폭력의 최소화를 위해 스쿨폴리스, 배움터지킴이, 학교보안관 제도 등을 운용하고 있지만 가시적이고 상징적인 효과 외에는 실질적인 도움에 한계를 가지고 있다. 학교안전지킴이에 대한 교육기관이나 전문 인력이 전무한 상태에서 물리적 감시 기능만 강조 된 '경비'형태의 시스템은 태생적으로 한계를 가지고 출발한다. 또한 학교지킴이에게 적합한 역할과 특별한 권한도 주어지지 않은 상태에서 범죄행위나 폭력사태를 예방한다고 하는 것도 제도적인 문제점이다. 신고 외에는 별 다른 역할을 기대할 수도 없다. 따라서 학교폭력예방을 위해서는 제도적인 개선과 전문 인력의 양성이 선행되어야 하고, 가정과 학교, 사회적 측면에서 지원과 대책이 있어야 한다.

중학생을 위한 웹 활용 데이트폭력 예방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 (Development & Evaluation of Web-Based Dating Violence Prevention Program for Middle School Students)

  • 정하윤;민혜숙
    • 한국간호교육학회지
    • /
    • 제19권4호
    • /
    • pp.627-639
    • /
    • 2013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nd evaluate a dating violence prevention program for middle school students. Method: The development of a web-based dating violence prevention program proceeded through the stages of analysis, design, development, implement, and evaluation in addition to designing a randomized control group pre-post trial to test its effects. The effects of the program were analyzed using dating violence awareness, sex role, anger and aggression. Collected data was analyzed using SPSS 19.0. Result: We posted the results on our website (http://www.stopviolence.co.kr) to complete our web-based dating violence prevention program. The program was conducted as group education on a small scale for 90 minutes per session during 8 sessions in total. The Web-based dating violence prevention program was effective in increasing awareness of middle school students on the dating violence, changing sex role attitudes positively, and decreasing anger and aggression in trouble situations. Conclusion: We strongly recommend using this web-based dating violence prevention program to prevent dating violence.

Associations of Workplace Violence With Cardiovascular Disease Among United States Workers: Findings From a National Survey

  • Zheyu Hu;Jian Li
    • Journal of Preventive Medicine and Public Health
    • /
    • 제56권4호
    • /
    • pp.368-376
    • /
    • 2023
  • Objectives: Recent research indicates a potential association between workplace violence and an increased risk of cardiovascular disease (CVD) in the working-age population. However, the relevant evidence in the United States is sparse. Thus,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xplore the possible relationship between workplace violence and CVD among United States workers. Methods: We utilized cross-sectional data from the 2015 National Health Interview Survey, which included a representative sample of 18 380 workers, to investigate the associations between workplace violence and the prevalence of CVD using logistic regression. Workplace violence was determined based on self-reported threats, bullying, or harassment at work over the past 12 months, supplemented with additional information regarding frequency. CVD included all forms of heart disease and stroke. Results: A total of 1334 workers reported experiences of workplace violence, and 1336 workers were diagnosed with CVD. After adjustment for covariates, participants who reported any instance of workplace violence had significantly higher odds of having CVD (odds ratio [OR], 1.76; 95% confidence interval [CI], 1.35 to 2.30) than those who reported no such violence. Furthermore, the highest odds of CVD (OR, 1.80; 95% CI, 1.23 to 2.63) were observed among those frequently exposed to workplace violence. Even occasional exposure to workplace violence was associated with 74% excess odds of CVD. Conclusions: Our study indicates an association between workplace violence and CVD in United States workers, exhibiting a dose-response pattern.

학교분위기가 중학생의 등교공포에 미치는 영향 : 학교폭력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The Effects of School Climate on Fear of Attending School for Junior High School Students : Focused on School Violence as a Mediator)

  • 김은영
    • 한국사회복지학
    • /
    • 제60권3호
    • /
    • pp.151-176
    • /
    • 2008
  • 연구의 목적은 학교분위기가 학교폭력과 등교공포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학교분위기와 등교공포의 직접적인 관계와, 학교분위기가 등교공포에 미치는 영향에 있어서 학교폭력의 간접효과와 매개효과를 살펴보고, 학교분위기와 학교폭력, 등교공포의 관계를 이론적으로 모형화하였다. 연구대상은 서울, 경기지역에 있는 12개의 중학교를 편의표집하여 선정된 중학생들이며, 최종적으로 1,317부의 설문조사지를 분석하였다. 학교분위기는 등교공포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고 학교분위기는 또래폭력과 교사폭력을 매개로 하여 등교공포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이상의 분석결과를 바탕으로 학생들의 또래폭력, 교사폭력과 등교공포를 감소시키기 위해 학교분위기를 개선시키기 위한 개입의 필요성을 파악할 수 있었다.

  • PDF

가정폭력과 학교폭력 피해와의 상관관계 메타분석 연구 (Meta-Analysis Study on the Correlation Between School and Domestic Violence)

  • 고은주;장영숙;김고은
    • 한국보육학회지
    • /
    • 제19권3호
    • /
    • pp.1-12
    • /
    • 2019
  • 본 연구는 가정폭력과 학교폭력 피해와의 관계를 연구한 선행연구들을 대상으로 메타분석을 실시하여 가정폭력과 학교폭력 피해와의 상관관계 효과크기를 면밀히 분석하고자 하였다. 가정폭력과 학교폭력 피해와의 상관관계를 분석한 연구물은 2001년부터 2019년 4월까지의 학위논문 16편 학술지 9편 총 25편이 선정되었다. 최종 선정된 연구물들에 대한 동질성 검정 결과를 반영하여 랜덤 효과모형으로 분석하였으며 그 결과, Cohen(1977)이 제시한 기준에 따라 가정폭력과 학교폭력 피해와의 상관관계 효과크기는 0.25로 나타나 중간 수준인 것으로 분석되었으며, 선행연구인 가정폭력과 학교폭력 가해와의 상관관계 연구에서의 효과크기보다는 낮은 수준으로 나타났다. 가정폭력의 하위유형 중에는 신체 물리적 폭력이 0.34, 언어 정서적 폭력이 0.28로 나타나 학교폭력 피해는 가정폭력의 하위유형인 신체 물리적 폭력과 가장 상관관계가 높은 효과크기로 나타났다. 가정폭력 유형 중 부부폭력을 목격한 경험과 방임의 경우 학교폭력 피해와의 상관관계는 0.24로 중간 수준의 효과크기가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통계적으로는 모두 유의미하였다. 본 연구는 가정폭력과 학교폭력 피해와의 상관관계를 종합적이고 체계적인 분석기법인 메타분석을 통해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하여 연구의 사회적 시사점과, 제한점, 후속연구에 대한 제언을 논의하고자 하였다.

독서교육 프로그램이 중학생의 학교폭력태도와 공감능력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Reading Education Program on Middle School Students' Attitudes toward School Violence and Empathic Ability)

  • 김정남;조미아
    • 한국비블리아학회지
    • /
    • 제28권1호
    • /
    • pp.79-95
    • /
    • 2017
  • 본 연구는 학교폭력 예방을 위한 독서교육 프로그램이 청소년의 학교폭력 태도와 인식, 공감 능력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파악하고자 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독서교육 프로그램은 학교폭력 태도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학교폭력 태도의 하위 영역인 폭력에 대한 허용적인 태도, 가해자 및 피해자에 대한 태도, 학교폭력이 발생하였을 때 대처하는 태도 등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효과가 나타났다. 둘째, 독서교육 프로그램은 공감 능력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공감 능력의 하위 영역인 관점 취하기, 공감적 관심, 개인적 고통, 상상하기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결과가 나타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