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Meta-Analysis Study on the Correlation Between School and Domestic Violence

가정폭력과 학교폭력 피해와의 상관관계 메타분석 연구

  • Go, Eun Joo (Dept. of Social Welfare, Sungkyunkwan University) ;
  • Zang, Young Suk (Dept. of Social Welfare, Sungkyul University) ;
  • Kim, Ko Eun (Dept. of Social Welfare, Sungkyunkwan University)
  • 고은주 (성균관대학교 사회복지학과) ;
  • 장영숙 (성결대학교 사회복지학과) ;
  • 김고은 (성균관대학교 사회복지학과)
  • Received : 2019.07.26
  • Accepted : 2019.09.15
  • Published : 2019.09.30

Abstract

Objective: This study aims to thoroughly analyze the correlation effect size between domestic violence and school violence by meta-analyzing previous studies on the correlation between school and domestic violence. Methods: For this purpose, meta-analysis was performed on the selected research material, which consists of national research data collected from various databases from 2001 to April, 2019. 16 thesis and 9 papers on the correlation between school and domestic violence were selected. A random effect model analysis based on the homogeneity examination results was performed on the selected data. Results: The results showed, just as Cohen (1977) proposed, that the correlation effect size between domestic and school violence was 0.25, which is moderate. This is a somewhat lower number than the previous studies on the same subject presented. Of the sub-categories of domestic violence, physical violence and psychological violence appeared to have a correlation effect size of 0.34 and 0.28, respectively, with physical violence showing the highest correlation effect size. Of the types of domestic violence, witnessing spouse violence and experiencing neglect appeared to have a moderate correlation size effect of 0.24. All of these results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Conclusion/Implications: This study utilized meta-analysis as a comprehensive and systematic method to analyze the correlation effect between domestic and school violence. The results presented may lead to discussions on the subject's social implications, limits, and propositions for future studies.

본 연구는 가정폭력과 학교폭력 피해와의 관계를 연구한 선행연구들을 대상으로 메타분석을 실시하여 가정폭력과 학교폭력 피해와의 상관관계 효과크기를 면밀히 분석하고자 하였다. 가정폭력과 학교폭력 피해와의 상관관계를 분석한 연구물은 2001년부터 2019년 4월까지의 학위논문 16편 학술지 9편 총 25편이 선정되었다. 최종 선정된 연구물들에 대한 동질성 검정 결과를 반영하여 랜덤 효과모형으로 분석하였으며 그 결과, Cohen(1977)이 제시한 기준에 따라 가정폭력과 학교폭력 피해와의 상관관계 효과크기는 0.25로 나타나 중간 수준인 것으로 분석되었으며, 선행연구인 가정폭력과 학교폭력 가해와의 상관관계 연구에서의 효과크기보다는 낮은 수준으로 나타났다. 가정폭력의 하위유형 중에는 신체 물리적 폭력이 0.34, 언어 정서적 폭력이 0.28로 나타나 학교폭력 피해는 가정폭력의 하위유형인 신체 물리적 폭력과 가장 상관관계가 높은 효과크기로 나타났다. 가정폭력 유형 중 부부폭력을 목격한 경험과 방임의 경우 학교폭력 피해와의 상관관계는 0.24로 중간 수준의 효과크기가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통계적으로는 모두 유의미하였다. 본 연구는 가정폭력과 학교폭력 피해와의 상관관계를 종합적이고 체계적인 분석기법인 메타분석을 통해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하여 연구의 사회적 시사점과, 제한점, 후속연구에 대한 제언을 논의하고자 하였다.

Keywords

References

  1. 경찰청(2015). 경찰청 가정폭력 검거 건수 상반기 조사. 브레이크뉴스. http://www.breaknews.com/sub_read.html?uid=404678§ion=sc2에서 2015년 10월 28일 인출
  2. 경찰청(2018). 경찰청 가정폭력사범 검거 건수.재범률. 매일경제. https://www.mk.co.kr/news/society/view/2018/10/667387/에서 2018년 10월 25일 인출
  3. 고미정(2013). 가정폭력 경험과 학교폭력 가해.피해와의 관계. 형사사법연구, 3(1), 81-105.
  4. 고은주(2015). 가정폭력 피해여성 대상 프로그램의 효과성에 대한 메타분석 연구. 성균관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5. 곽현미(2010). 아동의 가정폭력 경험과 학교폭력 피해.가해와의 관계. 경상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6. 교육부(2018). 2019년 1차 학교폭력 실태조사 결과 발표. https://www.moe.go.kr/boardCnts/view.do?boardID=294&lev=0&statusYN=W&s=moe&m=0204&opType=N&boardSeq=78346에서 2019년 8월 27일 인출
  7. 김경록(2005). 청소년의 가정폭력 경험과 학교폭력과의 관계연구. 중앙대학교 사회개발대학원 석사학위논문.
  8. 김남현(2005). 가정폭력과 대중매체폭력이 청소년의 학교폭력에 미치는 영향. 중앙대학교 사회개발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9. 김미영(2013). 학교폭력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충북지역 중고등학교 여학생을 중심으로. 고려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0. 김영순(2007). 청소년의 학교폭력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에니어그램연구, 4(1), 71-97.
  11. 김은영(2014). 청소년의 학교폭력 가해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학교폭력피해 및 가정폭력 목격 경험을 중심으로. 한국치안행정논집, 11(1), 1-21. doi:10.25023/kapsa.11.1.201405.1
  12. 김재영(2005). 실업계 고교에서의 가정폭력 경험과 학교폭력의 관계에 관한 연구. 대전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3. 김효진, 이재연(2004). 초등학생의 가정폭력노출과 또래 폭력의 관계. 아동과 권리 연구, 8(3), 413-437.
  14. 노충래, 이신옥(2003). 중학생의 학교폭력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부부폭력 목격경험, 아동학대 피해경험, 내적 통제감 및 학교생활 인식을 중심으로. 학교사회복지, (6), 1-35.
  15. 박다애(2001). 학교 폭력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한림대학교 사회복지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6. 박순지(2015). 가정학대 피해가 학교폭력 가해와 피해에 미치는 영향: 교사관계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동국대학교 경찰사법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7. 배준우(2010). 청소년의 학교폭력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경상북도를 중심으로. 경북대학교 과학기술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8. 신복기, 이성진(2012). 청소년의 가정폭력, 학교폭력, 우울불안, 자살 간의 관계: 가정위탁, 양육시설, 쉼터, 보호관찰 청소년들을 중심으로. 한국민족문화, 44, 281-318. doi:10.15299/jk.2012.08.44.281
  19. 신선인(2008). 가정폭력 노출경험이 아동, 청소년 비행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메타분석. 한국가족복지학, 23, 153-182. doi:10.16975/kjfsw.2008.23.005
  20. 신성철, 백석기(2014). 청소년의 가정폭력경험이 학교 폭력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적응유연성의 조절 효과. 한국치안행정논집, 11(1), 23-43. doi:10.25023/kapsa.11.1.201405.23
  21. 심재홍(2007). 중학생의 가정환경과 학교폭력간의 관련성 연구: 남녀 학생의 차이를 중심으로. 인제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2. 아영아, 정원철(2014). 보호관찰 청소년의 가정 및 학교폭력 피해경험이 정신건강 및 학교폭력 가해 경험에 미치는 영향. 교정복지연구, 34, 81-108.
  23. 이겨라(2012). 부모자녀관계가 학교폭력행동과 태도에 미치는 영향: 도덕성을 매개 변인으로. 한양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4. 이승출(2012). 청소년의 가정폭력 노출경험과 학교 폭력에 관한 연구. 청소년문화포럼, 29, 116-135.
  25. 임신일, 이정미(2013). 남자 고등학생의 부모 간 폭력 목격 경험, 자존감, 학교폭력 피해, 학교폭력 가해의 관계. 학교사회복지, 26, 27-45.
  26. 임희복(2003). 가정폭력 목격 및 경험과 학교폭력의 관계에 관한 연구. 대전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7. 장지영(2004). 초등학생 학교폭력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상지대학교 행정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8. 장초록(2017). 가정폭력 및 학교부적응이 학교폭력 피해에 미치는 영향. 경기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9. 전혜은(2013). 특성화고 여학생의 가정폭력 경험이 학교폭력 가해 및 피해행동에 미치는 영향: 친구 관계 질의 조절효과. 상명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0. 정재은(2015). 청소년이 지각한 부부폭력, 자녀학대, 형제폭력과 학교폭력 간의 관계. 서강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1. 조민경, 조한익(2019). 가정학대가 청소년의 학교폭력 가해 및 피해경험에 미치는 영향: 공격성과 우울의 매개효과. 한국심리학회지: 학교, 16(1), 17-38. doi:10.16983/kjsp.2019.16.1.17
  32. 최효진(2006). 청소년의 학교폭력 가해, 피해성향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대한 연구. 동덕여자 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3. 한국가정법률상담소(2010). 아동 및 청소년의 폭력에 대한 인식 및 예방교육실태 조사. 연합뉴스. http://wsp.mogef.go.kr/wngonet/home/ccb/pr/GCH_PrDetail.do?search=&keyword=&page=80&seq=2690에서 2010년 11월 22일 인출
  34. 허진아(2017). 청소년의 학대피해가 폭력피해에 미치는 영향: 일탈적 생활양식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동국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35. Begg, C. B., & Mazumdar, M. (1994). Operating characteristics of a rank correlation test for publication bias. Biometrics, 50(4), 1088-1101. https://doi.org/10.2307/2533446
  36. Borenstein, M., Hedges, L., Higgins, J., & Rothstein, H. R. (2009). Computing effect sizes for meta-analysis. Chichester: John Wiley & Sons, Ltd.
  37. Cohen, J. (1977). Statistical power for the behavioral sciences (1st Ed). Hillsdale. New Zealand: Lawrence Erlbaum Associates.
  38. Cooper, H. (1998). Synthesizing research: A guide for literature reviews (3rd ed). Thousand Oaks. CA: Sage.
  39. Duval, S., & Tweedie, R. (2000). Trim and fill: A simple funnel-plot-based method of testing and adjusting for publication bias in meta-analysis. Biometrics, 56, 455-463. doi:10.1111/j.0006-341x.2000.00455.x
  40. Egger, M., Smith, G. D., Schneider, M., & Minder. C. (1997). Bias in meta-analysis detected by a simple, graphical test. BMJ, 315, 629-634. doi:10.1136/bmj.315.7109.629
  41. Evans, S. E., Davies, C. A., & DiLillo, D. (2008). Exposure to domestic violence: A meta-analysis of child and adolescent outcomes. Aggression and Violent Behavior, 13(2). 131-140. doi:10.1016/j.avb.2008.02.005
  42. Glass, G, V., McGaw, B., & Smith, M. L. (1981). Meta-analysis in social research. Beverly Hills, CA: Sage Publications.
  43. Kolbo, J. R., Blakely, E. H., & Engleman, D. (1996). Children who witness domestic violence: A review of empirical literature. Journal of Interpersonal Violence, 11(2), 201-293. doi:10.1177/088626096011002010
  44. Valentine, J. C., Pigott, T. D., & Rothstein, H. R. (2010). How many studies do you need? A primer on statistical power for meta-analysis. Journal of Educational and Behavioral Statistics, 35(2), 215-247. doi:10.3102/107699860934691
  45. Wolfe, D. A., Crooks, C. V., Lee, V., McIntyre-Smith, A., & Jaffe, P. G. (2003). The effects of children's exposure to domestic violence: A meta-analysis and critique. Clinical Child and Family Psychology Review, 6(3), 171-187. https://doi.org/10.1023/A:102491041616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