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owse > Article

Study about the role of the Prevention of School Safety Keeper System  

Gong, Bae Wan (경남대학교 경호비서학과)
Publication Information
Abstract
School violence that have occurred recently, showing a tendency to collectivization and diverse types of violence, as well as the quality and increase the damage levels. School violence in the home, school, and social factors, but is caused by the lack of awareness about the violence and the reporting of consciousness due to poor acts of violence indirectly assisted. The only place violence has caused the school to establish the legal and institutional arrangements in order to minimize school violence have no choice but to limit its effectiveness is negligible. The problem of school violence in connection with the problem of juvenile crime prevention and control, and punishment should be made of the complex and layered. Operation and School police system, School safety keeper system, school sheriff system since 2005, each municipality in order to minimize school violence, but have no practical help to limit the visible and symbolic effects. Nonexistent professional staff of the institution or school safety monitors emphasis on monitoring the physical state of the system in the form of 'guards' departure inherently have limitations. Also, to prevent criminal acts or violence in the state is not given special privileges and the appropriate role for the school keeper is a problem with the system. Report no other role can not be expected. Should therefore be preceded by a systematic improvement and training of experts in order to prevent school violence, and home and school, in terms of social support and measures.
Keywords
school police; school sheriff; school safety keeper; school violence; juvenile crime;
Citations & Related Records
연도 인용수 순위
  • Reference
1 교육과학기술부, "학교폭력, 이제 그만!": 7대 실천 정책으로 학교폭력 없는 행복한 학교를 만든다, 교육과학기술부, 국무총리실, 2012
2 강복순, "학교폭력 예방에 관한 연구: 배움터지킴이제도의 조기 정착화를 중심으로", 석사학위논문(73p), 한세대 경찰법무대학원, 2006.2
3 국회도서관, '학교폭력 관련 주요국 입법례', 2012
4 권정관, "학교폭력 실태에 대한 학생들의 인식 분석에 관한 연구: 경북 구미시 중.고등학교 학생 중심으로", 석사학위논문(127p), 영남대학교 행정대학원, 2012.8
5 경남교육청, 2013.3
6 교육과학기술부, '2012년 학교폭력 실태 전수조사 결과 중간 발표', 2012
7 김광영, '배움터지킴이 제도의 운영실태 및 개선 방안에 관한 연구', 석사학위논문(77p), 동국대 행정대학원, 2011.2
8 김선동, "학교폭력의 이해와 대처방안", 교육경남. 제189호 통권206호, pp.13-19, 2012.06.30.
9 김미숙, 김정숙, "아동.청소년 학교폭력 실태와 정책과제", 보건복지포럼. 통권 제188호, pp.67-77, 한국보건사회연구원, 2012.06.01
10 노순규, '학교폭력의 원인과 해결방법', 한국기업경영연구원, 2012
11 뉴시스, 2011.03.11
12 동아일보, 2013.04.23
13 박주형, 정성수, "고등학교 학생의 학교폭력에 대한 인식과 학교의 영향 요인 탐색", 교육행정학 연구. 제30권 제3호 통권 제88호, pp.1-19, 2012.10.31
14 박효정, "학교폭력 예방 및 근절 대책의 추진경과와 향후 과제", 교육개발=Educational development. vol.39 no.3 통권 181호, pp.78-84, 2012.09.28
15 서울경제, 2011.03.11.
16 서울경찰청, '현장중심의 학교폭력 예방 및 근절 대책 마련: 교육현장에 스쿨폴리스 배치 및 학교폭력 신고활성화.피해학생 보호방안 등', 서울지방경찰청, 2012
17 송형호, "학교폭력 예방 대책", 주간교육신문사. 통권144호, pp.94-100, 2012.03.01
18 신순갑, "학교폭력과 스쿨폴리스", 오늘의 청소년 제23권 제2호, pp.19-27, 2007
19 아시아 투데이, 서울시 학교보안관제도, 2011.05.29
20 양정열, '학교폭력과 배움터지킴이 제도에 대한 연구', 석사학위논문(70p), 대진대 교육대학원, 2011.8
21 윤덕경, "학교폭력 피해실태와 법.제도적 대응과제", 젠더리뷰. vol.24, 한국여성정책연구원, 2012
22 이승현, "학생 스스로 문제 깨닫고 개선하도록 도와야: 학교폭력 예방 시스템, 이제는 변해야 한다", 시사저널. 통권1223호, pp.36-37, 2013.03.26
23 이덕난, 유지연, '학교폭력 예방 및 대책의 문제점과 개선방안', 국회입법조사처, 2012
24 이삼열, 김학진, 조병우, "배움터지킴이 제도의 효과 평가에 관한 연구: 인천지역 시범 사례를 중심으로", 現代社會와 行政. 제18권 제3호, pp.115-138, 2008.12.31
25 이상교, '학교폭력의 실태분석과 대처방안에 관한 연구', 석사학위논문(125p)', 한세대학교 경찰법무대학원, 2012.8
26 최종술, '미국의 학교-경찰 연계제도 및 한국의 학교폭력 해결책에 주는 시사점', 한국교육개발원, 2012
27 행정안전부, '학교폭력근절 종합대책', 관계부처합동, 행정안전부, 2012
28 허경미, '범죄학', 서울: 박영사, 2009
29 홍서아, '배움터지킴이 제도의 활성화 방안에 관한 연구', 석사학위논문(82p)', 동국대 대학원, 2010.2
30 홍봉선, '학교폭력의 대처방안에 관한 연구', 석사학위논문, 신라대학교, 2005.
31 CBS, 2011.05.2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