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aururus chinensis Baill.

검색결과 69건 처리시간 0.037초

1차 수확정도가 삼백초의 생육 및 수량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First Harvest Methods on Growth and Yield in Saururus chinensis Baill)

  • 남상영;김인재;김민자;윤태;이철희
    • 한국자원식물학회지
    • /
    • 제20권2호
    • /
    • pp.125-128
    • /
    • 2007
  • 최대 엽 수량 증대를 위한 1회 수확부위를 구명하여 안정생산을 도모코자 지제부 수확 등 4처리를 두어 2002년부터 3년간 시험한 결과, 경엽과 근경 생육은 1회 수확높이가 짧을수록 양호한 경향이었으나, 분얼수는 길수록 많았으며, 근경의 분포는 직경 5mm 이하가 58% 정도며, 수확높이가 짧을수록 굵은 근경의 비율이 높은 경향이었다. 경엽수량은 지상부에서 수확높이가 짧을수록 많아 5cm수확(관행) 10a당 292kg 대비 지제부 수확에서 15% 증수되었고, 경엽 수확 후 건조 전 조제시간은 수확높이가 낮을수록 단축되었으며, 5cm 수확(관행) 대비 지제부 수확에서 30% 절감되었다.

三元丹 에탄올 추출물이 비만유도인자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the Samwondan Ethanol Extract on Obesity Inducer)

  • 강경수;이해진;심부용;박지원;최학주;김동희
    • 대한본초학회지
    • /
    • 제30권4호
    • /
    • pp.21-27
    • /
    • 2015
  • Objectives : In this study, we investigated the biological activities such as anti-obesity using Samwondan ethanol extract (SWD). SWD is a complex with Salicornia herbacea Linnaeus, Saururus chinensis Baill and Houttuynia cordata Thunberg as the main raw material.Methods : The SWD was extracted 80% ethanol. 3T3-L1 preadipocytes were induced adipogenesis by differentiation media with SWD at 1 μg/mL, 10 μg/mL, and 100 μg/mL. Effect of SWD performed using MTT assay, oil red O staining (observation by microscope), and reverse transcription polymerase chain reaction. Also we measured production of triglyceride (TG), fatty acid, and acetyl-CoA carboxylase (ACC).Results : Non-cytotoxicity was in all test group from range of 1 μg/mL to 100 μg/mL on pre-adipocyte. The droplet and production of lipid were decreased significantly by the SWD. And TG was decreased by approximately 89%, 85% and 82%, upon the SWD treatment at concentration of 1 μg/mL, 10 μg/mL, and 100 μg/mL. Moreover, the SWD showed inhibitory effects on the expression of the C/EBP (CCAAT/enhaner binding protein)β, C/EBPα, and peroxisome proliferator-activated receptorγgenes in adipocytes. The SWD at 100 μg/mL concentration showed inhibitory effect on fatty acid production by 79%. Also ACC production were decreased dose-dependently.Conclusions : From the results above, we concluded that the SWD indicated significantly anti-obesity effects.

수확 후 광 노출이 삼백초 품질변화에 미치는 영향 (Effect on Qualities of Italic as the Degree of Sunlight Exposure after Harvest)

  • 김인재;김민자;윤태;박성규;이우영;홍성수;황방연;남상영
    • 한국자원식물학회지
    • /
    • 제18권3호
    • /
    • pp.505-511
    • /
    • 2005
  • 삼백초 수확 후 광 노출정도에 따른 선도유지 및 유효성분 함량 변화를 구명하여 품질향상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시험을 수행한 결과, 건물율은 잎, 줄기, 꽃 모두 광노출 시간이 길수록 높았으며, 색도중 명도는 광노출시간이 짧을수록 높았으나, 적색도는 상반된 경향이었다. 황색도와 채도는 건조전에는 광노출 2시간시에, 건조후에는 광노출시간이 짧을수록 높았으나, 경엽 탕전시에는 상반된 경향이었고, 광노출 시간이 짧을수록 rutin, quercitri 의 함량과 떫은 맛이 많았고, 품질 선호도와 경엽 탕전 시 기호도도 우수하였다.

재배년수에 따른 삼백초 재식거리별 생산성 변화 (Change of Productivity According to Cultivation Years and Planting densities in Saururus chinensis Baill)

  • 남상영;김인재;김민자;윤태;이철희;박성규;이우영;정승근
    • 한국약용작물학회지
    • /
    • 제14권3호
    • /
    • pp.134-138
    • /
    • 2006
  • 재배년수 및 재식거리에 따른 삼백초의 생산성을 구명하여 재배법 확립의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40{\times}5\;cm$ 등 6처리를 두어 2002년부터 3년간 시험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가. 경엽 생육중 초장은 1년생은 소식할수록 좋았으나, 2년생은 재식거리 $40{\times}10\;cm$, 3년생은 $40{\times}20\;cm$에서 가장 좋았으며, 분얼수는 1, 2, 3년생 모두 밀식할수록 많았고, 근경생육은 1, 2년생은 밀식할수록 양호한 경향이었으나, 3년생은 $40{\times}20\;cm$에서 가장 좋았다. 나. 상품 경엽수량은 1년생은 재식거리 $40{\times}5\;cm$, 2년생 $40{\times}10\;cm$, 3년생 $40{\times}20\;cm$, $1{\sim}2$년 누적수량 $40{\times}10\;cm$, $1{\sim}3$년 누적수량 $40{\times}10$, 20 cm에서 가장 많았다.

삼백초(三白草)의 종근(種根)사용 부위(部位)와 마디수가 근경(根莖) 및 지상부(地上部) 생육(生育)에 미치는 영향(影響) (Effects of Tuber Position and Number of Nodes on Growth of Saururus chinensis Baill)

  • 박재호;박부규;김민자;박성규;김진한
    • 한국약용작물학회지
    • /
    • 제6권4호
    • /
    • pp.286-293
    • /
    • 1998
  • 삼백초의 종근으로 사용한 부위와 마디수가 생육 및 수량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고자 $1996{\sim}1997$년 2년간 충북 농촌진흥원 시험포장에서 상위부, 중위부, 하위부를 각각 1마디, 2마디, 3마디씩 절단하여 분할구배치법 3반복으로 재식하여 시험을 실시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종근부위별 출아율은 중위부 재식에서 82%로 가장 양호하였고, 심는 마디수가 증가할수록 출아율이 향상되었다. 2. 중위부 3마디를 재식하였을 때 LAI도 3.10으로 높았고 지상부 및 지하부 생육도 가장 양호하였다. 3. 근경의 건물중 및 건물율은 중위부의 3마디 재식에서 $821g/m^2$와 28%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4. 건엽과 건근경의 수량은 중위부 3마디 재식에서 272kg/10a과 821kg/10a로 높게 나타났다.

  • PDF

멸종위기 야생식물 삼백초의 종자발아에 미치는 화학적 처리의 영향 (Effect of Chemical Treatments on Seed Germination of Saururus chinensis (Lour.) Baill., an Endangered Species in Korea)

  • 조주성;이철희
    • 한국자원식물학회지
    • /
    • 제29권4호
    • /
    • pp.385-392
    • /
    • 2016
  • 본 연구는 삼백초 종자의 체계적인 발아연구를 통한 대량의 실생번식법 확립 및 약용작물로써의 활용도를 높이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채종 후 정선이 완료된 종자는 즉시 휴면유형 분류를 위하여 배 관찰, 직파 발아율 및 불투수성 검정을 실시하였다. 이후 종자를 4 ± 1.0℃에 건조저장하면서 발아특성 연구에 사용하였다. 발아촉진을 유도하고자 생장조절제와 무기염류의 종류 및 농도를 달리한 용액에 24시간 침지처리 하였다. 연구의 결과, 저온처리 되지 않은 삼백초 종자는 분화가 불완전한 미숙배를 가지고 있었으며, 5% 미만의 낮은 발아율을 기록하였다. 또한 단순 침지처리에 의해 수분흡수가 원활하였으며, 형태적으로 미숙한 배가 신장 후 발아되었기 때문에 형태·생리적 휴면으로 생각되었다. 삼백초 종자는 생장조절제와 무기염류 처리에 의해 유의적인 발아촉진 효과가 확인되었으며, 특히 GA3 500 ㎎/L 처리구에서 발아세(GE)가 46.1%로 가장 높았다. 또한 KNO3 10 ~ 20 mM 처리구에서는 최종발아율(PG)이 54.3 ∼ 57.7% 수준으로 향상되었으므로, 균일한 육묘를 위한 생장조절제와 무기염류의 선택적 이용이 가능할 것으로 생각된다.

삼백초 수용성 추출물의 Salmonella typhimurium 균에 대한 항균 및 숙주세포 내 사멸 효과 규명 (Antibacterial and Intracellular Clearance Effect of Saururus chinensis Baill Water Extract against Salmonella typhimurium)

  • 김동혁;이진주;임정주;김대근;김곤섭;이후장;민원기;이만휘;장홍희;김석
    • 농업생명과학연구
    • /
    • 제44권6호
    • /
    • pp.111-119
    • /
    • 2010
  • 살모넬라증은 대표적인 인수공통전염병의 하나로서 세포내 기생하며 질병을 유발하며 장염과 식중독 등을 유발하여 공중보건학적으로 심각한 문제를 야기하고 있다. 본 연구는 삼백초의 수용성 추출물을 (SCWE) 이용하여 숙주세포에 대한 안전성, S. typhimurium 균에 대한 항균효과 및 대식세포 내 균 증식억제 기능을 규명하였다. 본 실험을 통하여 SCWE 1, 10 및 $100{\mu}$g/ml 농도로 첨가한 배지에서 RAW 264.7 체포와 24 시간 반응 후 평가해본 결과 세포독성이 인정되지 않았으며, S. typhimurium 균에 대하여 시간 경과에 따라 항균효과가 증가되는 것을 확인하였고, SCWE 처리에 의해 대식세포의 형태적 변화가 증가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p<0.05), 살모넬라균의 탐식능력 및 대식세포 내 균 증식 억제 능력이 비 처리군에 비해 현저히 증가되는 것이 확인되었다. 또한 SCWE 처리 한 대식세포에 살모넬라균 감염을 수행하였을 때 대식세포의 nitric oxide (NO) 산생능력이 비 처리 군에 비해 저하되는 것으로 나타나, 살모넬라균에 의한 대식세포의 세포독성을 억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종합적으로 SCWE의 숙주세포에 대한 안전성, 살모넬라균에 대한 항균효과 및 대식세포 내 균 증식 억제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나 SCWE를 이용한 세포내 기생세균의 치료제 개발이 가능할 것으로 판단된다.

Lactobacillus plantarum DK119로 발효한 약용식물 당침액의 특성 (Characteristics of sugar extracts of medicinal plants fermented with Lactobacillus plantarum DK119)

  • 배수연;오준석;박민경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50권2호
    • /
    • pp.179-185
    • /
    • 2018
  • 본 연구에서는 약초 당침 추출액의 발효특성을 분석하고 관능적 특성을 개선할 수 있는 적정 발효조건을 도출하여 유산균 발효 약초음료 개발에 응용하고자 하였다. 설탕을 이용하여 1년 숙성, 추출한 개똥쑥, 어성초 및 삼백초 당침액($50{\pm}5^{\circ}Bx$)을 10, 15 및 $20^{\circ}Bx$로 희석한 후 김치로부터 분리한 L. plantarum DK119 ($5{\times}10^9CFU/mL$)를 2% (v/v) 접종하고 $37^{\circ}C$에서 4일 동안 발효하면서 유산균 수, pH, 적정산도 및 환원당 함량 변화를 분석한 결과 개똥쑥은 $20^{\circ}Bx$, 어성초는 $10^{\circ}Bx$, 그리고 삼백초는 $15^{\circ}Bx$가 발효 가능한 농도로 나타났다. 즉, 희석농도와 접종 유산균 수가 유사한 조건에서도 사용한 약초 종류에 따라 발효특성에 차이가 있음을 알 수 있다. 발효 기간 중 개똥쑥, 어성초 및 삼백초 희석액의 총폴리페놀 함량은 모든 희석액에서 변화가 없는 반면 DPPH radical 제거능과 환원력(FRAP)은 발효 2일에 유의적 증가를 보여 발효 중 항산화 활성에 영향을 미치는 발효 산물이 생성되는 것으로 추정된다. 관능검사 결과, 발효 전 당침액에서 나는 특유의 불쾌한 약초 맛이 발효 1일부터 감소하고 종합적 기호도가 발효 2-3일에 높아져 L. plantarum DK119를 이용한 유산균 발효는 약초 당침액의 항산화 활성을 증가시키고 관능적 품질특성을 개선시켜 약초 추출물을 이용한 건강 음료 개발에 응용 가능한 것으로 사료된다.

제주도 마르형 분화구 내에 형성된 하논의 식물상과 복원 방안 (Flora and Restoration Plan of Hanon Paddy Fields Made in Maar Crater, Jeju Island, South Korea)

  • 김명현;남형규;어진우;권순익;송영주
    • 환경생물
    • /
    • 제36권4호
    • /
    • pp.439-455
    • /
    • 2018
  • 국내 최대 규모의 마르형 분화구 내에 형성된 하논은 제주도에서 유일하게 벼농사가 약 500년 동안 유지되고 있는 논 생태계이다. 이러한 하논의 식물상 특성과 복원 방안을 파악하고자 2015년부터 2018년 사이 총 8회에 걸쳐 식물상을 조사하였다. 그 결과, 관속식물은 55과 151속 194종 1아종 26변종 4품종으로 총 225분류군으로 조사되었다. 과별 분포현황은 벼과가 가장 많은 36분류군을 차지하였고, 다음으로 국화과 29분류군, 사초과 20분류군, 콩과 13분류군, 마디풀과 11분류군으로 나타났다. 하논에 출현한 식물의 생활형 조성은 일년생식물-단립식물-중력산포형-총생형($Th-R_5-D_4-t$)으로 나타났다. 희귀식물로는 물질경이 (Ottelia alismoides (L.) Pers.), 창포(Acorus calamus L.), 물잔디(Pseudoraphis ukishiba Ohwi) 3종이 확인되었다. 멸종위기야생식물은 멸종위기야생생물 II급인 삼백초 (Saururus chinensis (Lour.) Baill.) 1종이 확인되었다. 귀화식물은 15과 34속 41종 2변종으로 총 43분류군이 확인되었고, 도시화지수는 13.3%, 귀화율은 16.9%를 나타냈다. 현재 제주도 하논은 멸종위기야생식물, 희귀식물을 포함하여 높은 식물 다양성을 가지고 있을 뿐만 아니라, 제주도 유일의 벼농사 지역으로서 지속적으로 보전해야할 충분한 경관생태적, 사회문화적 가치를 지니고 있다고 판단된다.

여드름 외용약의 실제적 응용에 관한 고찰(여성 월간지에 여드름 미용도포제로 소개된 본초를 중심으로) (A Practical Application on the External Treatment of Acne (A Focus on the Medical Herbs Published in the Woman's Monthly Magazines))

  • 유현정;최인화
    • 한방안이비인후피부과학회지
    • /
    • 제17권1호
    • /
    • pp.34-44
    • /
    • 2004
  • Objectives: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teach patients clinically useful external application of acne. Methods: We investigated the effects and manufacturing methods of the medical herbs published in the woman's monthly magazines according to "Zhong-Yao-Da-Ci-Dian(中藥大辭典)". Results: We investigated that Saururus chinensis Baill.(三白草), Houttuynia cordata Thunb.(魚腥草), Coix lachrymajobi L.(薏苡仁) were discovered 3 times, Brassica oleracea L.(甘藍), Raphanus sativus L.(래복), Daucus carota L. var. Sativa DC.(홍래복), Oryza sativa L.(米皮糠), Spinacia oleracea L.(파래), Cucumis sativus L.(黃爪) 2 times, and Glycyrrhiza uralensis Fisch.(甘草), Gallus gallus domesticus Braisson.(?子白), Aloe vera L.(노회), Phascolus radiatus L.(綠豆), Prunus persica Batsch.(桃葉), Lycopersicon esculentum Mill.(番茄), Taraxacum mongolicum Hand.-Mazz.(蒲公英), Prunus armeniaca L.(杏仁), Musa paradisiaca L. var. Sapientum O. ktze.(香蕉) and Malus pumila Mill.(평과) were discovered once in woman's monthly magazine during last two years. According to the effects, we classificated four groups which were defervescence(淸熱), subsidence of edema(消腫), pyorrhea(排膿) and gloss(滋潤) group. Conclusion & discussion : We suggested the use of each medical herbs on the Consensus conference on acne classification. We needed the further study on the manufacturing method, the time of use and the dose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