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amcheonpo

검색결과 47건 처리시간 0.038초

삼천포 해양소수력 성능평가 (Performance Evaluation of the Samcheonpo Small-Hydro Power Plant)

  • 조홍연;조범준;강금석
    • 한국신재생에너지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신재생에너지학회 2007년도 춘계학술대회
    • /
    • pp.617-620
    • /
    • 2007
  • The performance evaluation of the Samcheonpo small-hydropower plant constructed on the October 25th,2006, was carried out focused on the turbine and generator efficiency analysis by using the measurement data. The unreasonable and unrealistic efficiency results are occurred in some periods because of the data variability, uncertainty, and measurement errors and mistakes. Whereas, the big mismatch is the tidal elevation predicted in the design processes. The difference between the measured and estimated tidal elevation is obvious during the low water period. It should be considered and checked in depth on the efficiency analysis of the planned and constructing small-hydro power plants in other coastal areas.

  • PDF

국내 삼천포와 하동 석탄 화력발전소 주변 토양 내 중금속의 지구화학적 특성 조사 (Investigation on Geochemical Characteristics of Heavy Metals in Soils in the Vicinity of Samcheonpo and Hadong Coal-Fired Power Plants in Korea)

  • 송창우;한협조;이종운
    • 자원환경지질
    • /
    • 제52권2호
    • /
    • pp.141-158
    • /
    • 2019
  • 경남에 소재하는 삼천포 및 하동 석탄 화력발전소 인근 농경지 토양을 대상으로 중금속 함량을 측정하였다. 삼천포지역 48개, 하동 지역 61개의 표토 및 심토를 대상으로 분석한 결과, Cu, Hg, Ni, Pb, Zn는 모두 토양오염 우려기준 미만으로 나타났으나 Cd는 삼천포 38개, 하동 13개 시료에서 우려기준을 초과하였다. 지질부하지수와 농축계수를 구한 결과 Cd는 높은 오염도를 보였으며 Cd와 Pb는 인위적 오염원에 의한 토양 내 농축인 것으로 보인다. 그러나 연속추출을 통해 중금속의 존재형태를 규명한 결과 Cd를 포함한 토양 내 중금속들은 대부분 용출 가능성이 매우 적은 형태로 존재하여 생물이용도가 낮게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석탄 화력발전소 인근 토양이 인위적인 요인으로 인해 Cd로 오염되었으나 인근 생태계로 유입될 가능성은 낮음을 의미한다.

삼천포만 인근해역과 저질토에서 종속영양세균과 분변성 기원 세균의 분포 (Distribution of Population Densities of Heterotrophic Bacteria and Fecal-Origin Bacterial Group in Seawater and Sediments near Samcheonpo Bay)

  • 박석환;이건형
    • 환경생물
    • /
    • 제24권3호
    • /
    • pp.258-267
    • /
    • 2006
  • 본 연구는 경상남도 사천시 삼천포 항을 중심으로 인근의 40개의 조사정점을 선정하여 해수와 저질토에서 해양종속영양세균, E. coli, 그리고 Salmonella와 Shigella의 분포를 2003년 7월부터 12월가지 3차에 걸쳐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조사기간(2003년 $7{\sim}12$월)중 삼천포만 인근해역의 조사정점에서 해양 종속영양세균의 분포는 $1.7{\pm}0.9{\times}10^3{\sim}2.4{\pm}0.9{\times}10^5CFUmL^{-1}$의 범주에서 변화하였으며, 정점 34에서 9월에 가장 높은 값을 나타냈다. 전반적으로 9월이 7월과 12월에 비해 모든 정점에서 다소 높은 값을 보였다. 저질토에서 혐기성 세균의 분포는 $2.2{\pm}0.2{\times}10^3{\sim}2.0{\pm}0.2{\times}10^5CFUg^{-1}dry$ wt.의 범주에서 변화하였다. 혐기성 세균의 경우 외해 정점에서는 내만에 위치한 정점들보다 년 중 낮은 균체수를 유지하고 있어 물리, 화학적인 환경요인들에 의해 별 영향인 없음을 알 수 있다. E. coli의 분포는 해수의 경우, 7월중에만 사천만 인근(St. 1, 2, 3, 4),진주만과 창선도 인근 (St. 15, 23, 31), 삼천포항 인근(St. 14)에서 검출되고 9월과 12월에는 전 정점에서 전혀 검출되지 않았다. 저질토의 경우, 7월에 사천만 인근(St. 1, 2)과 창선도 인근(St. 16, 31)에서만 검출 되었다. Salmonella와 Shigella의 분포는 해수와 퇴적토에서 7월과 9월에 일부 해역에서만 검출되었다.

볼락 방류사업의 현황 및 과제 - 경제효과분석을 중심으로 - (The Current Status and Tasks of Rockfish Restocking Project based on Economic Performance Evaluation)

  • 송정헌;홍재범
    • 수산경영론집
    • /
    • 제40권3호
    • /
    • pp.69-88
    • /
    • 2009
  • This research was as part of restocking project conducted until 1986. The necessity of its economic and scientific verification on restocking project increased. The economic analysis of this project was intended to measure its effectiveness of rockfish restocking throughout certain water areas. The rockfish restocking in 2008 was carried two regional governments of Gyeongnam and Busan. 3-year average annualized performance is 3.76 million rockfish restocked and 940 million won invested. As Gyeongnam restocked 3.62 million rockfish and invested 890 million won, most of rockfish stocking accomplished in Gyeongnam. The public shipment was the 3-year average amount was about 400 tons. Each Suhyup shipment as follows; TongYong 66.6 tons, Namhae 23.6 tons, Samcheonpo 17.2 tons; Yeosu 13.3 tons, Geoje 4.7 tons, Goseong 3.1 tons, Hadong 1.0 tons. The private shipment was assessed by the interview of relevant market participations. The high percent areas of public ship were Nemaha, Goseong 90% and Geoje 80% or more. Hadong and Samcheonpo were about 50%. TongYong was 10% and the lowest. The private shipment was calculated using the percentage of private shipment surveyed. The total amount of private shipment was 4.8 billion, where 4.5 billion was TongYong, where most of private shipment is being made. The positive economic benefit occurred when the percent of restocked is over 15% in the overall catch. The percentage of restocked investigated with genetic test was 58.2%. With 58.2% ratio of restocked, there was 3.8 times economic benefit according to approximately 3.6 billion won. Economic effects were highly significant. As catch increased according restocking, joint market commission increased. Joint market commission was calculated as total restocked shipment multiplied by the ratio of commission, the calculated commissions were as follows; Hadong 5.0%, Geoje 4.8%, Goseong 4.8%, Namhae 4.8%, Samcheonpo 4.3%, Yeosu 4.3%, TongYong 4.0%. According to calculation results, annual commission fee of ₩60,000,000 was raised during 2006~2008. The fishing catch bulk for entertainment significantly increased in sea area carried with mass restock.

  • PDF

다중빔 음향측심기를 이용한 삼천포 남부해역 수심자료 정확도 평가 (A Study on Assessment of Depth Data from Hydrographic Surveying Using MBES around South Sea of Samcheonpo)

  • 공성규;김진권;심문보
    • Journal of Advanced Marine Engineering and Technology
    • /
    • 제34권4호
    • /
    • pp.560-566
    • /
    • 2010
  • 삼천포항은 국가 지정 무역항으로 새로운 항만이 건설되고 있으며 이에 따른 안전의 요구가 증가하고 있다. 이러한 해상안전을 위한 요구사항을 충족하기 위해 다중빔 음향측심기를 이용한 삼천포 남부해역에 대한 수로측량이 실시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수로측량의 주요한 항목인 수심자료를 획득하였으며, 이 자료를 국제수로기구(IHO)에서 2008년 2월에 간행한 특별 간행물의 최소 수로측량 기준과 비교한다. 3단계로 수심자료를 분석한 결과, 좌 우현의 외곽 빔에 대한 제거범위를 산정하여 필터링함으로서 자료처리의 효율성과 자료의 정확도를 높일 수 있었으며, 남쪽해역은 해류 등 외부환경의 영향 큰 해역에서는 0.2m 정도의 오차가 나타났으며, 중앙 부 및 상부에서는 0.2m이내의 오차가 나타났다. 연구해역의 수심자료는 국제수로기구 수로측량 규정에서 특등급의 허용 오차 내에 99%가 포함되고 1등급에는 100%만족하는 것을 확인 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해상교통안전지원, 연안관리 등 해양활동의 의사결정의 정확성을 높이는데 기여할 것이다.

경상남도 삼천포 광산의 자수정에 대한 유체포유물 특성 (Fluid Inclusion Study of the Samcheonpo Amethyst Deposit of Kyongsangnamdo, Korea)

  • 배윤수;양경희
    • 한국광물학회지
    • /
    • 제19권3호
    • /
    • pp.153-162
    • /
    • 2006
  • 삼천포 자수정광상은 경상남도 사천시 와룡산에 위치하고 있으며, 자수정에는 4종류(I, II, III 그리고 IV형)의 다양한 유체포유물이 포획되어 있다. I형은 균질화온도 $289{\sim}359^{\circ}C$, 염도 $10{\sim}23wt%;$ II형은 염도 $2{\sim}10wt%$, 균질화온도 $304{\sim}365^{\circ}C;$ III형은 암염을 포함하는 포유물로서 염도 $31{\sim}54wt%$, 균질화온도 $259{\sim}510^{\circ}C;$ IV형은 $CO_{2}$ 성분을 함유하는 포유물로서 균질화온도 $126{\sim}277^{\circ}C$, 염도 $9{\sim}13wt%$을 나타내고 있다. 삼천포 자수정은 뿌리부분에 I, II, III형의 유체포유물이, 상부에는 IV형만이 포획되어 있다. 고상선환경에서 최초로 용리된 IIIa형의 유체포유물은 규산염 용융포유물(melt inclusion)과 공간적으로 연관되어 산출되며, 균질화 과정에서 기포가 암염보다 먼저 사라진다. 이것은 열수가 용리될 때 비교적 고압의 상태에서 포획되었음을 의미한다. 그 후 점차 염도가 낮은 IIIb형, I형, II형이 마그마로부터 용리되고 마지막으로 $CO_{2}$ 성분을 가진 IV형의 유체가 자수정 성장에 관여했음을 알 수 있다. IV형의 열수는 화강암류를 중심으로 순환하고 있던 열수가 퇴적암과의 반응하여 형성된 $CO_{2}$성분을 포획한 것으로 여겨진다. 삼천포 자수정을 배태하는 화강암류는 물에 포화된 서브솔부스(sub-solvus)조건에서 결정화작용이 진행되었으며, 고상선 환경에서 휘발성성분을 다량으로 용리하였다. 그 결과 고상선 온도를 상승시켜, 잔류마그마는 비교적 급냉되어 세립질의 화강암류를 만들었다. 마그마에서 용리된 열수는 정동을 만들었으며, 확보된 공간속에서 자수정 정동을 형성하였다.

삼천포와 서천 화력발전소에서 발생하는 석탄회중의 중금속 함량에 관한 연구 (Content of Heavy Metals in Coal Fly Ash from the Samcheonpo and the Seocheon Power Plant)

  • 윤정한;오근창;김용웅;신방섭
    • 자원환경지질
    • /
    • 제28권2호
    • /
    • pp.147-154
    • /
    • 1995
  • Coal fly ashes collected from the Samcheonpo and the Seocheon Power Plants were analyzed for major and minor components and heavy metals such as As, Cd, Co, Cr, Cu, Ga, Hg, Mo, Ni, Pb, Sb, V and Zn in order to suggest basic data to apply coal fly ash as fertilizer or soil ameliorator. The specific gravity of the samples was less than 2.0, and amounts of organic matter range from 5.0% to 12.3%. The identified minerals by XRD were mainly quartz, mullite and pyrite in anthracite coal, and mainly quartz and mullite in bituminous coal. Generally, the contents of heavy metal elements analyzed were lower less than those of soil, though higher in some samples. Element couples of some elements( e.g., As-Mo, Zn ; Mo-As, Sb, V, Zn ; Sb-Zn ) show positive correlations with each other, but the high correlations of toxic elements such as As, Pb, Cd and Hg indicate to give attention to apply coal fly ash as fertilizer or soil ameliorator.

  • PDF

삼천포화력발전소 주변해역 퇴적물의 지구화학적 연구 (Geochemical Study of Coastal Sediments around the Samcheonpo Coal-fired Power Plant)

  • 이두호;임주환;정연태;정년호;강정원
    • 환경영향평가
    • /
    • 제10권2호
    • /
    • pp.85-98
    • /
    • 2001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geochemical factors governing the distribution of heavy metals(Co, Cr, Cu, Fe, Mn, Ni, Pb, and Zn) in the marine surface sediment samples collected from the Samcheonpo coal-fired power plant. Variations of absolute metal concentrations were related to those in textural and/or carbonate and organic matter content. Most elements, except for Pb, showed generally lower contents compared with the average shale concentration, and the effect of anthropogenic input appeared to be minimal in the sediments. Computations of LF%(labile fraction) and EF(enrichment factor) based on all trace metal data indicated the presence of mineralogical control for Co, Cr, Cu, Ni, and Zn, and anthropogenic contamination for Pb, which needs to be considered in the design of long term monitoring programmes.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