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ageretia thea

검색결과 15건 처리시간 0.031초

제주지역 상동나무의 자생지 생육환경 및 식생조사 (Vegetation and Habitat Environment of Sageretia thea in Jeju Island)

  • 송상철;송창길;김주성
    • 한국약용작물학회지
    • /
    • 제22권4호
    • /
    • pp.301-305
    • /
    • 2014
  •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the vegetation and habitat environment of Sageretia thea which is distributed in Jeju island, Korea. Sageretia thea were mainly distributed to the west area in Jeju island. Soil pH and EC of Sageretia thea habitat were 5.8 and $0.34dS{\cdot}m^{-1}$. The contents of organic matter, available phosphate, exchangeable potassium, exchangeable sodium, exchangeable magnesium and exchangeable calcium were 15.27%, $13.6mgkg^{-1}$, $0.27cmol_+kg^{-1}$, $1.3cmol_+kg^{-1}$, $1.7cmol_+kg^{-1}$, $4.9cmol_+kg^{-1}$, respectively. Thirty one taxa including 25 families, 31 genus, 27 species and 4 varieties were identified surrounding Sageretia thea habitat. Specific plant species were 1 taxon in III grade, 1 taxon in I grade and 3 taxa in I grade.

Sageretia thea fruit extracts rich in methyl linoleate and methyl linolenate downregulate melanogenesis via the Akt/GSK3β signaling pathway

  • Ko, Gyeong-A;Shrestha, Sabina;Cho, Somi Kim
    • Nutrition Research and Practice
    • /
    • 제12권1호
    • /
    • pp.3-12
    • /
    • 2018
  • BACKGROUND/OBJECTIVES: Sageretia thea is traditionally used as a medicinal herb to treat various diseases, including skin disorders, in China and Korea. This study evaluated the inhibitory effect of Sageretia thea fruit on melanogenesis and its underlying mechanisms in B16F10 mouse melanoma cells. The active chemical compounds in anti-melanogenesis were determined in Sageretia thea. MATERIALS/METHODS: Solvent fractions from the crude extract were investigated for anti-melanogenic activities. These activities and the mechanism of anti-melanogenesis in B16F10 cells were examined by determining melanin content and tyrosinase activity, and by performing western blotting. RESULTS: The n-hexane fraction of Sageretia thea fruit (HFSF) exhibited significant anti-melanogenic activity among the various solvent fractions without reducing viability of B16F10 cells. The HFSF suppressed the expression of tyrosinase and tyrosinase-related protein 1 (TRP1). The reduction of microphthalmia-associated transcription factor (MITF) expression by the HFSF was mediated by the Akt/glycogen synthase kinase 3 beta ($GSK3{\beta}$) signaling pathway, which promotes the reduction of ${\beta}-catenin$. Treatment with the $GSK3{\beta}$ inhibitor 6-bromoindirubin-3'-oxime (BIO) restored HFSF-induced inhibition of MITF expression. The HFSF bioactive constituents responsible for anti-melanogenic activity were identified by bioassay-guided fractionation and gas chromatography-mass spectrometry analysis as methyl linoleate and methyl linolenate. CONCLUSIONS: These results indicate that HFSF and its constituents, methyl linoleate and methyl linolenate, could be used as whitening agents in cosmetics and have potential for treating hyperpigmentation disorders in the clinic.

생장조정제 처리가 상동나무 열매의 비대와 수확시기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Plant Growth Regulators on Fruit Enlargement and Optimal Harvest Time in Sageretia thea (Osback) M. C. Johnst)

  • 송상철;송창길;김주성
    • 한국약용작물학회지
    • /
    • 제23권4호
    • /
    • pp.311-318
    • /
    • 2015
  • This study had been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some plant growth regulators inducing fruit enlargement and optimal harvest time in Sageretia thea. Two hundred fifty $mg/{\ell}$ mepiquat chloride treatment, $1mg/{\ell}$ thidiazuron treatment on full bloom, and $200mg/{\ell}$ gibberellic acid treatment on 7 days before full bloom resulted in the increase of 21.7% in weight, and $200mg/{\ell}$ gibberellic acid treatment 7 days before full bloom, 10$mg/{\ell}$ forchlorfenuron treatment 14 days after full bloom, and $1mg/{\ell}$ thidiazuron treatment on full bloom also brought about positive effects on the enlargement of the fruit, increasing 6.3%, 6.3% and 8.1% in its transverse diameter, respectively. Furthermore, the effects of the plant growth regulator treatments on the harvest time of Sageretia thea were determined as follows: the increase in the optimal harvest time of 57.2 - 75.4%, shorter maturation period, by the treatments with $500mg/{\ell}$ mepiquat chloride 7 days after full bloom, $100mg/{\ell}$ gibberellic acid treatment on full bloom, $2.5mg/{\ell}$ forchlorofenuron 7 days after full bloom and $2mg/{\ell}$ thidiazuron treatment 7 days before full bloom; and the greater effects of plant growth regulator treatments on the fruit maturation in the following order, gibberellic acid > thidiazuron > forchlorofenuron > mepiquat chloride.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expected to be used as a reference data to develop Sageretia thea as a new local specific crop for Jeju island.

Anticancer Activity of Sageretia thea Through β-catenin Proteasomal Degradation in Human Colorectal Cancer and Lung Cancer Cells

  • Kim, Ha Na;Park, Su Bin;Kim, Jeong Dong;Jeong, Jin Boo
    • 한국자원식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자원식물학회 2019년도 춘계학술대회
    • /
    • pp.92-92
    • /
    • 2019
  • In this study, we evaluated the effect of branch (STB) and leave (STL) extracts from Sageretia thea on ${\beta}$-catenin level in human colorecal cancer cells, SW480 and lung cancer cells, A549. STB and STL dose-dependently suppressed the growth of SW480 and A549 cells. STB and STL decreased ${\beta}$-catenin level in both protein and mRNA level. MG132 decreased the downregulation of ${\beta}$-catenin protein level induced by STB and STL. However, the inhibition of $GSK3{\beta}$ by LiCl or ROS scavenging by NAC did not block the reduction of ${\beta}$-catenin protein by STB and STL. Our results suggested that STB and STL may downregulate ${\beta}$-catenin protein level independent on $GSK3{\beta}$ and ROS. Based on these findings, STB and STL may be a potential candidate for the development of chemopreventive or therapeutic agents for human colorectal cancer and lung cancer.

  • PDF

상동나무 지상부의 항혈전 활성 (Evaluation of the Anti-thrombosis Activities of the Aerial Parts of Sageretia thea)

  • 표수진;이윤진;박성익;이창일;박종이;손호용
    • 생명과학회지
    • /
    • 제30권5호
    • /
    • pp.443-451
    • /
    • 2020
  • 현대사회는 고지방의 서구화된 식사, 과도한 스트레스 등으로 비정상적인 혈액응고 및 과다한 혈소판 응집이 증가되고 있으며, 이로 인한 다양한 혈전성 질환 위험성도 증가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제주 특용식물인 상동나무(Sageretia thea) 지상부의 항혈전 활성을 평가하기 위해 잎(ST-L), 줄기(ST-B), 열매(ST-F) 에탄올 추출물을 조제하고 이의 항혈전 활성, 인간 적혈구 용혈활성 및 flavonoids·phenolic acids 조성을 검토하였다. ST-B 추출물은 식용으로 이용되고 있는 ST-F 추출물보다 6.7배의 총 폴리페놀 함량을 보였으며, ST-L 추출물은 ST-F 추출물보다 2.7배 높은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을 보였다. 혈액응고 저해활성 평가 결과, ST-F 추출물은 aPTT에서만 혈액응고시간 연장이 미약하게 나타났으나, ST-L 및 ST-B 추출물은 기존 항혈전제인 aspirin 및 베리류 및 한방 약재 추출물보다 트롬빈, 프로트롬빈, 응고인자들에 대해 강력한 저해활성을 나타내었다. 혈소판 응집저해 역시 ST-L 및 ST-B 추출물은 aspirin보다 우수한 응집저해 활성을 나타내었으며, 인간 적혈구에 대한 용혈활성은 1 mg/ml 농도까지 전혀 나타나지 않았다. ST-L 및 ST-B 추출물의 phenolic acid 및 flavonoids 분석결과, rutin, isoquercitrin 및 astragalin이 주요 활성물질로 확인되었다. 본 연구결과는 상동나무 잎과 줄기의 강력한 항혈전 활성의 최초 보고이며, 상동나무를 이용한 항혈전제 개발이 가능함을 제시하고 있다. 향후 상동나무에서 처음으로 확인된 isoquercitrin의 항혈전 기전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

국내 자생 갈매나무과 식물의 항산화 및 면역반응조절 효과 탐색 (Antioxidant and immunoregulatory effects of Korean Rhamnaceae)

  • 어현지;김다솜;강연경;김기윤;박영기;박광훈
    • Journal of Plant Biotechnology
    • /
    • 제47권3호
    • /
    • pp.254-259
    • /
    • 2020
  • 본 연구에서는 국내 자생하고 있는 갈매나무과 식물 13종(망개나무, 먹넌출, 헛개나무, 갯대추나무, 까마귀베개, 산황나무, 갈매나무, 털갈매나무, 돌갈매나무, 참갈매나무, 짝자래나무, 상동나무, 묏대추나무)에 대한 결실기 부위별(잎, 가지, 열매) 39점 70% ethanol 추출물의 총 페놀 및 플라보노이드 함량을 측정하고, ABTS 라디칼 소거능과 DPPH 전자 공여능 이용한 항산화 활성 및 NO 생성 억제력을 통한 항염증 활성을 측정하여 기능성 검토하였다. 총 페놀 및 플라보노이드 함량은 망개나무, 상동나무, 묏대추나무 추출물에서 높게 나타났다. 망개나무, 갯대추나무, 까마귀베개, 상동나무 추출물에서 높은 ABTS 라디칼 소거능을 보였고, 망개나무, 상동나무 추출물에서 약 80% 이상의 DPPH 전자공여능을 보였다. 또한, 망개나무, 먹넌출, 갯대추나무, 상동나무, 묏대추나무 등에서 50% 이상의 NO 생성 억제력을 보였다. 이러한 결과를 통하여 갈매나무과 식물의 이용 부위별 다양한 기능성을 검토하였고, 천연 항산화제 및 NO생성 억제를 통한 과도한 면역반응 완화 소재 개발 가능성을 확인하였다.

제주지역 상동나무의 열매와 종자발아 특성 (Characteristics of Seed-germination and Fruit for Sageretia thea in Jeju Region)

  • 송상철;송창길;김주성
    • 한국약용작물학회지
    • /
    • 제23권1호
    • /
    • pp.8-12
    • /
    • 2015
  • Characteristic of seed for Sageretia thea fruits collected from the habitat of harvest season in Jeju and their germination ratio in different temperatures were considered. The average weight was 0.2 g, average diameter was 7.2 mm, average length was 6.5 mm, and size distribution range was 5.1 ~ 10.0 mm. The number of seeds per fruit was 1.8, and 1000 grain weight was 7.77 g with diameter of 3.7 mm and thickness of 1.7 mm in size. The fruit maturation was investigated to be from April 27 to June 1, when the best maturation period was about a week, May 11 to May 18. Also, the fruits grown on May 4 to May 11 were seen to have the bigger in transverse size and weight with a tendency of the earlier maturation date has the greater the number of seeds. S. thea seeds pretreated for 24 hours at $50^{\circ}C$ were not germinated, while most of those pretreated for 24 hours at $4^{\circ}C$ were successfully germinated at any degree of temperature (except at a temperature of $10^{\circ}C$). Particularly, the highest germination rate of 55% was made at $15^{\circ}C$, and plumule and radicle were best grown within the temperature range of $25^{\circ}C$.

상동나무(Sageretia thea) 가지추출물의 대장암세포에서 NF-κB 신호전달 활성화를 통한 세포사멸 유도활성 (Induction of Apoptosis by Sageretia thea Branch Extracts through Activation of NF-κB Signaling Pathway in Human Colorectal Cancer Cells)

  • 김정동;박수빈;어현지;박광훈;정진부
    • 한국자원식물학회지
    • /
    • 제33권5호
    • /
    • pp.428-435
    • /
    • 2020
  • 본 연구에서 상동나무 가지 추출물(STB-E100)은 대장암 세포에서 세포사멸을 유도하여 세포생육을 억제하였다. 또한 IκB-α 인산화를 통한 IκB-α 단백질 분해를 유도하며 이로 인해 P65 핵내 전이를 유도하여 NF-κB 신호전달을 활성화시킨다. NF-κB 신호전달 활성화는 GSK3β 활성화를 통해 P65 핵내 전이를 유도에 의한 것이지만 IκB-α분해는 GSK3β 의존성이 아니다. 상동나무 가지 추출물은 이러한 신호전달 활성화를 통해 세포사멸을 유도하여 대장암의 세포생육을 억제한다. 본 결과를 바탕으로 상동나무 가지가 암 예방 및 치료를 목적으로 한 표적 요법에서 항암제 개발의 잠재적 활용 소재로서 이용 가능하다고 사료된다. 그러나 대장암 세포에서 상동나무 가지 추출물에 의해 유도된 NF-κB 신호전달 작용기전을 좀더 구체적으로 구명할 필요가 있고 대장암에 대한 세포사멸과 작용기전의 정확한 관련성을 조사하기 위해 추가적인 연구가 필요하다.

상동나무(Sageretia thea) 잎과 가지추출물의 대장암과 폐암세포의 β-catenin 분해 유도 활성 (Effect of the Extracts from the Leaves and Branches of Sageretia thea on β-catenin Proteasomal Degradation in Human Colorectal and Lung Cancer Cells)

  • 김하나;박광훈;김정동;박수빈;어현지;정진부
    • 한국자원식물학회지
    • /
    • 제32권2호
    • /
    • pp.153-159
    • /
    • 2019
  • 이상의 연구 결과로 미루어 볼 때, 상동나무 가지 (STB)와 잎(STL)은 $GSK3{\beta}$와 ROS에 의존하지 않는 ${\beta}-catenin$의 분해 유도를 통해 대장암 및 폐암세포의 생육을 억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결과는 상동나무 가지와 잎의 항암을 위한 대체보완소재 및 천연 항암제 개발을 위한 소재로 활용이 가능할 것으로 판단된다. 그러나 추가적 연구를 통해 상동나무 가지와 잎의 ${\beta}-catenin$의 분해 유도 관련 기전연구와 항암 활성물질의 분석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제주산 블루베리와 상동열매의 일반성분, 항산화 및 항증식 활성 비교 (Comparison of proximate compositions, antioxidant, and antiproliferative activities between blueberry and Sageretia thea (Osbeck) M.C.Johnst fruit produced in Jeju Island)

  • 고경아;고소예;류지연;김소미
    • Journal of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60권2호
    • /
    • pp.161-171
    • /
    • 2017
  • 본 연구에서는 블루베리의 형태 및 풍미와 유사한 상동열매의 일반성분과 항산화 활성을 비교하였다. 열량, 조단백, 조회분, 탄수화물 및 유리당은 상동열매가 블루베리에 비해 더 높았으며 수분은 블루베리가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상동열매의 주요 유리당은 fructose, glucose 및 maltose로 나타난 반면, 블루베리에서는 maltose가 검출되지 않았다. 상동열매와 블루베리를 각각 80% 메탄올로 추출한 후, 헥산, 클로로포름, 에틸아세테이트, 부탄올 및 물층으로 용매 분획하여 이들의 폴리페놀 및 안토시아닌 함량과 항산화 활성을 비교하였다. 상동열매 메탄올 추출물이 블루베리 메탄올 추출보다 폴리페놀 함량과 안토시아닌 함량 모두 높게 나타났으며, 아울러 DPPH, alkyl, 및 ABTS 라디칼 소거 활성 또한 더 우수하였다. 용매 분획물들을 대상으로 항산화 효능을 비교했을 때, 상동열매와 블루베리 모두 폴리페놀 함량이 상대적으로 높았던 에틸아세테이트 분획물의 DPPH와 alkyl radical 소거 활성이 가장 우수했으며, 안토시아닌 함량이 높은 부탄올 분획물의 ABTS radical 소거 활성이 상대적으로 우수하였다. 특히, 안토시아닌 함량이 상대적으로 높았던 상동열매 부탄올 분획물의 ABTS 라디칼 소거 활성은 블루베리 부탄올 분획물에 비해 상대적으로 우수하였다. 상동열매와 블루베리 메탄올 추출물은 피부세포에서의 $H_2O_2$로 유도된 산화적 스트레스로부터 세포 보호 효과를 나타냈으며, 블루베리와 비교하여 상동열매에서 그 효능이 더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상동열매와 블루베리의 헥산 분획물과 클로로포름 분획물이 위암(AGS)와 유방암(MDA-MB-231)세포에 대한 증식억제 활성이 확인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최초로 상동열매와 블루베리의 일반성분, 항산화 및 항암 활성을 비교하였으며, 상동열매가 블루베리보다 상대적으로 높은 함량의 폴리페놀과 안토시아닌을 함유할 뿐만 아니라 블루베리보다 우수하거나 그에 필적한 항산화 및 항암 활성을 나타내고 있어, 항산화 식품 및 천연 항산화 소재 로서의 활용가치가 클 것으로 사료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