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afety improvement

검색결과 4,695건 처리시간 0.033초

안전관리 평가를 통한 연구실 안전수준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호남지역 대학 중심으로- (A study on improvement of the safety level in university laboratory using the safety management assessment)

  • 박해천;조상훈;심철우
    • 대한안전경영과학회지
    • /
    • 제14권3호
    • /
    • pp.11-19
    • /
    • 2012
  • Especially because of the distinctiveness that new experiments and research provoke coexistence of various risk factors, the researchers in university laboratory are being exposed to incidents that are difficult to predict. Due to the fact that the numbers of accidents that occur at the university laboratory are increasing, the necessity for laboratory safety management is on the rise. Most laboratory accidents are caused by the ability that can detect risk factors such as unsafe behavior or unsafe condition but is not working perfectly. In order to prevent researchers in advance from unsafe behavior or unsafe condition, effective safety education, systematic safety management, safe research environment, continuous safety check and proper measures after accident are the most important factors. In this study, survey was conducted in university laboratory to identify the factors that affect on safety management and to measure the safety management level. As a result, effective measures are proposed for the improvement of the safety management level.

KALMAN FILTER를 이용한 원자로 열출력측정 방법개선에 관한 고찰 (The Study of Improvement in Reactor Thermal Power Measurement Method using KALMAN FILTER)

  • 정남교
    • 기술사
    • /
    • 제30권5호
    • /
    • pp.82-95
    • /
    • 1997
  • A Study of Improvement in Reactor Thermal Power Measurement Method using Kalman Filter. The objectives of the safety analysis of nuclear power plants are to maintain the surface temperature of fuel and fuel cladding within limit value in case of Loss of Coolant accident (LOCA) so that it ensures the safety and reliability of nuclear power plants. The new technique evaluating the reactor power and improvement of existing plant system increase the safety margin of nuclear power plant operation, and accordingly, economic effect will be anticipated. Hereby, 1 would like to introduce reactor power measurement method using Kalman filter that enables to calculate the reactor power more precisely combining the parameters, for example, turbine output as the 1 st stage pressure of high pressure turbine, and reactor power using energy equilibrium relation. It is expected that the new technique will enhance the accuracy of measurement of reactor power and maintain the reliability of nuclear power operation by increasing operational safety margin, and gain the economic benefit

  • PDF

집단 정박지 안전관리 개선방안에 대한 제언 (Suggestions for Improvement Things for Group Anchorage Safety Management)

  • 이상원;정선미;김윤하
    • 한국항해항만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항해항만학회 2022년도 춘계학술대회
    • /
    • pp.24-25
    • /
    • 2022
  • 집단 정박지인 부산항 남외항 정박지 사례를 기초로 집단 정박지 안전관리 증진을 위한 관련 규정, 정박선 선회반경 그리고 더 정확한 기상정보 수집과 현실에 부합하는 투묘위치를 적용하기 위한 시스템 관제지원 기능개선을 통한 안전관리 개선방안에 대한 제언입니다.

  • PDF

5 kW급 건물용 연료전지 시스템 연료승압 블로워 안전 성능 평가에 관한 연구 (A Study on Safety Performance Evaluation of NG Blower for 5 kW Class Stationary Fuel Cell Systems)

  • 백재훈;이은경;이정운;이승국;문종삼;김규형;박한우;김동철;이진희
    • 한국수소및신에너지학회논문집
    • /
    • 제28권6호
    • /
    • pp.675-682
    • /
    • 2017
  • New government, the market for stationary fuel cell systems in domestic is expected to expand in line with the policy for expanding new and renewable energy. In order to promote and expand the domestic market for stationary fuel cell systems, it is required to do research and develop for cost reduction and efficiency improvement technologies through the localization of BOP. In this study, the safety performance including the power consumption, flow rate, noise and air-tightness of the domestic fuel booster blower and the foreign fuel booster blower was evaluated and the performance improvement of the domestic blower was confirmed. As a result of the power consumption measurement and the flow rate according to the back pressure of the A company 2nd prototype and B company, the values were 73 W, 27 LPM, and 55 W, 25 LPM. These results are attributed to the improvement of performance through design changes such as CAM angle and diaphragm material.

안전관리자 계획단계 업무 도출을 통한 난이도 및 예방효과 분석 (Analysis of Construction Safety Planning Tasks for Performance Improvement Using Importance Performance Analysis (IPA) Method)

  • 강상훈;허영기;김대영
    • 한국건축시공학회지
    • /
    • 제20권6호
    • /
    • pp.545-554
    • /
    • 2020
  • 최근 건설현장에서의 안전사고는 근로자의 생명을 위협하는 중대한 사고로 이어질 수 있는 만큼 안전관리업무를 담당하는 안전관리자의 역할이 대두대고 있다. 그러나 현행 건설업 안전관리에 있어 안전 관리자는 1인당 담당하는 업무량이 과도하게 많고, 비효율적인 안전업무들로 인해 업무내용 개선 및 간략화가 필요한 실정이다. 본 연구의 주목적은 안전 관리자 계획단계에서 수행되는 업무들의 난이도와 예방효과를 전문가 의견을 통해 2×2 Matrix 분석 기법을 활용하여 상관관계를 도출하고 불필요한 업무의 간략화와 업무 개선이 필요한 부분을 파악함으로써, 궁극적으로 건설안전재해사고 발생을 줄이는 데 있다.

실태조사 결과의 유형화를 통한 안전인증제도 개선방안 연구 (A Study on the Improvement Plan of the Safety Certification System through the Typology of the Actual Condition Survey Results)

  • 변정환;김정곤
    • 한국재난정보학회 논문집
    • /
    • 제17권2호
    • /
    • pp.391-402
    • /
    • 2021
  • 연구목적: 안전인증 생태계 주체별 의견 유형화를 통하여 제도 운영상의 취약점을 확인하고 미래 변동성에 대하여 안전인증제도가 빠른 회복력을 가질 수 있도록 개선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연구방법: 문헌조사 및 자료 분석을 통해 국내·외 유사 안전인증 및 관련 사례와 국제 기준 및 국가 표준 현황 등을 확인하였으며, 안전인증 생태계의 이해관계자별로 실태조사를 실시하고 문제점 유형화 및 개선방안을 수립하였다. 연구결과: 안전인증대상기계등을 제조 또는 수입하거나 사용하는 사업장을 대상으로 안전인증 대상품에 대한 품질 만족도, 개발제조 및 사용과정에서의 장애요인, 안전인증 관련 개선사항 등 제도전반에 걸친 실태조사를 실시하고 제도 운영상의 문제점 및 취약점을 발굴 및 범주화하여 개선방향 수립 및 작동성 향상을 위한 세부 추진과제를 도출하였다. 결론: 안전인증제도의 선진화·국제화를 위해서는 본 연구를 통하여 도출된 세부 추진과제를 효율적으로 수행하여야 할 것이며, 더불어 안전인증 생태계의 변동성에 대한 회복력 강화를 위해서는 주체별 상호 관계 개선을 통하여 선순환 구조의 운영시스템 구축이 중요하다고 판단된다.

2차로 시설개량 사업의 도로 안전성 평가방법 연구 (A Study on Road Safety Evaluation Method for Improvement Project of Two-Lane Road)

  • 신철호;김낙석
    • 대한토목학회논문집
    • /
    • 제39권1호
    • /
    • pp.105-114
    • /
    • 2019
  • 최근 사회여건의 변화로 도로정책의 패러다임은 이용자 중심의 안전성 위주로 변화하고 있다. 최근 시설개량사업은 지속적인 증가 추이를 보이고 있으나 대부분 경제적 타당성 확보가 미흡한 실정이다. 따라서 도로 안전성에 대한 객관적이고 타당한 분석을 통해 합리적인 시설개량 대상사업 선정이 절실히 요구되는 시점이다. 본 연구에서는 새로운 도로 안전성 평가기법 개발을 위해 국도, 국지도, 지방도 등 75개 노선에 대해 현행 도로 안전성 평가기법을 토대로 데이터를 구축하였으며, 이렇게 구축된 데이터를 중심으로 문제점을 분석하여, 새로운 도로 안전성 평가기법의 기초자료로 활용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교통사고발생현황을 가중치를 통해 일반 평가항목으로 추가하고, 지자체 공무원들의 문제 지적 및 건의 사항 등을 통해 최종 평가항목을 확정하였다. 각 평가항목에 대해서는 전문가 AHP (Analytic Hierarchy Process) 설문 평가를 통해 합리적 가중치를 도출하였으며, 항목별 평가기준을 토대로 안전지수(Safety Index)를 결정하였다. 결정된 각 항목의 안전지수(SI)를 토대로, 각 안전지수의 곱인 종합 안전지수를 산출하였으며, 위험구간 판정 기준을 정립하였다. 또한, 위험구간 연장 비율인 종합위험도에 따른 시설개량 대상사업 선정 기준 도출 등 합리적이고 객관적인 도로 안전성 평가기법을 개발하였다.

산업현장에서의 안전표지 사용 실태 및 개선방향 (A Questionnaire Survey on Utilization and Improvement Guides for Safety Signs in Industrial Fields)

  • 김동하;이준원;박영원;임현교
    • 한국안전학회지
    • /
    • 제21권4호
    • /
    • pp.119-126
    • /
    • 2006
  • Though safety signs are important since they transmit hazard information even after diverse accident prevention treatments, their functional effectiveness were never tested in Korea so that even those provided by Occupational Safety & Health Act(OSHAct) could not accomplish their objectives, "effective accident prevention", This research was carried out to understand confronted problems and improvement direction for safety signs provided by OSHAct. For them, current safety signs were analyzed with a semiotic view on one hand, and a questionnaire survey was conducted with safety-related people in industrial fields on the other hand. To summarize problems in semiotic aspects, geometric simplicity of pictograms in safety signs seemed to be so emphasized that they might fail to induce realistic action, and their esthetic sensation seemed to be lower than those of developed countries. And according to present questionnaire survey, it was pointed out that; 1) legal systems related with safety signs were not classified appropriately, 2) safety signs were recognized as difficult to understand and inapplicable to industrial fields, and eventually 3) safety signs were not effectively utilized for industrial accident prevention. Therefore, discussions for improving confronted problems and relation to international standards were added at the end.

교통사고 잦은 곳 안전시설 개선 방안 예측 모델 개발 (Development of Prediction Model for Improvement of Safety Facilities in Frequent Traffic Accidents)

  • 권재경;김시원;황재성;이재형;이철기
    • 한국ITS학회 논문지
    • /
    • 제22권1호
    • /
    • pp.16-24
    • /
    • 2023
  • 교통사고 잦은 곳 개선사업을 통하여 사고가 크게 감소하고 있다. 이러한 결과는 안전 시설물이 큰 역할을 하고 있다. 교통사고는 여러 가지 원인과 다양한 환경적인 요소로 인하여 발생하게 되는데, 한가지 안전시설물 혹은 기준 없는 시설물 설치로는 개선효과를 얻기 어렵다. 따라서 본 연구는 두 가지 안전시설물의 조합으로 사고유형별 개선효과를 분석하였고, 도로종류, 도로형태, 교통량 등으로 환경적인 요소도 포함하여 특정 지점에 맞는 안전시설물 조합을 예측하는 방법을 제시하였다. 예측은 단순 분류가 가능한 예측 모델들을 결합하여 하나의 강한 예측 모델을 만드는 XGBoost 기법으로 선정하여 진행하였다. 이를 통해 최종적으로 현재까지 교통사고 잦은 곳 개선사업을 통해 긍정적인 효과를 가져다 준 안전시설물과 개선이 필요한 지점에 설치될 안전시설물을 같이 도출하여, 안전시설물 효과분석과 향후 설치지점에 대한 예측방법을 제시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