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 study on improvement of the safety level in university laboratory using the safety management assessment

안전관리 평가를 통한 연구실 안전수준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호남지역 대학 중심으로-

  • Park, Hai-Chun (Department of Industrial Engineering, Chosun University) ;
  • Cho, Sang-Hoon (Department of Industrial Safety Engineering, Chosun University) ;
  • Sim, Chul-Woo (Department of Industrial Safety Engineering, Chosun University)
  • 박해천 (조선대학교 산업공학과) ;
  • 조상훈 (조선대학교 산업안전공학과) ;
  • 심철우 (조선대학교 산업안전공학과)
  • Received : 2012.07.20
  • Accepted : 2012.09.12
  • Published : 2012.09.30

Abstract

Especially because of the distinctiveness that new experiments and research provoke coexistence of various risk factors, the researchers in university laboratory are being exposed to incidents that are difficult to predict. Due to the fact that the numbers of accidents that occur at the university laboratory are increasing, the necessity for laboratory safety management is on the rise. Most laboratory accidents are caused by the ability that can detect risk factors such as unsafe behavior or unsafe condition but is not working perfectly. In order to prevent researchers in advance from unsafe behavior or unsafe condition, effective safety education, systematic safety management, safe research environment, continuous safety check and proper measures after accident are the most important factors. In this study, survey was conducted in university laboratory to identify the factors that affect on safety management and to measure the safety management level. As a result, effective measures are proposed for the improvement of the safety management level.

Keywords

References

  1. 갈원모외 2인(2007), "연구실 안전성 확보를 위한 법령 제도의 개선방안", 대한안전경영과학회지 제8 권 제4호 pp63-70
  2. 교육과학기술부(2009), "2011 연구실 안전사고 사례"
  3. 교육기설재난공제회(2009), "대학 연구실 안전사고 사례"
  4. 김경천외 1명(2012), "정부출연연구기관 연구원의 안전의식 실태 및 제고방안", 대한안전경영과학회지, 제14권 제1호 pp15-22
  5. 김두환(2000), "연구실의 환경 및 안전성 확보를 위한 정책연구", 한국과학재단
  6. 김두환(2006), "연구실 안전교육 교재", 교육과학기술부
  7. 김두환외 3인(2000), "대학 및 연구소의 실험실 안전관리 실태 및 대책", 한국안전학회
  8. 김상철(2010), "최신안전공학개론", 동화기술, pp25-27
  9. 김태수(2012), "대학 및 연구기관의 연구실 위험요인 분석과 사고 예방대책에 관한 연구", 명지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0. 류경남외 4인(2005), "대학의 실험실 안전보건관리 체계 구축이 안전보건관리활동에 미치는 영향", 한국환경보건학회지, 제31권 제5호 pp365-371
  11. 법제처, "연구실 안전환경 조성에 관한 법률"
  12. 송민효(2006), "KAIST 안전관리 현황과 연구실 안전관리 발전방향", 환경연구, pp113-121
  13. 신용철외 3인(2007), "연구실험실 보건관리 제도화 예비 타당성 연구", 과학기술부
  14. 이동형(2011), "알기쉬운 산업안전공학", 도서출판 이화
  15. 이병호(2009), "연구실 안전사고와 보상", 교육시설재난공제회
  16. 이석기(2010), "실험실 환경 안전관리", 한국환경농학회 학술대회집 pp3-42
  17. 정윤섭(2011), 대학 실험실 안전관리 향상방안에 관한 연구, 서울과학기술대학교 산업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8. 지철구외 1명(2004), "실험실 안전성 확보에 관한 연구", 대한안전경영과학회 추계학술대회논문집
  19. 최문선(2008), "대학실험실의 안전수준 평가 및 관리방안에 관한 연구", 경희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 최은혜(2009), "대학 연구실 안전관리 실태와 개선방안에 대한 연구", 호서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