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SR

검색결과 543건 처리시간 0.038초

배 '원황'(Pyrus pyrifolia) 유전체 해독에 기반한 SSR 마커 개발 및 유전자 지도 작성 (Construction of a Genetic Map using the SSR Markers Derived from "Wonwhang" of Pyrus pyrifolia)

  • 이지윤;서미숙;원소윤;임경아;신일섭;최동수;김정선
    • 한국육종학회지
    • /
    • 제50권4호
    • /
    • pp.434-441
    • /
    • 2018
  • 본 연구에서는 배 '원황'(Pyrus pyrifolia)의 유전체 정보를 바탕으로, 유용 유전자 관련 SSR 마커를 선발하였고, 선발된 SSR과 SNP 마커를 이용하여 '원황' ${\times}$ 'Bartlett' $F_1$ 교배집단에 대한 유전자 지도를 작성하였다. '원황'의 scaffold에서 제작된 SSR 마커 유래 염기서열들과 NCBI nucleotide DB와 BLASTn 분석하여, 유용한 유전자들과 높은 상동성을 보이는 510개 SSR 마커를 선발하였다. 이들 마커를 사용하여 양친과 F1 집단 94개체의 대립 단편의 증폭 양상을 확인한 결과, 88개 마커들이 헤테로 집단에 맞는 분리비를 보였다. 선발된 88개의 SSR 마커는 GBS 분석을 통해 획득한 579개 SNP 마커와 함께 '원황'의 유전자지도를 작성하였다. 70개의SSR 마커들은 배 염색체 수와 같은 17개의 염색체에 잘 위치하였고, 모든 염색체에 한 개 이상의 마커로 위치하였다. 유전자지도의 총 유전거리는 3784.2cM이고 마커간 평균거리는 5.8cM이었다. 본 연구에서 개발된 SSR 분자마커 및 이를 기반으로 만들어진 유전자지도는 배의 육종 및 유전 연구에 유용한 정보를 제공할 것으로 기대한다.

Genotype Fingerprinting, Differentiation and Association between Morphological Traits and SSR Loci of Soybean Landraces

  • Park, lk-Young
    • Plant Resources
    • /
    • 제1권2호
    • /
    • pp.81-91
    • /
    • 1998
  • Fifty-nine Korean soybean (Glycine max L. Merr.) landrace accessions were tested for genotype fingerprinting, differentiation and association between morphological traits and SSR profile. Using 8 SSR loci, 59 varieties were divided into 55 groups, and only 4 pairs of varieties were not uniquely identified. The resolving power of SSR for soybean genotyping was much higher than that of the morphological traits that were studied. Identification efficiency also differed among SSR loci. Those loci with higher numbers of alleles distinguished varieties more effectively. Genetic differentiation values of the soybean landraces varied from 0.57 to 0.82 with a mean of 0.68. The number of alleles detected by the 8 loci ranged from 3 to 8. and the effective number of alleles ranged from 2.3 to 5.1. In a study of the association of SSR alleles with morphological traits, some alleles seemed to be related with some specific morphological traits. Comparison of two kinds of dendrograms which were derived from SSR markers and quantitative traits indicated that the dendrograms were not consistent. Considering the correlation between single SSR locus and qualitative traits governed by major genes, the data suggest that alleles of microsatellite loci be more closely related to some traits determined by major genes than those determined by minor genes.

  • PDF

보강토사면의 안정성에 대한 LEM과 SSR-FEM의 비교연구 (Comparative Study of LEM and SSR-FEM on Stability of Reinforced Soil Slope)

  • 김영민;강성귀
    • 한국지반신소재학회논문집
    • /
    • 제8권1호
    • /
    • pp.11-18
    • /
    • 2009
  • 본 논문에서는 보강토사면 안정해석에 있어서 한계 평형법과 강도감소법에 의한 유한요소법의 비교분석결과를 나타내었다. 현재 보강토 옹벽 해석에 적용하는 방법은 한계평형해석법이다. 강도감소법에 의한 유한요소법은 연속체 역학 기반을 두고, 흙의 강도정수를 안전율로 나누어 감소시켜, 수렴되지 않는 시점을 사면의 파괴로 간주하는 방법이다. 본 연구에서는 보강토옹벽사면의 안전율과 파괴활동면에 대하여 비교검토를 하였다. $60^{\circ}$ 보강토 사면에 대하여 LEM과 SSR-FEM 방법에 의한 안정성해석결과에 대하여 비교검토하였다. 두 해석에 의한 비교 검토결과 보강토 옹벽의 안정성 해석에 대하여 SSR-FEM의 유효성이 조사되었다.

  • PDF

유리 성형기의 무접점릴레이(SSR) 수명 예측장치 개발 (Development of Solid State Relay(SSR) Life Prediction Device for Glass Forming Machine)

  • 양성규;김갑순
    • 한국기계가공학회지
    • /
    • 제21권2호
    • /
    • pp.46-53
    • /
    • 2022
  • This paper presents the design and manufacture of a Solid State Relay (SSR) life prediction device that can predict the lifetime of an SSR, which is a key component of a glass forming machine. The lifetime of an SSR is over when the current supplied to the relay is overcurrent (20 A or higher), and the operating time is 100,000 h or longer. Therefore, the life prediction device for the SSR was designed using DSP to accurately read the current and temperature values from the current and temperature sensors, respectively. The characteristic test of the manufactured non-contact relay life prediction device confirmed that the current and temperature were safely measured. Thus, the SSR lifetime prediction device developed in this study can be used to predict the lifetime of an SSR attached to a glass forming machine.

Simple Sequence Repeat (SSR) Marker를 이용한 토마토 품종 식별 (Use of Simple Sequence Repeat (SSR) Markers for Variety Identification of Tomato (Lycopersicon esculentum))

  • 권용삼;박은경;배경미;이승인;박순기;조일호
    • Journal of Plant Biotechnology
    • /
    • 제33권4호
    • /
    • pp.289-295
    • /
    • 2006
  • 국내에서 유통되고 있는 토마토 품종의 판별 방법에 SSR marker의 이용 가능성에 대한 연구를 수행하여 얻어진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토마토 28품종을 18개의 SSR marker를 이용하여 분석하였을 때 대립유전자의 수는 $2{\sim}9$개로 비교적 다양한 분포를 나타내었으며 전체 60개의 대립유전자가 분석되었다. PIC 값은 $0.476 {\sim}0.800$ 범위에 속하였으며 평균값은 0.607로 나타났다. SSR marker를 이용하여 작성된 토마토 28품종의 품종간 유전적 거리는 $0.35{\sim}0.97$의 범위로 나타났고, 유사도 지수 0.36을 기준으로 할 때 28개 품종은 체리형 토마토 그룹과 일반형 토마토 그룹으로 나눌 수 있었으며, 공시 품종 모두 SSR marker의 genotype에 의해 뚜렷이 구분되었다. 이 연구결과는 토마토의 품종식별에 기초 자료로 유용하게 이용될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Evaluation of Genetic Diversity among Soybean Genotypes Using SSR and SNP

  • Lee, Suk-Ha;P. Tanya;O, Srinives;T. Toojinda;A. Vanavichit;Ha, Bo-Keun;Bae, Jeong-Suk;Moon, Jung-Kyung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46권4호
    • /
    • pp.334-340
    • /
    • 2001
  • Two different types of molecular markers, simple sequence repeat (SSR) and single nucleotide polymorphism (SNP), were used to measure genetic diversity among five Korean, eight Thai, and three wild soybeans. For SSR analysis, a total of 20 markers were surveyed to detect polymorphisms. For SNP analysis, four primers were designed from consensus sequence regions on disease resistance protein homolog genes, and used to amplify the genomic region. The PCR products were sequenced. A number of polymorphic SSR and SNP bands were scored on all genotypes and their genetic similarity was measured. Clustering analysis was performed independently on both types of markers. Clustering based on SSR markers separated the genotypes into three main groups originated from Korea, Thailand, and wild soybeans. On the other hand, two main groups were classified using SNP analysis. It seemed that SSR was more informative than SNP in this study. This may be due to the fact that SNP was surveyed on the smaller genomic region than SSR. Grouping based on the combined data of both markers revealed similar results to that of SNP rather than that of SSR. This might be due to the fact that more loci from SNP were considered to measure genetic relatedness than those from the SSR.

  • PDF

오이 다형성 마커를 이용한 유전분석 (Genetic Analysis of Polymorphic DNA Markers in Cucumber)

  • 이선영;정상민
    • 생명과학회지
    • /
    • 제21권3호
    • /
    • pp.468-472
    • /
    • 2011
  • DNA 마커는 유전현상 분석이나 품종육성에 널리 사용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내냉성 오이 계통인 'NC76'과 냉해 감수성 계통인 'GY14'로부터 내냉성 연관 마커을 목적으로 기존의 총 995개 SSR 마커의 다형성을 평가하였다. Agarose gel 전기영동법으로 'NC76과 'GY14' 간 PCR증폭 산물의 길이 다형성을 보이는 145개 SSR 마커를 개발하였으며, high resolution melting (HRM) 기술을 사용하여 염기서열 다형성을 보이는 30개의 SSR 마커를 확인하였다. 개발된 175개 SSR 마커 중 20개 마커를 선발하여 'NC76'과 'GY14' 간 $F_2$ 분리 집단에 대한 연관지도를 작성하였으며 그 결과 13개의 마커가 예상했던 연관군에 일치하여 위치됨을 확인할 수 있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 확인된 175개의 SSR 마커는 향 후 냉해 저항성 연관 마커 개발을 위한 오이 유전자 지도 작성 및 이를 통한 품종 육성에 크게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소나무 단일(單一) 모수(母樹)의 반수체(半數體) 게놈을 이용(利用)한 RAPD 및 I-SSR 표식자(標識子)의 연관분석(連關分析) (Linkage Analysis of both RAPD and I-SSR Markers using Haploid Genome from a Single Tree of Pinus densiflora S. et Z.)

  • 홍용표;정재민;김용률;장석성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89권4호
    • /
    • pp.536-542
    • /
    • 2000
  • 소나무 단일개체에서 채취한 풍매종자 중 임의로 선택한 96개의 반수체 genome을 이용하여 RAPD 및 I-SSR PCR 증폭산물을 분석하였다. RAPD 분석용 primer 200개와 I-SSR 분석 용 primer 90개를 screen하여 증폭산물의 분획양상이 선명한 RAPD primer 45개와 I-SSR primer 22개를 선택하여 PCR을 수행하였다. 45개의 RAPD primer중 25개와 22개의 I-SSR primer중 18개를 사용한 PCR 분석결과에서 멘델의 유전양식을 만족하는 52개 (2.08/primer)와 46개 (2.56/primer)의 다형성 유전자좌를 각각 확인하였다. 멘델의 유전양식을 만족하는 96개의 다형성 유전자좌를 대상으로 LOD 3.0에서 two-point 연관분석을 수행한 결과 총 63개(35개의 RAPD와 26개의 I-SSR)의 유전자화가 20개의 연관군에 속하는 것이 확인되었다. 총 연관거리는 1097.8 cM이었으며, 유전자좌간 평균연관 거리는 25.5 cM, 최소 및 최대연관 거리는 각각 4.3 cM 및 54.9 cM이었다. 그리고 20개의 연관군 중 14개의 연관군이 RAPD와 I-SSR 유전자좌의 통합에 의해서 형성된 연관군이었다. 즉, 52개의 RAPD와 46개의 I-SSR 유전자좌를 각각 분석한 결과보다 길고 새로운 연관군이 형성되었다. 보다 정밀한 유전자 연관지도를 작성하기 위해서는 보다 많은 수의 DNA marker가 필요하다고 판단되며, 본 연구의 결과는 소나무의 유용 유전자의 확인 및 생장과 재질과 같은 유용형질에 대한 QTL의 위치를 결정하는 데 기초자료가 될 것이다.

  • PDF

팽이버섯 (Flammulina velutipes) 계통의 분류를 위한 SSR 마커개발 (Development of SSR markers for classification of Flammulina velutipes strains)

  • 우성이;서경인;장갑열;공원식
    • 한국버섯학회지
    • /
    • 제15권2호
    • /
    • pp.78-83
    • /
    • 2017
  • 버섯과에서 한국, 중국, 일본에서 재배 또는 수집하여 농촌진흥청에 보관 중인 32개의 팽이버섯 계통에 대하여 조사하였다. 팽이버섯의 미소반복서열(microsatellite)을 포함하고 있는 490개의 DNA 단편을 얻었다. 다양한 팽이버섯 균들의 PCR을 통한 DNA 프로파일링을 수행함으로써 다형성 변이가 많이 검출되었다. 총 34개의 대립 유전자가 12개의 다형성 SSR 마커 중에서 검출되었고, 평균 3.42개의 대립 유전자와 대립 유전자의 수는 유전자좌당 2개에서 7개까지 분포하였다. 대립 형질 빈도는 0.42(GB-FV-127)에서 0.98(GB-FV-166)이었으며 이형접합체 관측치($H_O$)와 기대치($H_E$)는 각각 0.00에서 0.94(평균 = 0.18)와 0.03에서 0.67(평균 = 0.32)이었다. 다형성 지수는 (PIC) GB-FV-127 마커에서 가장 높은 0.61, 평균대립 유전자 수는 5를 나타내었고, GB-FV-166마커에서 0.03과 2로 가장 낮았다. 본 연구에서 평균 PIC 값(0.29)은 대립 유전자의 평균 수(3.42)로 관찰되었다. 결론적으로 우리는 풍부한 SSR 라이브러리에서 12 개의 다형성 SSR 마커를 개발하는데 성공했다. 이러한 SSR은 계통 발생 분석, 유전적 변이 평가에 중요하게 사용될 것이다.

SSR 마커에 의한 한국 콩 품종의 판별 (Discrimination of Korean Soybean Cultivars by SSR Markers)

  • 김성훈;정종욱;문중경;우선희;조용구;정승근;김홍식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51권7호
    • /
    • pp.658-668
    • /
    • 2006
  • SSR 마커를 이용하여 우리나라 콩의 품종판별 기술을 확립하기 위하여 1913년부터 2002년까지 국내에서 육성된 콩 91개 품종에 대하여 5개의 SSR마커(Sat_043, Sat_036, Sat_022, Sat_088 및 Satt045)를 이용하여 판별하였다. 판별용으로 이용된 SSR 5개 마커의 총 대립인자수는 64개이었고, 범위는 $10{\sim}15$개이었으며, 평균 대립인자 수는 12.8개이었다. PIC값은 $0.790(Satt045){\sim}0.905(Sat_043)$의 범위이었으며, 평균 PIC값은 0.857이었다. SSR 마커 5개의 조합으로 5단계의 판별을 통하여 총 91품종 중에서 82품종이 구별되어 약 90%가 판별되었다. 판별 1단계에서 Sat_043으로 판별하였을때 부석의 1품종이, 2단계의 Sat_036으로는 호장콩 등 34품종이, 3단계의 Sat_022로는 단경콩 등 29품종이, 4단계의 Sat_088로는 신팔달콩2호 등 12품종이, 5단계의 Satt045로는 새별콩 등 6품종이 판별되었다. 서로 간에 판별되지 않은 품종들은 형태적 특성에 의하여 구별이 가능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