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NS Addiction

검색결과 82건 처리시간 0.033초

장애인 스마트폰 중독 실태 연구 (Study on Smartphone Addiction of the Disabled)

  • 서보경;김인혜;남길우;권미수
    • 재활복지공학회논문지
    • /
    • 제10권3호
    • /
    • pp.185-197
    • /
    • 2016
  • 본 연구는 장애인의 스마트폰 중독 실태 및 중독 특성을 알아보고 장애인의 스마트폰 중독 예방 및 해소를 위한 대응책을 제안하고자 하였다. 장애인 20~59세 총494명을 대상으로 스마트폰 중독 특성을 분석한 결과, 장애인 스마트폰중독위험군 비율은 12.55%였다. 장애인의 스마트폰, 모바일메신저, SNS 및 게임 사용시간은 2015년 인터넷 과의존 실태조사의 스마트폰 과의존 잠재위험군과 비슷하거나 더 높게 나타났다. 스마트폰중독에 관한 인식 분석 결과, 조사대상자의 2/3 정도가 스마트폰 중독이 심각하다고 생각하고 있었고, 중독관련 상담기관을 알고는 있었으나, 실제 도움을 받을 의향이 있는 사람은 그 절반 수준으로 나타났다. 이는 장애인을 대상으로 한 정책 홍보와 장애인을 위한 제도적, 구조적 기능을 갖추는 것이 필요함을 시사한다.

성인 인터넷중독 및 스마트폰 이용 특성 (Adult Internet Addiction and Smartphone Use Characteristics)

  • 서보경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4권1호
    • /
    • pp.305-317
    • /
    • 2014
  • 본 연구는 성인 인터넷중독자의 특성 및 인터넷 이용 특성과 스마트폰 이용 특성을 파악하여, 성인 인터넷중독자를 발굴하고, 교육, 예방 및 상담활동을 계획하고 실행하는 데에 기초자료로 활용하는 데에 목적이 있다. 본 연구는 2010년도의 인터넷중독실태조사 자료를 활용하여 성인 인터넷중독자의 인구사회학적 특성, 인터넷이용 특성을 살펴보고, 인터넷중독자의 스마트폰 이용특성과 SNS 이용특성과의 관계를 살펴보았다. 20-39세 성인 중에 매일~최근 1주일 이내에 인터넷을 이용한 성인 4,787명을 분석하였다. 분석한 결과 첫째, 인구사회학적 특성에서 성별, 나이, 교육정도, 직업종류, 직업유무에서 인터넷중독자 집단과 일반사용자 집단 간에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고, 가족 구성 및 생활 형태별 특성에서는 결혼과 소득수준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둘째, 인터넷이용특성에서 인터넷이용시간, 인터넷 최초 이용 시기, 인터넷 이용용도에서 중독자집단과 비중독자 집단 간에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스마트폰 이용특성에서는 스마트폰 과다사용 인식, 스마트폰 사용으로 인한 인터넷 이용시간의 변화와 SNS 과다사용 인식에서 집단 간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 끝으로, 본 연구의 제한점과 추후연구의 방향을 논의하였다.

SNS 중독 완화를 위한 게이미피케이션 기반 디지털 테라피 어플리케이션 설계 (Design of Gamification-based Digital Therapy Application for Relaxing SNS Addiction)

  • 이균환;조대수;김선민
    • 한국컴퓨터정보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컴퓨터정보학회 2020년도 제62차 하계학술대회논문집 28권2호
    • /
    • pp.367-368
    • /
    • 2020
  • 최근 SocailNetworkService(SNS) 플랫폼은 중독을 유발하는 알고리즘을 통해서 시장점유율을 높이는 전략을 사용하고 있다. 이에 따른 부작용으로 일상생활에 무리가 갈 정도의 사용자가 나타나고 있다. SNS 중독 사용자는 스스로가 문제를 인지하고 있으나 자제를 못하고 있어 SNS 중독 완화를 돕는 어플리케이션이 개발되고 있다. 이러한 어플리케이션은 일정 부분 중독 완화에 도움은 주고 있으나 다음과 같은 문제점을 갖는다. 첫째 일반적으로 SNS 사용자는 여러 SNS를 동시에 사용하기 때문에 이를 통합하여 볼 수 있는 기능이 필요하다. 기존 어플리케이션에서는 특정 SNS만을 대상으로 하는 문제가 있다. 둘째 SNS의 사용량을 표현하는 방식이 단순이 그래프 형태로만 지원되어 다양한 정보 제공에 한계가 있다. 마지막으로 SNS의 과도한 사용에 대한 경각심을 새겨줄 수 있는 요소가 부족하다. 이 논문에서는 여러 SNS 사용량을 통합하여 제공하는 대시보드 기능, 게이미피케이션 요소를 접목하여 사용량을 다양한 가치로 보여주는 기능, 그리고 SNS 중독 정도에 따라 다양한 공포소구 메시지를 지원하는 기능을 통해 SNS 사용자의 중독 완화를 지원하는 어플리케이션을 제안한다.

  • PDF

대학생의 자아 존중감, 자아탄력성, 충동성, 스트레스가 스마트폰 중독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Self-Esteem, Ego Resilience, Impulsivity and Stress on Smartphone Addiction among College Students)

  • 김종임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20권7호
    • /
    • pp.192-202
    • /
    • 2019
  • 본 연구는 대학생의 자아 존중감, 자아 탄력성, 충동성, 생활스트레스가 스마트폰 중독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확인하기 위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연구대상자는 일부 지역 대학생을 대상으로 하였고, 자료수집기간은 2018년 11월부터 12월까지이며, 분석대상은 231명 이었다. 자료 분석은 일반적 특성에 따른 스마트폰 중독의 차이를 알아보기 위하여 빈도, 백분율, t-test로 분석을 하였고, 스마트폰 중독과 중요변수의 상관관계는 Pearson's correlation을 이용하였으며, 스마트폰 중독에 미치는 영향요인을 Multiple regression으로 분석 하였다. 그 결과 성별, 대학생활 만족도, 스마트폰 사용시간, SNS 사용시간, 자아 탄력성, 충동성, 생활스트레스가 스마트폰 중독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나타났다. 일반적 특성에 따른 스마트폰 중독과의 관련성에서는 성별에서 여학생이, 대학생활에 만족하지 않는 군에서, 스마트폰 사용시간과 SNS 사용시간이 많은 군에서 스마트폰 중독 수준이 높았다. 또한 스마트폰 중독과의 상관관계에서는 자아 탄력성은 스마트폰 중독과 음의 상관관계를, 충동성, 생활스트레스는 스마트폰 중독과 양의 상관관계로 나타났다. 다변량 회귀분석 결과 대학생의 스마트폰 중독에 성별, 자아 탄력성, 생활스트레스가 중요한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나타났으며, 이들의 설명력은 35.6%이었다. 결론적으로, 대학생의 스마트폰 중독을 예방하기 위해서는 대학생활을 개선하여 스트레스 환경을 최소화 하는 학교차원의 프로그램 개발이 필요하며, 자신의 삶을 통제할 수 있는 힘을 기를 수 있는 환경 조성이 필요하다고 하겠다.

소셜네트워크서비스를 이용하는 대학생들의 스마트폰 중독과 대인관계능력의 관계 (Relation between Smartphone Addiction and Interpersonal Competence of College Students using Social Network Service)

  • 박순주;권민아;백민주;한나라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4권5호
    • /
    • pp.289-297
    • /
    • 2014
  • 본 연구는 스마트폰을 통해 소셜네트워크서비스(SNS)를 이용하는 대학생들의 스마트폰 중독정도와 대인관계능력간의 관계를 파악하기 위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연구대상자는 전국 6개 지역 대학에 재학 중인 대학생 502명이며, 2012년 5월부터 6월 사이에 성인 스마트폰 중독 자가진단척도와 대인관계능력 검사지를 이용하여 자료를 수집하였다. 자료분석은 기술통계와 ${\chi}^2$-test, t-test, ANOVA,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를 이용하였다. SNS 이용자의 스마트폰 중독정도는 중독군이 24.8%, 일반군이 75.2%였다. SNS 이용자 가운데 스마트폰 중독집단과 일반집단의 대인관계능력은 차이가 없었으나, 하위영역 중 자기노출 능력은 중독집단이 일반집단보다 더 높게 나타났다. 그리고 스마트폰 중독 하위영역 중 가상세계지향성이 높을수록 대인관계능력이 낮았고, 스마트폰 중독정도가 높을수록 대인관계능력 하위영역 중 대인갈등 다루기 능력이 낮게 나타났다. 본 연구 결과는 대학생들의 스마트폰 중독예방 및 대인관계능력 증진을 위한 프로그램 개발에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대학생 스마트폰 중독의 영향요인 (Factors Affecting Smartphone Addiction among University Students)

  • 조규영;김윤희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5권3호
    • /
    • pp.1632-1640
    • /
    • 2014
  • 본 연구는 대학생의 스마트폰 중독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규명하여 스마트폰 중독예방을 위한 효과적인 중재프로그램을 개발하는데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수행되었다. 자료는 2013년 4월 29일부터 5월 16일까지 대학생 354명으로부터 수집되었으며 수집된 자료는 t-test와 다중회귀분석으로 분석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스마트폰 고위험 사용자군은 6.2%, 잠재적위험 사용자군은 21.2%로 스마트폰 중독률이 27.4%로 나타났다. 대학생 스마트폰 중독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조사해본 결과, 일반적 특성에는 성별, 주중 및 주말 일 평균 스마트폰 사용시간, 스마트폰 사용 중 손목통증 유무, 스마트폰 사용 중 사고 유무, 주요변수에서는 사회성, 충동성, SNS 중독이 스마트폰 중독의 영향요인으로 나타났다. 즉, 여학생일수록(${\beta}=0.149$, p<.001), 주중 일 평균 스마트폰 사용시간이 많을수록(${\beta}=0.292$, p=.001), 주말 일 평균 스마트폰 사용시간이 많을수록(${\beta}=0.390$, p<.001), 스마트폰 사용 중 손목통증이 있을수록(${\beta}=0.148$, p<.001), 스마트폰 사용 중 사고가 있을수록(${\beta}=0.133$, p=.002), 사회성이 낮을수록(${\beta}=-0.099$, p=.029), 충동성이 높을수록(${\beta}=0.211$, p<.001), SNS 중독 정도가 높을수록(${\beta}=0.376$, p<.001) 대학생 스마트폰 중독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예측되었으며 모형 설명력은 43.3%였다. 따라서 대학생 스마트폰 중독을 효과적으로 예방하기 위해서는 이러한 영향 변인들을 고려하여 중독정도에 따른 차별화된 중재전략을 개발 적용하는 것이 필요하다.

대학생의 소외에 대한 두려움, SNS 중독경향성과 우울의 구조적 관계에 관한 조사연구 (Structural Relationships Between Fear of Missing Out, SNS-addictive Tendencies, and Depression in Colleges)

  • 장철;김인섭
    • 대한통합의학회지
    • /
    • 제10권3호
    • /
    • pp.151-159
    • /
    • 2022
  • Purpose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structural relationships between fear of missing out, addictive tendencies toward social network services (SNSs), and depression in colleges. Methods : The target subjects were students in colleges across gyeongnam & busan, to whom the purpose of the study was explained and who spontaneously agreed to participate. A survey was conducted with 302 participants over 31 days from March 7, 2022, and data from 299 responses was analyzed. Results : 1. Women felt a higher fear of missing out than men. 2. Women showed greater inability to control their use of SNSs, more SNS-related disorders in daily life, and greater immersion in and tolerance of SNSs when compared to men. 3. Women were more depressed than men. 4. Positive correlations were observed between the fear of missing out and SNS-addictive tendencies, between the fear of missing out and depression, and between SNS-addictive tendencies and depression. Conclusion : A comprehensive review of these findings suggests that women had overall higher levels of isolation fear, SNS-addictive tendencies, and depression than men. Based on this, universities should provide gender-specific educational programs around these issues; this student cohort will ultimately work in healthcare, and this kind of awareness will be essential for treating patients. Considering that the current situation poses unusual challenges due to the COVID-19 pandemic, the study's results can serve as basic data for planning educational programs in the future. Over the coming years, comprehensive and continuous education and counselling relating to the fear of missing out, SNS addiction, and depression will be urgently required.

SNS 중독 경향성 및 대인관계가 간호대학생의 대학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 (Influence of Social Network Service (SNS) Addiction Tendency and Interpersonal Relationship on College Life Adaptation in Nursing Students )

  • 나은선;장현정
    •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지
    • /
    • 제38권4호
    • /
    • pp.1070-1080
    • /
    • 2021
  • 본 연구는 SNS 중독 경향성 및 대인관계가 간호대학생의 대학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기 위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본 연구는 2019년 10월 01일부터 10월 04일까지 G시 1~3학년의 간호대학 재학생 228명을 대상으로 실시되었다. 결과분석은 기술통계, ANOVA,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s, Multiple regression을 이용하였다. 연구결과, 대학생활적응은 성별(t=5.26, p<.001), SNS 일평균 사용시간(F=8.07, p<.001), 현실에서의 교류 친구 수(F=2.87, p=.037)와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변수간의 상관관계로 대학생활적응은 SNS 중독 경향성(r=-.31, p<.001) 및 대인관계(r=.52, p<.001) 간에 유의한 상관관계가 있었으며, SNS 중독 경향성과 대인관계에서도 유의한 상관관계가 있었다(r=-.17, p=.011). 대학생활적응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는 대인관계(𝛽=.477, p<.001), 성별(𝛽=-.198, p=.001), SNS 일 평균 사용시간(𝛽=-.177, p=.003)으로 나타났으며 설명력은 37.8%였다. 본 연구결과를 토대로 간호대학생의 대학생활적응을 향상시키기 위해 긍정적인 SNS를 활용한 긍정적인 대인관계 형성을 위한 프로그램 개발이 필요하리라 사료된다.

SNS 이용자의 재방문의도와 전환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선행요인에 관한 연구 (The Effect of the Precedential Factors on the SNS User's Revisit and Switching Intention)

  • 양창규;이충권;황운초
    • 한국전자거래학회지
    • /
    • 제19권2호
    • /
    • pp.125-142
    • /
    • 2014
  • 이전의 SNS 이용자의도에 대한 연구는 주로 재방문의도에 관심을 가졌으나, 본 연구는 재방문의도와 전환의도를 함께 고려한 연구결과를 도출해냈다. 연구결과에 따르면 (1) 사회적 상호작용과 SNS 중독은 선행요인에 다른 영향을 미치고 있고, (2) 즐거움과 유용성은 SNS 이용자의 재방문의도를 높여주고 있으며, (3) SNS 이용자는 현재 이용하고 있는 SNS에 대한 부정적인 인식을 가지고 있는 경우에도 전환을 고려하지 않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이 연구결과는 SNS 기업이 시장을 지배하기 위해서는 SNS 이용자가 사회적 상호작용을 보다 활발하게 할 수 있는 서비스 제공과 부정적인 인식을 가지고 있는 SNS 이용자를 적극적인 참여자로 유도하기 위한 전략이 필요하다는 점을 시사한다.

고등학생의 정신·사회건강과 SNS 중독경향성 (Relationship between High School Students' Mental·Social Health and Tendency toward Social Networking Addiction)

  • 변종희;최연희;나윤주
    • 한국학교보건학회지
    • /
    • 제28권3호
    • /
    • pp.248-255
    • /
    • 2015
  • Purpose: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xplore the relationship between high school students' mental social health and their tendency toward social networking addiction. Methods: The subjects were 543 high school boys and girls living in D city. The data were collected from the 3rd to 21st of March in 2014. Data were analyzed using t-test, ANOVA, Duncan's post-hoc test, Pearson's correlation analysis, and hierarchical regression with SPSS/ Win 21.0. Results: Social networking addiction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depending on gender (t=-7.03, p<.001), academic achievement (t=4.571, p=.011), and the level of maternal education (t=3.344, p=.019). Social health was correlated with the tendency toward social networking addiction.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found that gender, academic achievement and social health were associated with the level of social networking addiction (F=8.750, p<.001, Adj. $R^2=.201$). Conclusion: The results suggest that it is necessary to take into account gender characteristics, academic achievement and social health in order to develop effective management programs for social networking addiction among high school stud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