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ALT STRESS

검색결과 590건 처리시간 0.025초

김치에서 분리된 콜레스테롤 감소능을 가진 젖산세균의 특성 (Isol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cholesterol-lowering lactic acid bacteria from kimchi)

  • 박홍엽;박슬기;김보금;류대규;임은서;김영목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49권4호
    • /
    • pp.377-382
    • /
    • 2017
  • 본 연구에서는 한국 전통식품인 김치에서 분리된 LAB를 이용하여 콜레스테롤 감소능을 가지고 있는 LAB를 분리하고 그 특성을 규명하였다. 23 종의 분리 LAB 중에서 L. plantarum FMB 31 균주가 99.4%의 높은 콜레스테롤 감소 활성을 나타내었고, 프로바이오틱스로서 활용하기 위한 중요한 특성인 내담즙성, 내산성 그리고 내염성 등이 대조구로 사용된 L. rhamnosus KCTC 5033 균주보다 우수하거나 동등하였다. 또한 L. plantarum FMB 31 균주는 인체 안전성과 관련된 용혈독성 및 생체아민 생성능 실험에서도 안전성에 문제가 없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향후, 이 분리균은 콜레스테롤 저하 기능을 가지는 다양한 건강 기능 식품 개발에 이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Isol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Potential Starter Yeasts from Traditional Moroccan Sourdoughs

  • Aouine, Mouna;Misbah, Asmae;Elabed, Soumya;Haggoud, Abdelatif;Mohammed, Iraqui Houssaini;Koraichi, Saad Ibnsouda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 /
    • 제49권4호
    • /
    • pp.501-509
    • /
    • 2021
  • The increasing demand for baked products has given a boost to research on isolation and selection of novel yeast strains with improved leavening activity. Twelve sourdough samples were collected from several localities of the Fez region in Morocco. The pH and total titratable acidity (TTA) values of these samples varied from 3.03-4.63 and 14-17.5 ml of 0.1 N NaOH/10 g of sourdough, respectively, while yeast counts ranged from 5.3 6.77 Log CFU/g. Thirty-two yeast isolates were obtained and evaluated for their leavening ability. Out of all isolates, four yeasts molecularly identified as Saccharomyces cerevisiae (three strains) and Kluyveromyces marxianus (one strain) showed highest specific volumes of 4.69, 4.55, 4.35 and 4.1 cm3/g, respectively. These strains were further assessed for their tolerance to high concentrations of salt, sugar, elevated temperatures, and low pH conditions. K. marxianus showed higher resistance than the S. cerevisiae. Thus, Moroccan sourdoughs harbor technologically relevant yeasts that could be used as potential starters for bread preparation.

Heat tolerance of goats to increased daily maximum temperature and low salinity of drinking water in tropical humid regions

  • Asep Indra Munawar Ali;Sofia Sandi;Lili Warly;Armina Fariani;Anggriawan Naidilah Tetra Pratama;Abdullah Darussalam
    • Animal Bioscience
    • /
    • 제37권6호
    • /
    • pp.1130-1139
    • /
    • 2024
  • Objective: The daily maximum temperature and seawater level continuously increase as global warming continues. We examined the adaptability and production performance of heat-stressed goats with a supply of low-saline drinking water. Methods: Twelve Kacang and Kacang Etawah cross goats were exposed to two climatic conditions (control, 25℃ to 33℃, 83% relative humidity [RH], temperature humidity index [THI]: 76 to 86; and hot environment, 26℃ to 39℃, 81% RH, THI: 77 to 94) and two salt levels in drinking water (0% and 0.4% NaCl). The experimental design was a Latin Square (4×4) with four treatments and four periods (28 days each). Results: Temperature of the rectal, skin, and udder, and respiration rate rose, reached a maximum level on the first day of heat exposures, and then recovered. Plasma sodium rose at 0.4% NaCl level, while the hot environment and salinity treatments increased the drinking water to dry matter (DM) intake ratio. Water excretion was elevated in the hot environment but lowered by the increase in salinity. Total lying time increased, whereas change position frequency decreased in the hot condition. Lying and ruminating and total ruminating time increased and explained the enhanced DM digestibility in the hot conditions. Conclusion: The goats exhibited a high level of plasma sodium as salinity increased, and they demonstrated physiological and behavioral alterations while maintaining their production performances under increasing daily maximum temperatures.

한방 추출물의 역류성 식도염 점막보호 효과에 대한 스크리닝 (Screening for Mucosal Protective Effects of Various Korean Herbal Medicine Extracts in Gastroesophageal Reflux Disease)

  • 정일하;김민주;신미래;노성수
    • 대한본초학회지
    • /
    • 제39권1호
    • /
    • pp.39-47
    • /
    • 2024
  • Objectives : This study evaluates how various traditional Korean herbal medicines assess MUC5AC expression for esophageal mucosal defense and analyzes the associated mechanisms involved in inflammation. Methods : Forty types of traditional Korean herbal medicines were assessed for in vitro antioxidant activities, and the real-time PCR method was employed to analyze MUC5AC expression under pH 4.5 conditions in human esophageal epithelial cells (HET-1A). Eight types of Korean herbal medicines were evaluated for in vitro antioxidant activities, and Reactive oxygen specise (ROS) expression was analyzed under bile salt (480 𝜇M) and pH 5.5 conditions in human esophageal epithelial cells (HET-1A). Simulation experiments involving bile salts and acidity were conducted for one hour to assess the efficacy of four drugs, and the activities of Mitogen-activated Protein Kinase (MEK), Nuclear Factor Kappa B (NF-𝜅B), and Cyclooxygenase-2 (COX-2) were detected through Western blot analysis. Results : Compared to the Normal group, the Control group exhibited higher ROS generation. Such increased ROS levels were significantly reduced by four extracts: Citrus Unshius Pericarpium (CUP), Cnidium officinale Rhizoma (CR), Ginseng Radix (GR), and Linderae Radix (LR). The protein expression of COX-2 decreased with the treatment of LR, CUP, and CR. Particularly, CUP and CR exhibited superior effects compared to other groups in inhibiting the phosphorylation of NF-𝜅B. Conclusion : Based on the results obtained, we have identified drugs that inhibit oxidative stress and inflammation caused by bile acid in esophageal epithelial cells. Our future plans involve comparing and analyzing the efficacy of these herbal medicines through animal experiments.

고콜레스테롤식이를 급여한 흰쥐에서 Bacillus subtilis DJI 이용하여 제조한 청국장의 항산화효과 (Antioxidative Effects of Chungkukjang Fermented Using Bacillus subtilis DJI in Rats Fed a High Cholesterol Diet)

  • 김아라;이재준;장해춘;이명렬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8권12호
    • /
    • pp.1699-1706
    • /
    • 2009
  • 본 연구는 고콜레스테롤식이를 급여한 흰쥐에게 B. subtilis DJI로 발효한 청국장에 소금의 종류를 달리하여 제조한 DJI 청국장 분말을 함께 급여하였을 경우 항산화효과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정상군(N), 대조군(C), 고콜레스테롤과 무염 DJI 청국장식이군(C-CJN), 고콜레스테롤과 천일염 첨가 DJI 청국장식이군(C-CJS), 고콜레스테롤과 정제염첨가 DJI 청국장식이군(C-CJR) 및 고콜레스테롤과 시판청국장식이군(C-CCJ)으로 6군으로 나누어 4주간 실시하였다. 체중증가량과 식이섭취량은 청국장을 급여한 군들이 정상군과 대조군에 비하여 저하되었다. 식이효율은 실험군 간의 차이가 없었다. 혈청 중 AST와 ALT 활성은 고콜레스테롤과 청국장을 함께 급여한 군들이 대조군에 비하여 저하된 경향이었으며, 정상군과는 유사한 경향을 나타내었다. 고콜레스테롤 급여로 인하여 정상군에 비하여 대조군의 간 조직 중 SOD와 catalase 활성은 증가되었고, 증가되어진 SOD와 catalase 활성은 고콜레스테롤과 청국장을 함께 급여하였을 경우에는 감소되었다. 간 조직 중 GSH-Px와 XO 활성 및 GSH 함량은 각 실험군 간에 유의차를 보이지 않았다. 간 조직 중 과산화지질 함량은 대조군이 가장 높았으나, 고콜레스테롤과 DJI 청국장 혹은 시판청국장을 함께 급여하였을 경우에는 생성이 억제되었다. 간 조직 중 리포푸신 함량은 실험군 간의 유의차가 없었으나, 뇌 조직 중 리포푸신 생성량은 청국장 분말 급여로 저하되었으며 DJI 청국장 중 무염청국장군과 천일염 첨가 청국장군이 리포푸신 생성량을 가장 많이 억제하였다. DJI 청국장의 항산화효과와 노화억제효과는 시판청국장과 비슷한 경향을 나타내었다. DJI 청국장군 간에는 항산화효과 차이가 없었다. 이는 청국장 발효 후 첨가한 소금이 청국장이 가지고 있는 항산화력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 DJI 청국장과 시판청국장 분말은 고콜레스테롤식이로 유도된 산화적 손상에 대한 보호효과와 노화 억제효과가 있는 것으로 생각되어진다.

고포도당으로 유도된 산화 스트레스에 대한 로젤 아세트산에틸 분획물의 신경세포 보호효과 (Protective Effect of Ethyl Acetate Fraction from Hibiscus Sabdariffa L. Extract against High Glucose-induced Oxidative Stress)

  • 승태완;박상현;박선경;하정수;이두상;강진용;김종민;이욱;허호진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48권3호
    • /
    • pp.284-288
    • /
    • 2016
  • 본 연구에서는 고포도당 조건에서 로젤의 산화방지 효과와 산화 손상에 대한 신경세포 보호효과를 검증하였다. 총 페놀 함량은 아세트산에틸 분획물(71.41 mg GAE/g)이 다른 분획물보다 높았으며, 이에 따라 아세트산에틸 분획물로 in vitro 산화방지 실험을 진행한 결과 상대적으로 우수한 ABTS 라디칼 소거활성과 지방질과산화물 생성 억제효과를 나타내었다. 신경세포에 고포도당으로 유발시킨 산화 스트레스에 대한 로젤 아세트산에틸 분획물은 산화 스트레스의 생성을 억제하고 신경세포 생존율을 향상 시켰다. 더불어 신경전달물질인 아세틸콜린 분해하는 아세틸콜린 에스터레이스의 억제효과를 보였으며, 마지막으로 HPLC 분석 결과 로젤 아세트산에틸 분획물에 존재하는 주요 페놀화합물은 클로로겐산인 것으로 판단되었다. 결국 클로로겐산을 함유하는 로젤 아세트산에틸 분획물은 우수한 산화방지 효과와 신경세포 보호효과 그리고 아세틸콜린 에스터레이스 억제 효과를 유도한 것으로 추정되며, 이를 통해 고포도당 상태에서 발생하는 당뇨성 퇴행성 신경질환과 같은 질병을 예방할 수 있는 고부가가치 소재로서의 활용가치가 있다고 판단된다.

NaCl 농도가 이탈리안 라이그래스의 발아와 유묘생장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NaCI Concentration on Germination and Seedling Growth of Italian Ryegrass(Lolium multiflorum L.))

  • 이강수;최선영;최철원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40권3호
    • /
    • pp.340-350
    • /
    • 1995
  • 이탈리안 라이그라스의 염해반응에 대한 기초 자료를 얻고자 NaCl의 8개 농도에서 14개 품종(2배체:7 4배체:7)의 발아율과 유묘건물중, 엽록소 및 유리 proline함량을 조사하였다. 1. 발아율은 NaCl 300mM 이상에서 크게 감소하였으며 대조구에 대한 50%의 발아감소 NaCl농도는 344mM이었다. 2배체품종은 4배체품종보다 감소 정도가 컸으며 NaCl의 농도가 높을수록 발아율에 대한 품종들의 차이가 크게 나타났다. 2. 지상부 건물중은 NaCl 166mM에서 대조구에 대한 50%의 감소율을 보여 발아기보다 유묘기에 NaCl에 대한 영향이 더욱 컸는데, 품종들의 발아율과 지상부 건물중과는 상관관계가 없었다. 3. 지하부 건물중은 NaCl농도가 높아질수록 감소 정도가 커서 NaCl 148mM에서 50%의 감소가 나타났으며, 품종들의 지상부 건물중과 지하부 건물중은 유의적인 상관관계가 있었다. 4. 지상부 건물중과 지하부 건물중은 NaCl의 각 농도에서 2배체가 4배체보다 높았다. 5. Total 엽록소 함량은 NaCl농도가 높아질수록 증가하였는다 엽록소 a가 엽록소 b보다 함량이 더욱 증가하였으며, 엽록소 a는 4배체가 2배체보다 높았으나 엽록소 b는 2배체가 4배체보다 높았다. 품종들의 엽록소 a함량과 지상부 건물중과는 NaCl 150mM 이상에서 높은 상관관계가 인정되었다. 6. 유리 proline함량은 NaCl처리에 의하여 현저히 축적되었는데 2배체와 4배체 사이에는 별다른 차이가 없었으며, 품종들의 지상부 건물중과도 상관관계가 없었다.

  • PDF

상황버섯균사체 쌀의 HT22 신경세포 보호 효과 (Neuroprotective Effect of Rice with Phellinus linteus Mycelium in HT22 Cells)

  • 김지현;전순실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46권7호
    • /
    • pp.886-890
    • /
    • 2017
  • 상황버섯균사체 쌀의 뇌세포 보호 효과를 분석하여 상황버섯균사체 쌀에 대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 이를 이용하여 뇌 질환의 예방과 관련된 기능성 식품으로의 개발가능성을 찾고자 하였다. 상황버섯균사체 쌀 추출물을 처리하여 마우스 해마세포주 HT22의 세포보호 효과를 알아보기 위해 MTS assay를 이용한 세포생존율과 western blot을 이용한 세포사멸 단백질의 발현을 관찰하였다. 상황버섯균사체 쌀 추출물의 단일 독성을 측정한 결과 상황버섯균사체 쌀 추출물 처리군은 102.68% 이상의 생존율을 보여 신경세포의 사멸에 영향을 주지 않았다. 또한, 상황버섯균사체 쌀 추출물과 $H_2O_2$를 함께 처리하였을 때 $H_2O_2$로 자극된 세포는 63.80%의 세포생존율을 나타내었고, 상황버섯균사체 쌀 추출물과 $H_2O_2$가 함께 처리된 세포는 76.85%, 92.46%, 95.57%로 농도 의존적으로 세포생존율이 증가하였다. HT22 cell에 $H_2O_2$와 상황버섯균사체 쌀 추출물을 처리하여 apoptosis 유도 단백질을 측정한 결과, pro-apoptotic protein인 Bax는 발현이 억제되었고, anti-apoptotic protein인 Bcl-2는 발현이 증가함을 확인하였다. 또한, caspase-3와 PARP의 발현을 억제하여 상황버섯균사체 쌀 추출물이 $H_2O_2$로 유도되는 apoptosis를 억제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NaCl 농도별 토양 처리에 대한 4수종의 생장 반응 (Growth Responses of 4 Species to NaCl Concentration in Artificial Soil)

  • 박우진;서병수;박종민;최충호;최수민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
    • 제24권6호
    • /
    • pp.735-743
    • /
    • 2010
  • NaCl 처리에 대한 물푸레나무, 모감주나무, 상수리나무, 참느릅나무의 생장반응을 살펴보기 위하여 NaCl 용액을 0, 25, 50, 100, 200mM 농도로 4개월간 처리하고 생존율, 상대생장율 변화, 생체중 및 건물중, 잎의 색소함량을 분석하였다. NaCl 처리에 따라 토양의 pH와 EC가 증하였으며, 처리기간이 길어짐에 따라 4수종의 생장율은 뚜렷하게 감소하였다. 최종 생존율이 가장 높은 수종은 참느릅나무로서 200mM 처리구에서 15%의 생존율을 보였고, 나머지 3수종은 200mM 처리구에서 모두 고사하였다. 상대생장율, 생체중 및 건물중은 NaCl 처리기간이 길어짐에 따라 감소하였다. 총 엽록소 함량은 60일 후까지 증가하는 경향을 보이다가 감소하였으며, 모든 수종에서 NaCl 처리에 따른 총 엽록소 함량과 카로테노이드 함량의 변화는 크지 않았다. NaCl 처리 시 발생되는 산화적 스트레스에 대한 4수종의 생장반응을 종합한 결과 참느릅나무, 모감주나무, 물푸레나무, 상수리나무 순으로 내성이 큰 것으로 판단되었다.

H2O2로 유발된 산화적 스트레스에 대한 브로콜리(Brassica oleracea var. italica) 잎 분획물의 PC12 cell 보호 효과 (PC12 Cell Protective Effects of Broccoli (Brassica oleracea var. italica) Leaf Fraction against H2O2-induced Oxidative Stress)

  • 박선경;진동은;박창현;승태완;최성길;허호진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46권4호
    • /
    • pp.483-488
    • /
    • 2014
  • 브로콜리(Brassica oleracea var. italica) 잎의 n-hexane, chloroform, ethyl acetate, butanol 및 distilled water 분획물의 total phenolic 화합물 함량은 chloroform 분획물이 206.8 mg GAE/g으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ABTS radical 소거활성 및 지질 과산화(MDA) 생성 억제효과 실험 결과에서 chloroform 분획물에서 가장 높은 활성을 나타내었다. in vitro 항산화 실험들에서 우수한 효과를 보인 chloroform 분획물을 이용하여 $H_2O_2$으로 유도한 산화적 스트레스에 대한 신경세포(PC12 cell)에서의 산화적 스트레스 생성 억제효과, 세포 생존율 그리고 세포막 손상 억제효과 역시 농도 의존적 경향을 나타내며 positive control 로 사용된 Vit.C와 유의적인 결과를 나타냈다. 마지막으로, HPLC 분석 결과 브로콜리 잎 chloroform 분획물에 존재하는 주요 phenolic 화합물은 feulic acid인 것으로 확인되었다. 본 연구 결과를 종합해볼 때, 생리활성 물질로서의 ferulic acid 등을 함유한 브로콜리 잎 chloroform 분획물은 in vitro 항산화 활성과 함께 신경세포 보호효과를 나타내는 고부가가치 기능성 소재로의 활용이 기대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