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 sonnei

검색결과 85건 처리시간 0.022초

1973년(年) 한국(韓國)에서 분리(分離)된 쌀모넬라균(菌)에 관(關)한 보고(報告) (A Report on the Salmonella Cultures Isolated in Korea(1973))

  • 유영해;김순희
    • 대한미생물학회지
    • /
    • 제9권1호
    • /
    • pp.7-11
    • /
    • 1974
  • 저자(著者)들은 1967년(年), 1971년(年길) 및 1972년(年)에 각기(各其) 41주(株), 45주(株) 및 88주(株)의 전형적(典型的)인 이질균주(痢疾菌株)를 동정시험(同定試驗)하고 그들의 미생물학적(微生物學的) 및 생화학적(生化學的) 성상(性狀)과 혈청형적(血淸型的) 분류결과(分類結果)를 보고(報告)한 바 있었다. 1973년(年)에 전국(全國) 11개시도(個市道) 위생시험소(衛生試驗所)와 각급(各級) 종합병원(綜合病院)에서 동정의뢰(同定依賴)된 1644건(件)의 균주중(菌株中) 58주(株)의 이질균(痢疾菌)이 최종적(最終的)으로 동정(同定)되었으므로 그들의 성상(性狀)과 시험결과(試驗結果)를 요약(要約)하여 이에 보고(報告)하는 바이다. 비록 검체(檢體)는 전국각지(全國各地)에서 수집(蒐集)되었으나 최종적(最終的)으로 이질균(痢疾菌)이 동정검출(同定檢出)된 지역(地域)은 서울지방(地方)과 전라북도(全羅北道), 강원도(江原道) 및 제주도(濟州道)이었으며 총균주(總菌株) 58주중(株中)에서 51주(株)가 S. flexneri이었고 나머지 7주(株)는 S. sunnei이었다. S. flexneri 51주중(株中) 26주(株)가 $B_{2a}$이었으며 서울지방(地方) 및 강원도(江原道)에서 분리(分離)되었다. $B_{3a}$가 25주(株) 있었던바 전라북도(全羅北道)와 강원도(江原道)에서 검출(檢出)되었다. 제주도(濟州道)에서는 전년(前年)에 $B_{3a}$ 1주(株)가 분리(分離)된데 이어 금번(今番)에는 S. sonnei 1주(株)가 검출(檢出)되어 과거(過去)에 장내(腸內) 병원성세균(病原性細菌)이 검출(檢出)되지 않던 내력(來歷)이 근년(近年)에 와서 달라졌다고 하겠다. 생화학적성상(生化學的性狀)에 있어서는 arginine decarboxylase양성균(陽性菌)이 S. flexneri $B_{2a}$에서 2주(株) 곤찰(觀察)된 것 외(外)에는 전년도(前年度)와 같이 전형적(典型的)인 양상(樣相)을 나타내었다. 한국(韓國)에서 상용(常用)되는 몇가지 항균제(抗菌劑)에 대(對)한 감수성검사(感受性檢査)를 Ericsson씨법(氏法)에 의(依)하여 실시(實施)한 결과(結果) ampiciltin, cephalosporin 및 nitrofurantoin에 대(對)하여서는 전균주(全菌株)가 감수성균(感受性菌)으로 나타난 반면(反面) neomycin, bacitracin 및 colistin에 대(對)하여서는 내성균(耐性菌)으로 나타났다. chloramphenicol에 대(對)하여서는 S. flexneri $B_{2a}$는 대부분(大部分) 내성균(耐性菌)이었으나 $B_{3a}$는 대부분(大部分) 감수성(感受性)이 있었으며 S. sonnei는 약(約) 반반(半半)이었다. gentamycin에 대(對)하여서도 비교적(比較的) 감수성(感受性)이 있었던 것으로 시험관내시험(試驗管內試驗)에서 관찰(觀察)되었다.

  • PDF

매실과 리큐르 부산물인 매실박의 항균활성 비교 (Antibacterial Activity of Fresh Prunus mume and Prunus mume Liqueur Byproduct)

  • 박나영;채명희;이신호
    •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 /
    • 제22권2호
    • /
    • pp.77-81
    • /
    • 2007
  • 매실 리큐르 제조 부산물인 매실(매실박)에도 항균활성이 잔존하는지 알아보기 위해 생매실과 매실박을 동결 건조한 분말기 에탄을 추출물이 병원성 미생물에 대한 항균활성을 측정한 결과, 매실박의 항균활성이 생매실에 비해 감소하였으나 높은 항균활성을 유지하였다. 공시 병원성 미생물은 배양 12시간째까지 급격하게 증가하였으며 배양 24시간째 $10^7CFU/mL{\sim}10^9CFU/mL$을 나타내어 비교적 양호한 성장을 나타내었다. L. monocytogenes ATCC 19115, B. cereus KCCM 11341은 생매실과 매실박 추출물 1% 첨가시 배양 12시간째부터 성장이 관찰되지 않았으며, S. sonnei SG 48, E. coli O157:H7은 배양 24시간째에 검출되지 않았다. Sal. Typhimurium ATCC 14028의 경우, 매실박 추출물 1% 첨가구는 24시간째 $10^2CFU/mL$을 나타내어 배양 시간이 증가할수록 균수가 감소하였으나, 생매실 추출물의 경우 배양 12시간째부터 균이 검출되지 않았다. 매실 및 매실박 추출물은 L. monocytogenes Scott A의 성장을 뚜렷하게 억제하였으며, 매실박과 생매실 간의 항균활성의 차이는 뚜렷하게 나타나지 않았다. Staph. aureus KCCM 12255와 P. fluorescens ATCC 21541은 배양기간 동안 생매실 또는 매실박 첨가구가 대조구에 비해 성장이 뚜렷이 억제되었다. 공시 병원미생물에 대해 생매실 추출물은 매실박 추출물에 비해 높은 항균활성을 나타내었으며, 매실 리큐르 제조 후 부산물로 나오는 매실박 추출물도 병원성미생물에 대한 항균효과는 뚜렷하였다.

호박벌 일벌독의 성분 분석 및 생리활성 탐색 (Protein Composition and Biological Activities of Bombus ignitus Venom)

  • 한상미;이광길;여주홍;권해용;우순옥;윤형주;김미애;김원태;백하주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46권2호
    • /
    • pp.229-234
    • /
    • 2007
  • 호박벌 일벌독의 성분과 생리활성을 규명하기 위하여 단백질 성분분석과 암세포 생육 저해 효능, 항균력을 검토하였다. 이차원단백질 분석을 통해 호박별의 일벌독은 63개의 단백질이 존재하는 것으로 확인되었으며, 가장 많은 함량을 보이는 3개의 단백질을 염기서열 분석하였다. 그러나 이들 성분은 아직 밝혀지지 않은 성분으로 판단되었다. 호박벌 일벌독의 암세포 (간암; Hep3B, 폐암; A549, 유방암; BT-20, 위암; AGS) 에 대한 생육 저해능은 시료 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증가하는 경향을 보이며 100ng/ml에서 간암세포 (Hep3B) 에 대한 생육 저해능이 55%로 가장 높았다. 항균활성에 E. faecium 과 S. sonnei에 대하여 최소발육억제농도와 최소살균농도 모두 각각 0.256ug/ml 로 강한 항균활성을 나타내었으며, 그 외의 피검균에 대해서도 비교적 높은 활성을 보였다. 이상의 결과로부터 호박벌 일벌독의 성분은 다른 벌의 독성분과는 차이를 보이며, 그 생리활성에 있어 약리학적 이용이 가능할 것으로 판단되었다.

우유 내 활력있는 Salmonella를 검출하기 위한 fimA 유전자의 역전사중합효소 연쇄반응의 개발 (Development of Reverse Transcriptase-Polymerase Chain Reaction of fimA Gene to Detect Viable Salmonella in Milk)

  • 최석호;이승배
    • Journal of Animal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46권5호
    • /
    • pp.841-848
    • /
    • 2004
  • 살균된 우유에 오염된 Salmonella의 신속한 검출 방법을 공중 보건의 보호를 위하여 중요하다. RT-PCR 방법은 생균과 사균을 분별하여 검출할 수 있는 분자유전학적 방법이다. 본 연구의 RT-PCR 방법은 Salmonella의 type 1 fImbriae의 단량체 단백질을 암호화하는 fimA 유전자의 mRNA를 주형으로 하여 DNA를 증폭하는 방법으로서 활력이 있는 Salmonella를 검출할수 있기 위하여 개발되었다. RNA 시료를 RQRNase-free DNase로 처리하여 오염된 DNA를 파괴하여 RT-PCR 반응에서 주형으로서 DNA가 합성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었다. 이 RT-PCR 방법은 Salmonella 7균주를 검출하였으나 Escherichia coli, Shigella sonnei, Citrobacter freundii, 및 Klebsiella pneumoniae 는 검출하지 않았다. 우유 내에서 열처리된 $10^7/ml10^6/ml$ 세균수의 Salmonella는 검출되 었으나 $10^5{\sim}100/ml$는 검출되지 않았다. RT-PCR를 검출할 수 있는 활력이 있는 Salmonella의 최소 세균수는 100/ml이었다.

청원군 일개 면에서 산발적으로 신고한 세균성이질 집단 발병 역학조사 (Epidemiologic Investigation on Sporadic Occurrence of Shigellosis in a Subcounty of Cheongwon County in Chungbuk Province in 2003)

  • 이용제;황의경;김종숙;김준영;이복권;구자설;강종원
    • Journal of Preventive Medicine and Public Health
    • /
    • 제38권2호
    • /
    • pp.182-188
    • /
    • 2005
  • Objectives: This study was undertaken to investigate the source of infection and mode of transmission of shigellosis, which occurred sporadically among residents and students in a subcounty of Cheongwon county, Chungbuk province, Korea, from June 4 to July 3 2003. Methods: 692 subjects completed a questionnaire and provided a swab for microbiological examinations,and 7 environmental specimens were examined for bacterial organisms. PFGE (pulsed-field gel electrophoresis) and fingerprinting were performed to find the genetic relationship among the temporally associated sporadic isolates. Results: A total of 29 patients had symptoms consistent with the case definition, with 13 confirmed and 16 suspected cases. The frequency of diarrhea was 6 times or more a day (80.8%), with a duration of 1 to 4 days (88.5%) in most cases. The most common symptoms accompanying the diarrhea were fever (80.9%) followed by abdominal pain (76.9%), headache (65.4%), chill (61.5%), vomiting (46.2%) and tenesmus (15.4%). The epidemic curve was characteristic of a person-to-person transmission. The PFGE and fingerprinting demonstrated identical or similar DNA patterns among the 3 Shigella sonnei isolates (A51, A53 and A61 types) found in this outbreak. Conclusion: A genetically identical strain of S. sonnei was estimated to be the cause of this outbreak, and the mode of transmission was most likely person-to-person.

자연환경내에 오염된 식중독 원인균의 분포 (Study on Enteric Pathogenic Bacteria from the Environments and Human)

  • 이연태;이종훈
    • 대한미생물학회지
    • /
    • 제16권1호
    • /
    • pp.13-18
    • /
    • 1981
  • Total 984 specimens were collected from sweages(130 specimens) and human rectal swabs(854 specimens) during period from October 1979 to November 1980 in Korea. Sixteen strains of salmonella were isolated from the human rectal swabs at the St. Mary's Hospital in Dae Jeon. They were confirmed into fifteen strains of S. typhi, one strain of S. paratyphi A. In other hand, fourty three strains of Shigella had been isolated from the stool specimens. They were typed as thirty four strains of Shigella flexneri, five strains of Shigella sonnei and one strain of Shigella dysenteriae. However, 16 strains of Vibrio eltor had been isolated from patients and carriers in the first epidemic areas in Chunla Namdo in September 1980. The serotype of isolated strains was determined as a Inaba which was resistant to the Mukerjee phage group IV but was susceptible to El Tor phage groupe I and II. Authors had been concluded that the strains were certain to be identified with Vibrio cholerae biotype El Tor.

  • PDF

천연물을 이용한 살균 및 살바이러스 효과에 관한 연구 (A Study of Antimicrobial & Antiviral Effect of Natural Product)

  • 라정찬;이종은;송대섭;권남훈;박봉균;박용호
    •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 /
    • 제18권4호
    • /
    • pp.183-188
    • /
    • 2003
  • 식중독 원인균인 S. aureus, E. coli O157:H7, S. typhimurium, S. enteritidis, L. monocytogenes, 장티프스 원인균 S. typhi, 패혈증 원인균 V. parahaemolyticus, 세균성 이질 원인균 S. sonnei를 $20^{\circ}C$에서 30분간 $그리존^{TM}$과 접촉시킨 결과 최소 3배 희석액부터 최대 24배 희석액에서 최대 24배 희석액에서 균에 대한 살멸 효과를 나타내었다. $그리존^{TM}$ 3배 희석액을 이용하여 30초, 1분, 5분간 균과 접촉시킨 결과 S. aureus만 제외하고 모두 30초에 100% 살멸하는 효과를 나타내었다. $그리존^{TM}$을 이용하여 사스의 원인체와 동일한 바이러스인 코로나 바이러스에 대한 살바이러스 효과를 본 결과 제품의ㅣ 5배 희석액까지 유효간 살바이러스 효과를 보였다. 사람과 접촉이 많은 애완견 바이러스인 파보바이러스 (CPV), 디스템퍼바이러스 (CDV)에 대하여 시험한 결과 유기물과 경수 등의 악조건에서도 바이러스를 살멸하는 효과를 나타내었다. $그리존^{TM}$을 이용한 회와 냉장육 등에서의 적용 시험결과 미생물 생육이 현저히 저해됨을 알 수 있었다. 체소내의 미생물에 대한 살멸효과 시험에서도 미생물의 수가 현저하게 감소하였고, 특히 대장균의 수가 현저하게 감소하였다. $그리존^{TM}$은 세균, 바이러스의 살멸에 탁원한 효과를 보이며, 음식물에 직접 처리할 시에도 그 안전성과 효능이 입증되었다.

동충하초, 쑥 및 솔잎 추출물의 항균작용 (Antibacterial Activities of Cordyceps spp., Mugwort and Pine Needle Extracts)

  • 박찬성;권충정;최미애;박금순;최경호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9권1호
    • /
    • pp.102-108
    • /
    • 2002
  • 동충하초(눈꽃 동충하초, 번데기 동충하초), 쑥 및 솔잎 추출물의 항균작용을 조사하기 위하여 동충하초의 자실체와 균사체, 쑥 및 솔잎을 물과 70% 에탄올로 추출하였다. 항균실험에는 3종류의 그람양성균(Bacillus subtilis, Listeria monocytogenes, Staphylococcus aureus)과 3종류의 그람음성(Escherichia coli, Shigella sonnei, Salmonella typhimurium) 식중독 및 병원성 세균을 사용하였다. 동충하초의 추출수율은 물과 에탄올 모두 자실체의 수율(39∼58%)이 균사체(9∼24%)에 비하여 2.4∼4.4배 높았으며, 쑥과 솔잎 추출물의 수율은 9%미만이었다. 눈꽃 동충하초의 에탄올추출물(JME)은 1%농도에서 L. monowtogenes에 대하여 항균활성을 나타내었으며 번데기 동충하초의 에탄올추출물(MFE)은 3%농도에서 S. aureus에 대하여 항균활성을 나타내었다. 쑥의 에탄올추출물(MGE)은 1% 농도에서 L. monocygenes와 S. aureus에 대하여 항균활성을 나타내었으나 눈꽃 동충하초, 번데기 동충하초 및 쑥의 물추출물은 시험균주에 대하여 항균활성을 나타내지 않았다. 솔잎 물추출물은 E. coli를 제외한 모든 균주에 대하여, 솔잎 에탄올추출물은 실험에 사용한 모든 균주에 대하여 항균활성을 나타내어 솔잎추출물들은 가장 폭넓은 항균스펙트럼을 나타내었다. 액체배지내에서 솔잎추출물의 세균증식 억제작용은 에탄올추출물이 물추출물에 비하여 큰 편이었다.

탄화장치 개발에 의한 쑥(Artemisia asiatica) 탄화 유기용액(쑥초액) 제조에 관한 연구 (Study on the Manufacturing Process of Artemisia asiatica Carbonized Organic Solution(Wormwood Acetic Acid) by Development of Carbonize Equipment)

  • Ryu, Soung-Ryual
    • 통합자연과학논문집
    • /
    • 제4권1호
    • /
    • pp.15-22
    • /
    • 2011
  • In this study, liquid with carbonized artemisia was developed for the first time that can be used as food additives and outside medicinal agents by burning artemisia species such as Artemisia dubia wall, Artemisia capillaris Thunb, Artemisia montana (Nakai) Pamp), Artemisia keiskeana Miq, Leonurus Japonicus Houtt. etc. In addition, edibility of recovered liquid with carbonized artemisia was verified by comparing the contents according to each ingredient with common refined pyroligneous liquid through the analysis of 9 kinds of organic acid by the species of artemisia, methanol and ethanol. Besides, the result of antimicrobial activities on six kinds of food spoilage and food poisoning bacteria observed by paper disc method for liquid with carbonized artemisia indicated that those two liquids showed strong antimicrobial. At the concentration of 1.5 mg/disc, clear zone for S. sonnei and S. aureus, L. monocytogenes was 13~16 mm, and they showed stronger antimicrobial activities than other strain.

대구지방에서 분리된 Shigella의 양상과 항균제 내성 (Prevalence and Drug Resistance of Shigella in Taegu Area of Korea)

  • 전도기;박종욱;서성일;조동택;설성용;이유철
    • 대한미생물학회지
    • /
    • 제21권4호
    • /
    • pp.461-471
    • /
    • 1986
  • 1973년부터 1985년 사이에 대구지방에서 분리된 Shigella는 약 1,200주였는데, 대부분이 Shigella flexneri였고, S. sonnei는 약 20%였으며, S. dysenteriae와 S. boydii는 극히 적었다. 분리균의 95%이상이 chloramphenicol(Cm), tetracycline(Tc), streptomycin(Sm), sulfisomidine(Su), ampicillin(Ap), trimethoprim(Tf) 등의 전부 또는 일부 약제에 내성이었으며, kanamycin, nalidixic acid(Na)와 rifampin(Rf)에 내성인 균주는 소수 있었으나, cephaloridine, gentamicin, amikacin 등에 내성인 균주는 없었다. 1973년에 분리된 균은 약 절반이 약제내성이었으나, 1977년 이후 분리된 균은 95% 이상이 약제내성이었다. 1977년 까지는 Cm, Tc, Sm 및 Su의 4제 내성균이 가장 많았으나 1978년 부터는 Cm, Tc, Sm, Su, Ap 및 Tp의 6제 내성균이 가장 많았다. 약 75%의 균이 그 약제내성을 접합에 의하여 Escherichia coli에 전달하였으므로 이 약제내성은 R plasmid에 의한 것으로 생각되었다. 대다수의 균에 있어서 약제내성 전부를 E. coli에 전달하였으나, Na와 Rf의 내성은 전달되지 않았다. 일부 균주의 약제내성은 E. coli에 전달될 때 분리되는 일이 있었으나, 그 수는 극히 적었다. Shigella의 R Plasmid는 대부분이 비적합성군(incompatibility group) F II에 분류되었으나, 극소수는 B군에 속하였고 군별이 안되는 것도 있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