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Report on the Salmonella Cultures Isolated in Korea(1973)

1973년(年) 한국(韓國)에서 분리(分離)된 쌀모넬라균(菌)에 관(關)한 보고(報告)

  • Ryu, Young-Hat (Department of Microbiology, National Institute of Health) ;
  • Kim, Soon-Hee (Department of Microbiology, National Institute of Health)
  • 유영해 (국립보건연구원 미생물부) ;
  • 김순희 (국립보건연구원 미생물부)
  • Published : 1974.12.31

Abstract

The authors identified fifty-eight Shigella cultures among 1644 cultures and specimens of enteric pathogens collected from all over the country in 1973. Fifty-one out of fifty-eight cultures belonged to Shigella flexneri and the rest to Shigella sonnei. None of cultures belonging to either subgroup A or C was detected in 1973. Of fifty-one cultures of Shigella flexneri twenty-six cultures were $B_{2a}$, which were isolated in Seoul area and Kwangwon-Do. The rest were $B_{3a}$ which were isolated in Jeonla-bug-Do and Kangwon-Do. It would not be possible to understand that there might not have been the cases or carriers of Shigella in the areas where the organisms were not isolated in 1973 and that there might not have been any other serotypes existing in the country, although there was a quite disparity found in the distribution between different areas and in the detection of the serotypes as shown in Table 1. Concerning the biochemical properties there were only two cultures showing positive arginine decarboxylase test among $B_{2a}$, and there were three cultures of trehalose negative cultures, one of rhamnose positive culture and one of glycerol positive culture observed, which were considered to be unusual. All the Shigella cultures were sensitive to nitrofurantoin, cephalosporin and ampicillin, and resistant to colistin, bacitracin and neomycin. Majority of them showed sensitive results to gentamycin, and the majority of Shigella $B_{3a}$ appeared to be sensitive to chloramphenicol, tetracycline, oxytetracycline and doxycycline, but the majority of $B_{2a}$ and Shigella sonnei were observed resistant to those antibiotics by means of the In-Vitro tests.

저자(著者)들은 1967년(年), 1971년(年길) 및 1972년(年)에 각기(各其) 41주(株), 45주(株) 및 88주(株)의 전형적(典型的)인 이질균주(痢疾菌株)를 동정시험(同定試驗)하고 그들의 미생물학적(微生物學的) 및 생화학적(生化學的) 성상(性狀)과 혈청형적(血淸型的) 분류결과(分類結果)를 보고(報告)한 바 있었다. 1973년(年)에 전국(全國) 11개시도(個市道) 위생시험소(衛生試驗所)와 각급(各級) 종합병원(綜合病院)에서 동정의뢰(同定依賴)된 1644건(件)의 균주중(菌株中) 58주(株)의 이질균(痢疾菌)이 최종적(最終的)으로 동정(同定)되었으므로 그들의 성상(性狀)과 시험결과(試驗結果)를 요약(要約)하여 이에 보고(報告)하는 바이다. 비록 검체(檢體)는 전국각지(全國各地)에서 수집(蒐集)되었으나 최종적(最終的)으로 이질균(痢疾菌)이 동정검출(同定檢出)된 지역(地域)은 서울지방(地方)과 전라북도(全羅北道), 강원도(江原道) 및 제주도(濟州道)이었으며 총균주(總菌株) 58주중(株中)에서 51주(株)가 S. flexneri이었고 나머지 7주(株)는 S. sunnei이었다. S. flexneri 51주중(株中) 26주(株)가 $B_{2a}$이었으며 서울지방(地方) 및 강원도(江原道)에서 분리(分離)되었다. $B_{3a}$가 25주(株) 있었던바 전라북도(全羅北道)와 강원도(江原道)에서 검출(檢出)되었다. 제주도(濟州道)에서는 전년(前年)에 $B_{3a}$ 1주(株)가 분리(分離)된데 이어 금번(今番)에는 S. sonnei 1주(株)가 검출(檢出)되어 과거(過去)에 장내(腸內) 병원성세균(病原性細菌)이 검출(檢出)되지 않던 내력(來歷)이 근년(近年)에 와서 달라졌다고 하겠다. 생화학적성상(生化學的性狀)에 있어서는 arginine decarboxylase양성균(陽性菌)이 S. flexneri $B_{2a}$에서 2주(株) 곤찰(觀察)된 것 외(外)에는 전년도(前年度)와 같이 전형적(典型的)인 양상(樣相)을 나타내었다. 한국(韓國)에서 상용(常用)되는 몇가지 항균제(抗菌劑)에 대(對)한 감수성검사(感受性檢査)를 Ericsson씨법(氏法)에 의(依)하여 실시(實施)한 결과(結果) ampiciltin, cephalosporin 및 nitrofurantoin에 대(對)하여서는 전균주(全菌株)가 감수성균(感受性菌)으로 나타난 반면(反面) neomycin, bacitracin 및 colistin에 대(對)하여서는 내성균(耐性菌)으로 나타났다. chloramphenicol에 대(對)하여서는 S. flexneri $B_{2a}$는 대부분(大部分) 내성균(耐性菌)이었으나 $B_{3a}$는 대부분(大部分) 감수성(感受性)이 있었으며 S. sonnei는 약(約) 반반(半半)이었다. gentamycin에 대(對)하여서도 비교적(比較的) 감수성(感受性)이 있었던 것으로 시험관내시험(試驗管內試驗)에서 관찰(觀察)되었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