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 sobrinus

검색결과 61건 처리시간 0.029초

미반응 레진단량체가 우식유발성 세균의 활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UNREACTED RESIN MONOMES ON THE ATIVITY OF CARIOGENIC BACTERIA)

  • 박성규;김화숙;유소영;한진주;국중기;이난영;이상호;이창섭
    • 대한소아치과학회지
    • /
    • 제30권4호
    • /
    • pp.684-695
    • /
    • 2003
  • 본 연구는 복합레진에서 유출된 수용성 미반응단량체가 치아우식발생 원인균인 S. mutans와 S. sobrinus의 증식과 비수용성 glucan의 형성능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고자 광중합 레진전색제를 10분, 1시간, 12시간 24시간 물에 침잠시켜 레진화학물을 용출한 후 1/2, 1/4, 1/8의 농도로 첨가한 BHI broth 또는 BHI-YS에서 세균을 24시간 배양한 후, 흡광도를 측정하며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S. mutans의 성장률은 10분 용출액의 1/4 농도에서 성장조절군에 비해 현저히 감소된 반면 1/2, 1/8 농도에서는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으며, 1시간 용출액은 S. mutans의 성장을 촉진하였으며, 특히 1/2, 1/4 농도에서 성장률이 높았다. 또한 12시간, 24시간 용출액은 S. mutans의 성장에 영향을 주지 않았다. 2. S. sobrinus의 성장률은 10분 용출액의 1/4 농도에서는 현저히 억제되었으나, 1시간, 12시간 24시간 용출액은 모든 농도에서 S. sobrinus의 성장에 영향을 주지 않았다. 3. 레진용출액은 성장조절군에 비해 S. mutans의 총성장을 촉진하였으나 S. sobrinus의 총성장은 억제하였다. 4. S. mutans의 비수용성 glucan 형성능은 성장조절군에 비해 촉진되었으며, 특히 10분 용출액의 1/4농도에서 현저하였으며, 모든 용출액의 1/8농도에서는 glucan의 형성능은 감소하였다. 5. S. sobrinus의 비수용성 glucan의 형성능은 10분용출액의 1/4 농도를 제외하고는 성장대조군에 비해 감소하였다. 6. S. mutans의 비수용성 glucan의 총형성량은 S. sobrinus에서보다 약 3배 정도 높았다.

  • PDF

구강 내 세균에 대한 Essential oil의 항균효과에 관한 연구 (ANTIMICROBIAL EFFECT OF ESSENTIAL OILS ON ORAL BACTERIA)

  • 이선영;김재곤;백병주;양연미;이경열;이용훈;김미아
    • 대한소아치과학회지
    • /
    • 제36권1호
    • /
    • pp.1-11
    • /
    • 2009
  • Essential oil은 식물로부터 추출한 휘발성의 호지방성 화합물로서 essential oil은 잠재적으로 항균, 항진균, 진경련, 항말라리아성, 곤충퇴치능력 등의 생물학적 효과를 가지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다양한 방향식물에서 추출한 Citral, Pineole, Linalool, Eugenol, Limonene, Pinene 등으로 구성된 다섯종류의 essential oil을 사용하였으며, 여덟 군의 중요한 병원성 세균인 Streptococcus mutans(S. mutans), Staphylococcus aureus(S. aureus), Streptococcus sanguis(S. sanguis), Streptococcus anginosus(S. anginosus), Actinobacillus actinomycetemcomitans(A. actinomycetem- comitans), Streptococcus sobrinus(S. sobrinus), Staphylococcus epidermidis(S. epidermidis), Esherichia coli (E. coli)에 대한 저항성으로서 항균능력을 평가하였다. Essential oil의 항균능력은 용액희석방법을 사용하여 검사하였으며, essential oil 농도범위는 10 mg/mL, 5 mg/mL, 2.5 mg/mL, 1.25 mg/mL, 0.625 mg/mL, 0.516 mg/mL, 0.3125 mg/mL, 0.078 mg/mL, 0.039 mg/mL, 그리고 0.015 mg/mL였다. Essential oil은 용량 의존적으로 시험 균주의 성장을 효과적으로 억제하였으며, NM을 제외하고 R, LG, FR, O oil은 저농도에서 구강 병원성 미생물의 성장을 억제하였다. 또한 사용된 essential oil은 E.coli와 S. epidermidis의 성장에는 탁월한 억제효과를 보이지는 못했으나 구강 병원성 미생물에 대해서는 특별한 성장 억제효과를 나타냈다.

  • PDF

양치식물류의 메탄올 추출물에 항균활성 분석 (Antimicrobial Activities of Methanol Extracts Obtained from Several Ferns)

  • 신소림;이철희
    • 한국자원식물학회지
    • /
    • 제23권5호
    • /
    • pp.436-444
    • /
    • 2010
  • 10종 양치식물의 지상부와 지하부 메탄올 추출물을 대상으로 Bacillus subtilis, Escherichia coli, Listeria monocytogenes, Propionibacterium acnes, Streptococcus mutans, Streptococcus sobrinus 등 병원성 미생물에 대한 항균활성을 broth microdilution법과 paper diffusion법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억제환이 15 mm 이상으로 나타난 추출물을 대상으로 0.125, 0.25, 0.5 1, $2\;mg{\cdot}mL^{-1}$의 농도에서 3일 동안 각 미생물의 생육 억제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 B. subtilis, E. coli, L. monocytogenes에 대해서는 꿩고비의 지하부 추출물에서 억제활성이 가장 우수하였으며, 살균처리하지 않은 조추출물 상태에서 $2\;mg{\cdot}mL^{-1}$의 농도에서 72시간 이후에도 각 39, 33, 58%의 억제활성을 보였다. P. acnes에 대해서는 꿩고비 지상부 추출물이 가장 우수한 항균활성을 보였으나, 15 mm 미만의 억제환을 보여 항균력이 약한 것으로 나타났다. S. mutans와 S. sobrinus에 대해서는 다수의 양치식물이 비교적 우수한 항균활성을 보여 양치식물의 추출물은 전반적으로 Streptococcus에 대한 감수성이 높은 것으로 생각되었다. 그러나 고비의 지하부 추출물이 $2\;mg{\cdot}mL^{-1}$의 농도에서 72시간 후 각 28, 39%, 그 외의 추출물은 10% 내외의 낮은 항균활성을 보여 10종의 양치식물 추출물 중에는 Streptococcus에 대하여 뛰어난 항균력을 보이는 추출물은 없는 것으로 생각되었다.

Dental caries suppression effect of highly branched and modified oligosaccharides

  • 서은성;박현정;김지희;이기영;김도만
    • 한국생물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생물공학회 2002년도 생물공학의 동향 (X)
    • /
    • pp.239-242
    • /
    • 2002
  • We have synthesized branched oligosaccharides (BOS) by the mixed-culture fermentation (MBOS), fructosyltransferase (FBOS) or glucosyltransferase (GBOS) with high concentration of sucrose (3M). MBOS was further modified as iron and sulfate-oligosaccharides. The modified MBOS were stable at high temperatures (up to $140^{\circ}C$) and low pHs (2 to 4). Most highly branched and modified oligosaccharide (0.34%, w/v) effectively inhibited fructose release from sucrose by Streptococcus mutans 6715 mutansucrase. FBOS, GBOS, iron-MBOS inhibited the mutansucrase activities from Streptococcus sobrinus about 46.8%, 49.2% and 43.1%, respectively. Most highly branched and modified oligo- saccharides (0.5%, w/v) effectively inhibited the fonnation of insoluble glucan and adherence of S. mutans or S. sobrinus cell in the presence of sucrose. Modified oligosaccharides affected the growth and acid production of oral pathogens. Cytotoxicity test showed that highly branched and modified oligosaccharides was non-toxic.

  • PDF

Antimicrobial Effects of Oleanolic Acid against Streptococcus mutans and Streptococcus sobrinus Isolated from a Korean Population

  • Kim, Min-Jung;Kim, Chun-Sung;Ha, Woo-Hyung;Kim, Byung-Hoon;Lim, Yun-Kyong;Park, Soon-Nang;Cho, Yu-Jin;Kim, Myung-Mi;Ko, Jang-Hyuk;Kwon, Soon-Sung;Ko, Yeong-Mu;Kook, Joong-Ki
    • International Journal of Oral Biology
    • /
    • 제35권4호
    • /
    • pp.191-195
    • /
    • 2010
  • Oleanolic acid is a natural triterpenoid that exists widely in foods and some medicinal herb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termine the antimicrobial activity of oleanolic acid against Streptococcus mutans strains isolated from a Korean population. Antimicrobial activity against these bacteria was evaluated by minimal inhibitory concentration (MIC) and time kill curves. The tolerance of human gingival fibroblasts and human periodontal ligaments to oleanolic acid was tested using a methyl thiazolyl tetrazolium (MTT) assay. The $MIC_{90}$ value of oleanolic acid for both S. mutans and S. sobrinus isolated from Koreans was 8 ${\mu}g/ml$. Oleanolic acid showed bactericidal effects against S. mutans ATCC $25175^T$ and S. sobrinus ATCC $33478^T$ at $1\;{\times}\;MIC$ ($8{\mu}g/ml$) and had no cytotoxic effects against KB cells at this dose. The results suggest that oleanolic acid could be useful in the future development of oral hygiene products for the prevention of dental caries.

치면세균막에서 분리한 뮤탄스 연쇄상구균 및 Streptococcus anginosus의 수종 항생제에 대한 감수성 조사 (ANTIBIOTIC SUSCEPTIBILITY IN MUTANS STREPTOCOCCI AND STREPTOCOCCUS ANGINOSUS ISOLATED FROM DENTAL PLAQUE)

  • 국중기;임상수;유소영;황호길
    • Restorative Dentistry and Endodontics
    • /
    • 제29권5호
    • /
    • pp.462-469
    • /
    • 2004
  •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susceptibility of mutans streptococci (S. mutans and S. sobrinus) and Streptococcus anginosus, for seven antibiotics, penicillin G, amoxicillin, ciprofloxacin, cefuroxime, erythromycin, bacitracin, and vancomycin. The minimum inhibitory concentration (MIC) of seven antibiotics against 3 species (type strains) of mutans streptococci and S. anginosus, 10 strains (wild type) of S. mutans, 7 strains (wild type) of S. sobrinus, and 11 strains (wild type) of S. anginosus, were measured by broth dilution method. All of the type strains of mutans streptococci and S. anginosus had the same susceptibility for penicillin G, amoxicillin, cefuroxime and bacitracin. Type strain of S. anginosus was sensitive in ciprofloxacin, but those of mutans streptococci were not. All of the clinical isolates of mutans streptococci and S. anginosus had the same susceptibility for the seven antibiotics. Our data reveal that mutans streptococci and S. anginosus have similar antibiotic-resistant character. In addition. these results may offer the basic data to verify the antibiotic-resistant mechanism of mutans streptococci and S. anginosus.

Potential Suppression of Dental Caries by Maltosyl-Mannitol Produced by Bacillus stearothermophilus Maltogenic Amylase

  • Cho Kil-Soon;Shin Sang-Ick;Cheong Jong-Joo;Park Kwan-Hwa;Moon Tae-Wha
    • Journal of Microbiology and Biotechnology
    • /
    • 제16권3호
    • /
    • pp.484-486
    • /
    • 2006
  • Maltosyl (G2)-mannitol, produced by the transglycosylation of mannitol with maltotriose by Bacillus stearothermophilus maltogenic amylase, was not found to support lactic acid production by Streptococcus sobrinus NRRL 14555. Furthermore, the synthesis of water-insoluble glucans from maltosyl-mannitol by S. sobrinus NRRL 14555 was much lower than that from xylitol or mannitol. Consequently, these results suggest that maltosyl-mannitol could be used as a noncariogenic sugar substitute in food products.

Antimicrobial Effects of Ursolic Acid against Mutans Streptococci Isolated from Koreans

  • Kim, Min-Jung;Kim, Chun-Sung;Park, Jae-Yoon;Lim, Yun-Kyong;Park, Soon-Nang;Ahn, Sug-Joon;Jin, Dong-Chun;Kim, Tae-Hyung;Kook, Joong-Ki
    • International Journal of Oral Biology
    • /
    • 제36권1호
    • /
    • pp.7-11
    • /
    • 2011
  • Ursolic acid is a triterpenoid compound present in many plants. This study examined the antimicrobial activity of ursolic acid against mutans streptococci (MS) isolated from the Korean population. The antimicrobial activity was evaluated by the minimum inhibitory concentration (MIC) and time kill curves of MS. The cytotoxicity of ursolic acid against KB cells was tested using an MTT assay. The $MIC_{90}$ values of ursolic acid for Streptococcus mutans and Streptococcus sobrinus isolated from the Korean population were $2 {\mu}g$/ml and $4 {\mu}g$/ml, respectively. Ursolic acid had a bactericidal effect on S. mutans ATCC $25175^T$ and S. sobrinus ATCC $33478^T$ at > $2 \;{\times}\; MIC (4 {\mu}g$/ml) and $4 \;{\times}\; MIC (8 {\mu}g$/ml), respectively. Ursolic acid had no cytotoxic effect on KB cells at concentrations at which it exerted antimicrobial effects. The results suggest that ursolic acid can be used in the development of oral hygiene products for the prevention of dental caries.

Streptococcus sobrinus의 비수용성 글루캔 합성에 영향을 미치는 인자 (FACTORS INFLUENCING THE FORMATION OF INSOLUBLE GLUCAN BY STREPTOCOCCUS SOBRINUS)

  • 정진;김신
    • 대한소아치과학회지
    • /
    • 제27권1호
    • /
    • pp.90-97
    • /
    • 2000
  • 치태의 형성은 이온, 효소, 영양물질, 화학물질 등과 같은 구강내 존재하는 다양한 물질들과 이들의 변화에 영향을 받는다. 본 연구에서는 치태형성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구강내 연쇄상구균인 Streptococcus sobrinus를 공시균으로, 비수용성 글루캔의 합성과 세균 증식 에 미치는 여러 인자들의 영향을 관찰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Streptococcus sobrinus 배양 배지의 pH가 7.0일 때 비수용성 글루캔이 가장 많이 합성 되었고, pH 5.5와 pH 8.5에서는 그 합성이 감소하였다. 세균 증식도 pH 7.0에서 가장 활발하였다. 2. 효모 추출물은 2.5%일 때 비수용성 글루캔의 합성과 세균증식이 모두 활발하였다. 자당의 경우 농도가 증가할수록 비수용성 글루캔의 합성은 감소하여 1.25%보다 20%에서 합성이 10배 정도 감소하였으나, 세균의 증식은 20배 정도 증가하였다. 3. 배지의 calcium chloride 농도가 1.0mM, potassium chloride 농도가 40mM, magnesium chloride 농도가 0.1mM 이었을때 비수용성 글루캔의 합성이 가장 활발했으나, 세균의 증식에는 큰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4. Sodium bicarbonate 10mM에서 비수용성 글루캔 합성과 세균의 증식 이 모두 활발하였으며 100mM 이상에서는 모두 억제되었다. Tris 10mM에서 비수용성 글루캔 합성과 세균의 증식이 모두 억제되었으며 100mM 이상에서는 모두 증가되었다. 5. Sodium phosphate와 potassium phosphate는 10mM 이상에서 비수용성 글루캔 합성과 세균증식이 모두 억제되었다.

  • PDF

교정용 메탈 브라켓에서 자가중합효소연쇄반응을 통한 치아우식증 원인균의 탈출 (Direct detection of cariogenic streptococci in metal brackets in vivo using polymerase chain reaction)

  • 안석준;이신재;백승학;김태후;장영일;남동석;임범순
    • 대한치과교정학회지
    • /
    • 제35권4호
    • /
    • pp.312-319
    • /
    • 2005
  • Streptococcus mutans와 Streptococcus sobrinus는 교정장치 주위의 법랑질 탈회를 유발하는 중요한 원인균들이다. 본 연구는 중합효소연쇄반응법을 이용하여 생체 브라켓에 존재하는 이들 균주의 이환율을 평가하기 위해 고안되었다. 상악과 하악치열의 절치 브라켓 각각 4개를 교정치료 종료 시점에서 채취하였다. 브라켓에 부착된 세균들의 DNA를 추출하고 각각의 세균에 해당하는 프라이머를 이용하여 덱스트란 분해효소를 증폭시켰다. 본 연구의 결과는 S. mutans와 S. sobrinus가 하악절치 브라켓에 비해 상악절치 브라켓에 더 많이 존재함을 보여주었으며, 이들 브라켓에 존재하는 세균의 빈도는 이전의 연구에서 구강내에 존재하는 빈도에 비해 더 적음을 보여주었다. S. mutans의 상악절치 브라켓 이환율은 $50.0\%$, 하악절치 브라켓 이환율은 $33.8\%$였고, S. sobrinus는 각각 $17.5,\;15.0\%$였다. 상악절치 브라켓에 두 종류의 세균이 모두 이환된 환자는 7명 $(8.8\%)$였으며, 하악절치 브라켓에 두 종류의 세균이 모두 이환된 환자는 5명 $(6.3\%)$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법랑질 탈회를 유발하는 치아우식증 원인균이 절치 브라켓에 부착하는 상주균일 가능성을 제시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