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 cerevisiae

검색결과 924건 처리시간 0.023초

내당성 효모 Saccharomyces cerevisiae SS89에 의한 동결농축 사과즙의 무가당 아이스 사과주 속성 발효 (Rapid Fermentation of Freeze-Concentrated Ice Apple Wine by a Sugar Tolerant Yeast, Saccharomyces cerevisiae SS89)

  • 최상훈;백성열;여수환;박희동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19권3호
    • /
    • pp.413-419
    • /
    • 2012
  • 동결농축 사과즙(36 $^{\circ}Brix$)에 내당성 효모 S. cerevisiae SS89 균주와 대조구로서 산업적으로 이용되고 있는 와인효모 S. cerevisiae W-3를 접종하여 아이스 사과주의 발효 특성 및 주질 특성을 조사하였다. 발효 중 S. cerevisiae SS89 균주가 S. cerevisiae W-3에 비하여 빠르게 알코올을 생산하여 S. cerevisiae SS89 균주의 경우 15일, S. cerevisiae W-3 균주의 경우 21일 후 포도주의 일반적인 알코올 함량인 12% (v/v) 이상에 도달하였다. S. cerevisiae SS89 균주로 발효한 경우 21일 후 알코올 함량이 14.4% (v/v)이었으나 S. cerevisiae W-3로 발효한 경우에는 12.6% (v/v)로 나타났다. S. cerevisiae SS89 균주로 15일, S. cerevisiae W-3 균주의 경우 21일 동안 발효하여 제조한 아이스 사과주의 일반적 특성은 알코올 함량이 각각 12.4, 12.6% (v/v)이었으며 무질소 가용성 성분은 각각 24.0, 23.6 $^{\circ}Brix$이었다. 유기산은 사과산, 젖산, 초산이 검출되었으며 두 균주에 따른 차이는 거의 없었다. 메탄올, 프로판올, 부탄올, 이소아밀알코올의 함량은 SS89 아이스 사과주에서 다소 높게 나타났으며 W-3 아이스 사과주에서는 메탄올이 검출되지 않았고 프로판올은 극미량이 검출되었다. SS89 사과주의 경우 intensity 값과 Hunter L과 b 값이 W-3 아이스 사과주보다 높게 나타났으나 hue 값과 Hunter a 값은 낮게 나타났다. 두 아이스 사과주의 관능검사 결과 큰 차이는 없었다.

산업용 Saccharomyces cerevisiae에서 Aspergillus awamori Glucoamylase 유전자의 발현 (Expression of Aspergillus awamori Glucoamylase Gene in an Industrial Strain of Saccharomyces cerevisiae)

  • 강동명;이수아;전영현;진종언;이황희;배석
    • 미생물학회지
    • /
    • 제41권2호
    • /
    • pp.146-151
    • /
    • 2005
  • 전분 이용이 가능한 산업용 Saccharomyces cerevisiae균주를 개발하기 위해 alcohol dehydrogenase 유전자 프로모터(ADClp)의 조절하에 발현되는 Aspergillus awamori glucoamylase cDNA 유전자(GA1)를 산업용 S. cerevisiae의 염색체에 도입하였다. 산업적 이용에 적합한 효모균주를 얻기 위해 세균 ampicillin 저항성 유전자가 제거되고 GA1 유전자와 선별 표지유전자로 S. cerevisiae aureobasidin A 저항성 유전자(AUR1-C)와 재조합 부위로 Tyretrotransposon $\delta$-서열이 포함된 integrative cassette를제조하였다. 이 $\delta-integrative$ cassette로 형질전환된 산업용 S. cerevisiae는 배지상에 glucoamylase를 생산 분비하였고 전환을 유일한 탄소원으로 하여 생장하였다. 형질전환체를 비선택배지에서 배양했을 매 삽입된 GA1유전자가 100세대까지 안정되게 유지되었다.

Neurospora crassa 유전자에 의한 Saccharomyces cerevisiae coq7 돌연변이의 회복 (Restoration of Saccharomyces cerevisiae coq7 Mutant by a Neurospora crassa Gene)

  • 김은정;김상래;이병욱
    • 생명과학회지
    • /
    • 제13권6호
    • /
    • pp.933-942
    • /
    • 2003
  • Coenzyme Q은 긴 isoprenoid 사슬을 갖는 quinone의 유도체이다. Coenzyme Q는 진핵생명체의 미토콘드리아의 내막과 원핵생명체의 세포막에 위치하는 전자전달계에 존재하는 지용성 물질이며, 또한 항산화제로의 기능도 갖는다. Coenzyme Q는 Saccharomyces cerevisiae의 호기적 성장에 필수적이며, coq 돌연변이체는 발효가 불가능한 탄소 원에서의 성장이 불가능하다. S. cerevisiae의 $coq^7$p 효소들과 유사성을 나타내는 단백질을 암호화하는 Neurcspora crassa cDNA를 효모의 발현 벡터에 삽입하였다. N. crassa COQ7의 예상 서열은 S. cerevisiae의 효소와 58% homology를 보였다. N. crassa $coq^{-7}$ 유전자의 S. cerevisiae $coq^7$ 형질전환체는 야생형 균주와 유사한 성장률을 보였다. 형질전환 균주들은 발효가 불가능한 탄소원인 글리세롤을 유일한 탄소원으로 배양하였을 경우에도 정상적인 성장을 나타냈다. 또한 불포화지방산인 linolenic acid를 성장 배지에 첨가하여도 야생형 균주와 유사한 생존율이 관찰되었다.

Improvement of Ethanol Production by Electrochemical Redox Combination of Zymomonas mobilis and Saccharomyces cerevisiae

  • Jeon, Bo-Young;Park, Doo-Hyun
    • Journal of Microbiology and Biotechnology
    • /
    • 제20권1호
    • /
    • pp.94-100
    • /
    • 2010
  • Zymomonas mobilis was immobilized in a modified graphite felt cathode with neutral red (NR-cathode) and Saccharomyces cerevisiae was cultivated on a platinum plate anode. An electrochemical redox reaction was induced by 3 volts of electric potential charged to the cathode and anode. The Z. mobilis produced 1.3-1.5 M of ethanol in the cathode compartment, whereas the S. cerevisiae produced 1.7-1.9 M in the anode compartment after 96 h. The ethanol produced by the Z. mobilis immobilized in the NR-cathode and S. cerevisiae cultivated on the platinum plate was 1.5-1.6 times higher than that produced under conventional conditions. The electrochemical oxidation potential inhibited Z. mobilis, but activated S. cerevisiae. The SDS-PAGE pattern of the total soluble proteins extracted from the Z. mobilis cultivated under the electrochemical oxidation conditions was gradually simplified in proportion to the potential intensity. Z. mobilis and S. cerevisiae were cultivated in the cathode and anode compartments, respectively, of an electrochemical redox combination system. The Z. mobilis culture cultivated in the cathode compartment for 24 h was continuously transferred to the S. cerevisiae culture in the anode compartment at a rate of 300 ml/day. Approx. 1.0-1.2 M of ethanol was produced by the Z. mobilis in the cathode compartment within 24 h, and an additional 0.8-0.9 M produced by the S. cerevisiae in the anode compartment within another 24 h. Thus, a total of 2.0-2.1 M of ethanol was produced by the electrochemical redox combination of Z. mobilis and S. cerevisiae within 48 h.

Saccharomyces cerevisiae에서 myo-Inositol 결핍에 의한 Respiratory capacity의 감소

  • 정경환;이준식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 /
    • 제24권4호
    • /
    • pp.485-492
    • /
    • 1996
  • myo-Inositol, a growth factor for Saccharomyces cerevisiae (S. cerevisiae), has been known to be incorporated into phosphatidylinositol (PI), which is a kind of phospholipid in the cell membrane, by a membrane-associated PI-synthesizing enzyme. The deficiency of myo-inositol in S. cerevisiae adversely affected the membrane structure and function. On the basis of biochemical functions of myo-inositol, the effect of deficiency of myo-inositol on the aerobic glucose metabolism was investigated by measuring specific oxygen uptake rate (Q$_{O2}$) used as an indicator representing the respiratory capacity of S. cerevisiae in batch and continuous cultures. The respiratory capacity of aerobic glucose metabolism in S. cerevisiae was also monitored after glucose pulse-addition in a continuous culture (D=0.2, 1/hr), in which glucose was utilized through respiratory metabolism. The deficiency of myo-inositol was found to lead to both the decrease of the maximum specific oxygen uptake rate (Q$_{O2max}$) observed from the batch as well as in the continuous culture experiment and the decrease of the respiratory capacity of aerobic glucose metabolism of S. cerevisiae determined from the glucose pulse-addition experiment, in which the glucose flux into respiratory and fermen- tative metabolism was quantitatively analyzed.

  • PDF

재래식 및 개량식 고추장 효모의 분포 및 생리특성 (Distribution and Physiological Characteristics of Yeasts in Traditional and Commercial Kochujang)

  • 정윤창;최원진;오남순;한민수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28권2호
    • /
    • pp.253-259
    • /
    • 1996
  • 개량식 고추장으로부터 동정한 효모들은 Candida glabrata C. guilliermondii. C. humicola. C. rugosa, C. zeylanoides, Cryptococcus uniguttulatus, Pichia farinosa, Rhodotorula glutinis, Saccharomyces cerevisiae Zygosaccharomyces rouxii로 분류되었다. 재래식 고추장에서 동정한 효모는 C. glabrata, P. farinosa, S. cerevisiae, Z. rouxii로 분류되었으며 분포율이 높아 발효숙성에 깊이 관여할 것으로 생각되는 효모는 재래식과 개량식고추장에서 Candida, Pichia, Saccharomyces, Zygosaccharomyces등 4속이었다. 개량식 고추장의 발효숙성 중기와 후기에 나타난 Z. rouxii와 S. cerevisiae는 고추장용 메주에서 분리되어 그 기원이 되는 것으로 생각되며, 특히 Z. rouxii는 고추장용 메주에서 분포된 효모중 46%를 차지하였다. 발효숙성중 분포는 Z. rouxii가 15일 후에 33%, S. cerevisiae가 21일 후에 13%펄 각각 가장 높은 분포율을 보였다. Candida속의 경우 개량식 메주, 소맥코지, 콩코지 모두에서 분리되었으나 고추장의 발효숙성이 진행됨 에 따라 40%에서 10%로 점차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재래식 고추장에서는 발효음성 3개월 후에 Z. rouxii가 53%, 7개월 후에 S. cerevisiae가 26%로 가장 높은 분포율을 보였다. NaCl 과 glucose를 혼용한 배지에서 S. cerevisiae와 Z. rouxii 등 2종의 효모가 다른 효모에 비해 생육이 현저히 나타난 것은 이들이 고추장의 발효숙성 과정에서 분리된 빈도수가 높았다는 것과 무관하지 않을 것으로 사료된다. 특히 S. cerevisiae와 Z. rouxii 두 균주는 무염 또는 7% NaCl이 첨가된 배지에서 가장 먼저 가스를 생성하였으며 7% NaCl이 첨가된 조건하에서의 가스생산량은 Z. rouxii 및 S. cerevisiae 각각에서 0.024 ml/ml/hr, 0.013ml/ml/hr로 나타났다.

  • PDF

Schizosaccharomyces pombe의 septin 유전자의 클로닝과 염기서열분석 (Cloning and Sequencing Analysis of the Septin Gene in Schizosaccharomyces pombe)

  • 김성철;김형배
    • 미생물학회지
    • /
    • 제33권4호
    • /
    • pp.232-236
    • /
    • 1997
  • Septin 유전자는 Saccharomyces cerevisiae에서 filament를 암호화하고 있으며 세포질분열이나 bud의 형성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으로 알려져있다. S. cerevisiae에서 septin유전자는 4가지가 발견되었으며 초파리나 쥐의 세포에서도 발견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PCR 방법을 이용하여 Schizosaccharomyces pombe에서 septin 유전자를 찾아내었다. S. pombe의 septin 유전자는 1143 bp의 open reading frame을 갖고 있으며 380개의 아미노산으로된 42 kd의 분자량을 가진 단백질을 암호화하였다. S. cerevisiae의 septin 유전자의 하나인 $CDC_{12}$ 유전자와의 유사성을 비교한 결과 51.8%의 유사성이 있음이 밝혀졌다.

  • PDF

열대과일 Rambutan으로부터 아연 고함유 효모 Saccharomyces cerevisiae FF-10 분리 및 특성 (Isolation and Identification of Zinc-Enriched Yeast Saccharomyces cerevisiae FF-10 from the Tropical Fruit Rambutan)

  • 차재영;허진선;김정욱;이선우;조영수
    • 생명과학회지
    • /
    • 제18권4호
    • /
    • pp.447-453
    • /
    • 2008
  • 아연은 사람에 있어서 필수미량 원소 중의 하나이다. 열대과일 Rambutan으로부터 아연 고함유 효모를 분리하였으며, 이 균주의 아연 함량은 306 ppm (30.6 mg%)이었다. 아연 고함유 효모는 전형적인 둥근 모양과 보통 크기로 다출아 형태를 취하고 있었다. 분리 균주의 동정을 위하여 ITS1-5.8S rDNA sequences를 실시한 결과 효모 S. cerevisiae 와 99%의 높은 상동성을 보였다. 또한 Aspergillus oryzae로 코지를 만들어 알코올 발효를 시킨 결과 12% 정도의 알코올 수득을 얻을 수 있었다. 이상의 결과에서 신규 분리된 효모는 형태학적 및 생리학적 특성과 알코올 발효 특성을 가지는 것으로 보아 S. cerevisiae와 거의 일치하여 S. cerevisiae FF-10으로 명명하였다. 향후 실험에서는 S. cerevisiae FF-10 균주가 세포내에 아연을 최대로 축적할 수 있는 배양 실험조건을 확립할 필요성이 제기된다.

Saccharomyces cerevisiae M3G3를 이용한 1,2-Propanediol의 생산 최적화 (1,2-Propanediol Production by Using Saccharomyces cerevisiae M3G3)

  • 구자룡;;윤현식
    • KSBB Journal
    • /
    • 제26권5호
    • /
    • pp.439-442
    • /
    • 2011
  • 1,2-propanediol (1,2-PD) is a commodity chemical that is currently produced from petrochemical derivatives. Saccharomyces cerevisiae is well characterized and a successful industrial microorganism to enable the improvement of the 1,2-propanediol production by metabolic engineering. A recombinant S. cerevisiae M3G3 was used to produce 1,2-propanediol. S. cerevisiae M3G3 is the diploid strain that contains 3 copies of mgs (methylglyoxal synthase) and gldA (glycerol dehydrogenase). S. cerevisiae M3G3 was cultivated at various culture conditions by changing culture temperature, glucose concentration, and inducer concentration. Also the effect of induction time was studied to optimize the production of 1,2-propanediol. Batch and fed-batch cultivation of S. cerevisiae M3G3 was performed by using a 5 L jar fermenter. The highest concentration of 1,2-propanediol in batch cultivation was 0.86 g/L and it was further improved to 1.33 g/L in fed-batch cultivation.

비병원성 야생효모 Saccharomyces cerevisiae WJSL 0113으로부터 항치매성 Butyrylcholinesterase 저해물질의 생산 (Production of an Anti-dementia Butyrylcholinesterase Inhibitor from Non-pathogenic Wild Yeast, Saccharomyces cerevisiae WJSL 0113)

  • 한상민;박선정;장지은;이종수
    • 한국균학회지
    • /
    • 제49권2호
    • /
    • pp.243-248
    • /
    • 2021
  • 본 연구에서는 진균류 유래의 새로운 항치매성 BChE저해물질을 생산할 목적으로 대전광역시 하천에서 분리하여 선별한 비병원성 야생효모들의 무세포추출물들을 제조하여 이들의 BChE 저해활성 측정하였다. 비병원성 야생효모들 중 S. cerevisiae WJSL0113의 무세포추출물이 85.2%의 BChE 저해활성을 보여 최종 선발하였다. 선발 균주의 BChE 저해활성은 시판 주류용 S. cerevisiae과 식용 버섯들의 추출물보다 높은 저해활성을 보였고 선발 균주인 S. cerevisiae WJSL0113을 30℃에서 48시간 배양하였을 때 가장 높은 항치매성 BChE 저해활성을 보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