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Rutaceae

검색결과 82건 처리시간 0.028초

Glycosmis kanburiensis: A new species of Rutaceae from Thailand

  • Wichai AIYAKOOL;Srunya VAJRODAYA
    • 식물분류학회지
    • /
    • 제53권1호
    • /
    • pp.25-31
    • /
    • 2023
  • Glycosmis kanburiensis (Rutaceae) from Kanchanaburi Province, southwestern Thailand is described as a new species. It is similar to G. esquirolii (H. Lév.) Tanaka in its dendriform habit, terminal inflorescences, and large leaflets, but several easily recognizable differences in floral features, including triangular sepals with rust-colored indumentum (vs. broadly ovate villose sepals), globose, glabrous (vs. subglobose, villosus) ovary, cylindrical and attenuate (vs. stout) style, and ellipsoid (vs. globose) fruit. A taxonomic description, illustration, photographs, geographical distribution, ecological data, and conservation status are provided.

운향과 식물의 과실 유래 한약재들이 마우스의 위 배출 속도 및 장 이송률에 미치는 영향 비교 (Comparison of Effects of Oriental Medicines from Rutaceae Fruits on Gastric Emptying and Intestinal Transit in Mice)

  • 이현태
    • 생명과학회지
    • /
    • 제26권12호
    • /
    • pp.1466-1469
    • /
    • 2016
  • 운향과(Rutaceae) 식물의 과실을 소재로 하는 일군의 한약재들은 위장관 운동 기능 항진을 목적으로 우리나라와 중국 등지에서 오래 전부터 널리 사용되어 왔으며, 대표적인 약재로 각각 탱자나무 및 광귤나무의 미성숙 과실인 지실 및 지각, 각각 광귤나무 및 귤나무의 성숙 과피인 등피 및 진피 등이 있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운향과 과실 유래 한약재들이 위장관 운동 기능에 미치는 영향을 검정하고 이 약재들 간의 효능을 비교하기 위해, 이들 한약재의 열수 및 에탄올 추출물을 제조하여 마우스에 경구 투여한 후 위 배출 속도 및 장 이송률을 측정하는 실험을 수행하였다. 본 연구는, 공통 성분을 다수 함유하는 운향과 과실 유래 한약재들 간의 위장관 운동 기능개선 효과를 in vivo 동물 실험을 통해 직접 비교한 최초의 연구 자료로서 의미를 가진다. 특히, 등피 에탄올 추출물 투여 시 위 배출 속도에는 유의적인 변화 없이 장 이송률의 유의적 및 용량 의존적 증가 양상을 보였으며, 이전 연구들을 통해 장 이송률 증가 효능이 보고된 바 있는 지실, 지각, 진피 열수 추출물 투여군들과 비교했을 때에도 수치 상으로 등피 에탄올 추출물의 장 이송률이 가장 높았다.

Furoquinoline Alkaloids in Dictamus albus Root Bark

  • Woo, Won-Sick;Kang, Sam-Sik
    • 생약학회지
    • /
    • 제16권3호
    • /
    • pp.125-128
    • /
    • 1985
  • From the root bark of Dictamus albus (Rutaceae) five furoquinoline alkaloids, robustine, dictamine, ${\gamma}-fagarine$, skimmianine and haplopine were isolated and characterized by spectral data.

  • PDF

Comparison Analysis of Antioxidant Effects from Rutaceae Fruits

  • Kim, Mee-Kyung
    • 한국컴퓨터정보학회논문지
    • /
    • 제26권11호
    • /
    • pp.157-163
    • /
    • 2021
  • 본 연구에서는 운향과 식물 과실류의 식품 및 화장품에서 항산화 소재 가능성을 확인하기 위하여 6종(유자, 자몽, 레몬, 밀감, 오렌지, 탱자)을 전과와 과피로 나누어 건조 처리한 후 에탄올로 추출하여 전자공여능과 ABTS 라디탈 소거능을 측정하여 항산화 활성 효과를 비교 분석하였다. 농도 10,000 ㎍/mL에서 항산화 효과를 비교 분석한 결과, 전자공여능은 레몬의 건조 과피 추출물(88.15%)과 유자의 건조 전과 추출물(80.44%)이 높았으며, ABTS 라디칼 소거능은 레몬의 과피(94.85%)와 건조 과피(92.83%)에 높게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6종의 운향과 과실류 중에서 레몬이 가장 높은 항산화 효과를 나타내었으며, 특히 건조된 과피 추출물에서 유의적인 효과가 있는 것으로 확인됨에 따라 식품 및 화장품에서 천연 항산화 소재로서의 활용 가능성이 있음을 확인하였다.

Investigation of Antimicrobial Activity of Rutaceae Fruit Ethanol Extracts Against Microorganisms-induced Skin Inflammation

  • Kim, Mee-Kyung
    • 한국컴퓨터정보학회논문지
    • /
    • 제26권12호
    • /
    • pp.237-245
    • /
    • 2021
  • 피부 염증 개선용 화장품 천연소재를 탐색하고자 피부 염증 유발 미생물 6종에 운향과 과실류 에탄올 추출물을 농도별로 처리하여 항균력을 비교 조사하였다. 운향과 과실류는 전과와 과피로 나누어 70% 에탄올로 추출하여 파우더 형태로 만들어 사용하였다. 그 결과 Staphylococcus aureus 균주를 제외한 5종의 균주에서는 항균활성을 확인할 수 있었고, 특히, Staphylococcus epidermidis 균주에 대한 항균활성이 생 레몬 전과에서 가장 우수하였다. Escherichia coli 균주에서는 생 레몬 전과와 생 탱자 과피에서만, Propionibacterium acnes 균주에서는 건조 레몬 전과에서만 항균활성이 확인되었다. Pityrosporum ovale 균주에 대한 항균활성은 생과의 경우 유자 전과, 레몬 전과, 밀감 껍질 순으로 항균활성을 확인할 수 있었고 건과 중에서는 오렌지 껍질, 탱자 껍질, 밀감 껍질, 레몬 껍질 순으로 항균활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본 연구의 결과 운향과 과실류 중에서 피부 염증 유발과 관련된 피부 상재균에 대해 전반적으로 높은 항균활성을 나타낸 것으로 확인된 레몬이 피부 염증 개선용 화장품 천연소재로서 사용 가능성이 높을 것으로 사료된다.

Cyclooxygenase-2 Inhibitor from Evodia rutaecarpa

  • Kang, Sam-Sik;Kim, Ju-Sun;Son, Kun-Ho;Kim, Hyun-Pyo;Chang, Hyeun-Wook
    • Natural Product Sciences
    • /
    • 제5권2호
    • /
    • pp.65-69
    • /
    • 1999
  • By bioassay guided fractionation followed by chromatographic separation of the MeOH extract from the fruit of Evodia rutaecarpa (Juss.) Benth. (Rutaceae), a new cyclooxygenase-2 inhibitor was isolated and identified as an alkaloid, rutaecarpine. Other alkaloids such as evodiamine and dehydroevodiamine together with limonoids were also isolated and characterized.

  • PDF

한국산(韓國産) 운향과(芸香科)의 계통분류학적(系統分類學的) 연구(硏究)(I) - 엽맥(葉脈)과 기공형태(氣孔形態)를 중심(中心)으로 - (A Systematic Study of Korean Rutaceae(I) - Mainly Treated with Venation and Stomatal Type -)

  • 이정환;김삼식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82권3호
    • /
    • pp.260-270
    • /
    • 1993
  • 본(本) 연구(硏究)는 운향과(芸香科) 식물 8속(屬) 15종류(種類)의 엽맥상(葉脈相)과 기공의 형태를 중심으로 종(種) 및 속(屬) 간(間)의 유연(類緣) 관계(關係)를 구명(究明)하였던 바 그 결과를 요약(要約)하면 다음과 같다. 운향과(芸香科)의 엽맥형태는 환주맥(環走脈)과 반연주맥(半緣走脈) 및 방사상곡주맥(放射狀曲走脈) 등(等) 3개유형(個類型)으로 구분되었고, 초피나무 아과(亞科)에 포함되던 쥐나무속(屬)이 황벽나무속(屬)과 같은 방사상(放射狀) 곡주맥(曲走脈)을 갖는것이 특징(特徵)이었다. 엽맥상(葉脈相)에 의한 진화(進化)는 환주맥(環走脈)의 감귤아과(亞科)에서 반연주맥(半緣走脈)의 초피나무아과(亞科)를 거쳐 황벽나무와 쥐나무의 방사상(放射狀) 곡주맥(曲走脈)으로 진화(進化)한것으로 나타났다. 운향과(芸香科)의 기공형태(氣孔形態)는 불규칙형(不規則形)(Anomocytic type)과 고리형 (Actinocytic type) 으로 나누어 지고, 표피세포(表皮細胞)의 모양도 파상형(波狀形)과 장방형(長方形) 및 중간형(中間形)으로 구분되었으며, 기공((氣孔)의 크기와 밀도간(密度間)에는 1% 수준(水準)에서 부(負)의 상관(相關)이 인정(認定)되었다.

  • PDF

황백나무로부터 생리활성물질인 alkaloids 화합물의 분리 및 탐색 (Alkaloids from the Stem Bark of Phellodendron amurense Rupr)

  • 이진환;이병원;강남숙;문여황;양민석;박기훈
    • 생명과학회지
    • /
    • 제15권3호
    • /
    • pp.423-426
    • /
    • 2005
  • 운향과(Rutaceae)인 황백나무(Phellodendron nmurense Rupr.)의 줄기 점 질에서 2종의 isoquinoline 화합물과 1종의 quinolone 화합물을 분리하였다. Isoquinoline 화합물은 thalifoline (2)과 칼슘 방출을 저해하여 혈압조절에 관여하는 berberine (3)으로 구조동정 되었다. 또한 quinolone 화합물은 N-methylatanine (1)로 구조동정 되었다. 이들의 화합물 중에서 N-methylatanine (1)과 thalifoline (2)는 황백나무에서 처음으로 분리하였다.

Analysis of Aroma Components from Zanthoxylum

  • Chang, Kyung-Mi;Kim, Gun-Hee
    • Food Science and Biotechnology
    • /
    • 제17권3호
    • /
    • pp.669-674
    • /
    • 2008
  • Zanthoxylum schinifolium and Zanthoxylum piperitum A.P. DC. belong to the Rutaceae family and are perennial, aromatic, and medicinal herbaceous plants. In this study, their aroma compounds were isolated by steam distillation extraction using a Clevenger-type apparatus, and then further analyzed by gas chromatography (GC) and gas chromatograph/mass spectrometry (GC/MS). The yields of the essential oils from Z. schinifolium and Z. piperitum AP. DC. were 2.5 and 2.0%(w/w), respectively, and the color of their oils was quite similar, a pale yellow. From the distilled oil of Z. schinifolium, 60 volatile compounds which make up 87.24% of the total composition were tentatively identified, with monoterpenes predominating. $\beta$-Phellandrene (22.54%), citronellal (16.48%), and geranyl acetate (11.39%) were the predominantly abundant components of Z. schinifolium. In the essential oil of Z. piperitum AP. DC., 60 volatile flavor components constituted 94.78% of the total peak area were tentatively characterized. Limonene (18.04%), geranyl acetate (15.33%), and cryptone (8.52%) were the major volatile flavor compounds of Z. piperitum A.P. DC.

지실(枳實)의 기원에 대한 문헌적 고찰 (Bibliographical study on the source of Jisil)

  • 김인락
    • 대한본초학회지
    • /
    • 제20권4호
    • /
    • pp.113-119
    • /
    • 2005
  • Objectives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termine new source of Jisil(枳實). Methods : Find out the source of Jisil in the history of herbal medicine. Results : 1. The source of jisil(枳實) is known as the immature fruit of Poncirus trifoliata Rafinesqul(Rutaceae) in the Korean Pharmacopoeia Eight Edition, the dried young fruit of Citrus aurantium L. and its cultivars or Citrus sinensis Osbeck(Fam. Rutaceae) in Pharmacopeia of the people's republic of china(English edition 2000). 2. Until Song dynasty, Jisil is the pericarp of the ripe fruit of Poncirus trifoliata 3. From Myeong dynasty the source of jisil(枳實) turn to the immature fruit of C. wilsonii, C. junos, C. aurantiun var. amara Conclusions : The source of Jisil(枳實) is the ripe fruit of Poncirus trifoliata.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