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산(韓國産) 운향과(芸香科)의 계통분류학적(系統分類學的) 연구(硏究)(I) - 엽맥(葉脈)과 기공형태(氣孔形態)를 중심(中心)으로 -

A Systematic Study of Korean Rutaceae(I) - Mainly Treated with Venation and Stomatal Type -

  • Lee, Jeong Hwan (Department of Forestry, Gyeongsang National University) ;
  • Kim, Sam Sik (Department of Forestry, Gyeongsang National University)
  • 투고 : 1993.04.29
  • 발행 : 1993.09.30

초록

본(本) 연구(硏究)는 운향과(芸香科) 식물 8속(屬) 15종류(種類)의 엽맥상(葉脈相)과 기공의 형태를 중심으로 종(種) 및 속(屬) 간(間)의 유연(類緣) 관계(關係)를 구명(究明)하였던 바 그 결과를 요약(要約)하면 다음과 같다. 운향과(芸香科)의 엽맥형태는 환주맥(環走脈)과 반연주맥(半緣走脈) 및 방사상곡주맥(放射狀曲走脈) 등(等) 3개유형(個類型)으로 구분되었고, 초피나무 아과(亞科)에 포함되던 쥐나무속(屬)이 황벽나무속(屬)과 같은 방사상(放射狀) 곡주맥(曲走脈)을 갖는것이 특징(特徵)이었다. 엽맥상(葉脈相)에 의한 진화(進化)는 환주맥(環走脈)의 감귤아과(亞科)에서 반연주맥(半緣走脈)의 초피나무아과(亞科)를 거쳐 황벽나무와 쥐나무의 방사상(放射狀) 곡주맥(曲走脈)으로 진화(進化)한것으로 나타났다. 운향과(芸香科)의 기공형태(氣孔形態)는 불규칙형(不規則形)(Anomocytic type)과 고리형 (Actinocytic type) 으로 나누어 지고, 표피세포(表皮細胞)의 모양도 파상형(波狀形)과 장방형(長方形) 및 중간형(中間形)으로 구분되었으며, 기공((氣孔)의 크기와 밀도간(密度間)에는 1% 수준(水準)에서 부(負)의 상관(相關)이 인정(認定)되었다.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clarifyed a taxonomical relationships of Rutaceae on the subfamily, genus and species level in Korea using venation pattern and stomata types. The results are summarized as follows : The leaf venation of the Rutaceae has revealed three major venation types. Semicraspedodromous, Brochidodromous and Cladodromous. The leaf ufmations type of the genus Evodia and Phellodendron were similar to Cladodromous type. They showed gradual evolution from brochidodromous type of Aurantioideae to cladodromous type of Toddaloideae. The stomata ypes were reconized Anomocytic and Actinocytic type, and epidermal cells were Ansio. Polygonal and Medium type. In the correlation analysis, there were highly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frequency and length (r=-0.822), frequency and width (r=-0.780), and length and width(r=0.909) at 1% level.

키워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