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Rubus coreanus Miquel

검색결과 111건 처리시간 0.043초

복분자딸기(Rubus coreanus Miquel)의 항암 및 항염 효과 (Review on Anti-Cancer and Anti-Imflammatory Activity from Rubus coreanus Miquel)

  • 송유나;이헌옥;노건민;최정숙;김행란;엄애선
    • 한국조리학회지
    • /
    • 제21권5호
    • /
    • pp.160-170
    • /
    • 2015
  • 최근 암에 의한 사망률이 증가하고, 암 치료를 위한 화학적 항암제의 부작용이 지속적으로 대두됨에 따라 암 예방뿐 아니라, 항암제의 부작용을 감소시키면서 효과는 유지시킬 수 있는 방법이 필요하다. 이를 위해 최근 천연물과 항암제의 병용투여법이 주목 받고 있으며, 보다 안전하고 효과적인 천연물질의 개발이 요구된다. 최근 복분자딸기의 항산화, 항암, 항염 등 다양한 생리활성이 부각되면서 소비가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또한 이러한 생리활성을 활용하여 식품, 주류, 화장품과 의약품과 같은 분야에서 복분자딸기를 이용한 다양한 상품이 개발되고 있다. 따라서 이 고찰은 복분자딸기의 항암 및 항염증 효능에 대한 연구결과와 복분자딸기의 특허동향을 정리하였다. 향후 복분자 딸기의 열매뿐 아니라, 줄기, 잎 등 다양한 부위를 활용한 천연유래 기능성 소재 개발 및 복분자딸기의 다양한 응용가능성을 모색하기 위한 더 많은 연구가 이루어져야 할 것으로 여겨진다.

복분자 미숙과 및 성숙과가 생쥐의 복강 Macrophages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Unripened fruits and Ripened fruits of Rubus coreanus Miquel on Murine Peritoneal Macrophages)

  • 이택열;김대근;소준노;권진;송정모;은재순
    • 동의생리병리학회지
    • /
    • 제17권4호
    • /
    • pp.991-995
    • /
    • 2003
  •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unripened fruits and ripened fruits of Rubus coreanus Miquel on murine peritoneal macrophages. The 70% ethyl alcohol extracts (20 or 100 mg/kg) of unripened fruits (RCE-I) and of ripened fruits (RCE-II) were administered p.o. once a day for 7 days to mice. RCE-I and RCE-II decreased the phagocytic activity of murine peritoneal macrophages and the production of nitric oxide. Also, RCE-I and RCE-II increased the production of tumor necrosis factor- a from peritoneal macrophages. In general, the immuno-suppressive action of RCE-I on macrophages was more potent than those of RCE-II. These results suggest that the fruits of Rubus coreanus Miquel regulates the non-specific immune response via decrease of phagocytic activity and increase of production of tumor necrosis factor- a from murine peritoneal macrophages.

냉동 저장 중 복분자딸기(Rubus coreanus Miq.)의 품질 변화 (Quality changes in Rubus coreanus Miquel during Frozen Storage)

  • 윤예리;권기현;김병삼;노봉수;차환수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16권5호
    • /
    • pp.618-622
    • /
    • 2009
  • 완숙 복분자딸기(Rubus coreanus Miq.) 과실부의 냉동저장 중 품질 특성의 변화를 조사하였다. 저장 초기에 비하여 과실을 저장 할수록 산도는 감소하였고, 가용성고형분은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색상의 경우 저장 초기에는 L, a값이 35.63, 6.74 value로 전체적으로 밝은 붉은 빛을 가졌지만, 냉동 저장되어지면서 28.56, 4.13 value로 유의적으로 감소되어짐에 따라 점차 어두워지고 붉은 빛은 감소하였다. 비타민 C(30.79 mg/100 g)와 엘라그산($155.12\;{\mu}g/100\;mg$) 함량은 저장 초기에 가장 높았으며, 저장 시간이 지날수록 이들의 함량은 감소되었다.

복분자 딸기의 생리활성 (Physiological Activities of Rubus coreanus Miquel)

  • 차환수;박민선;박기문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3권4호
    • /
    • pp.409-415
    • /
    • 2001
  • 복분자딸기 열매의 미숙과와 완숙과 그리고 잎을 사용하여 추출방법에 따른 생리활성을 측정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즉, 총 폴리페놀 함량은 추출용매에 의한 차이는 보이지 않았고 전체적으로 복분자딸기의 잎에서 높은 총 폴리페놀 함량을 나타내었으며, 특히 75% 아세톤으로 추출한 경우 잎에서 건물기준으로 100 g당 11.38 g으로 가장 높은 값을 나타내었다. 복분자딸기의 전자공여능은 추출 용매에 따른 차이는 보이지 않았으며, 전체적으로 미숙과가 완숙과나 잎에 비하여 90%이상의 높은 전자공여능을 나타내었다. 복분자딸기의 아질산염 소거능을 pH 1.2, 4.2, 6.0의 조건으로 조사한 결과 pH 1.2일 때 가장 높은 아질산염 소거율을 나타내었다. pH 1.2의 조건에서 미숙과의 아질산염 소거율은 80% 메탄올 추출물이 63.24%, 75% 아세톤 추출물은 60.56%로 완숙과나 잎에 비하여 높은 값을 나타내었고, 열수 추출물에서는 잎이 49.83%로 미숙과와 잎에 비하여 높은 아질산염 소거율을 나타내었다. 복분자딸기의 SOD유사활성은 완숙과가 미숙과나 잎에 비하여 모든 추출조건에서 높은 SOD유사활성을 나타내었다. 복분자딸기 추출물의 항균활성을 조사하기 위하여 E. coli, S. typhimurium, B. cereus, S. aureus를 시험균주로 하여 agar diffusion test를 실시한 결과 모든 추출물이 B. cereus에서만 높은 항균활성을 나타내었다.

  • PDF

복분자를 첨가한 초콜릿의 최적 배합비 (Quality Characteristics and the Optimization Recipes of Chocolate Added with Bokbunja (Rubus coreanus Miquel))

  • 유옥경;김민아;노정옥;손희숙;차연수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6권9호
    • /
    • pp.1193-1197
    • /
    • 2007
  • 복분자 진액, 분말, 향(농축액)의 첨가량을 달리하여 최적의 복분자초콜릿을 개발하고자 하였다. 복분자초콜릿의 당도는 복분자 진액 함량이 감소할수록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을 뿐 시료간의 유의적인 차이는 없었다. 경도는 복분자 진액 30 g, 분말 10 g, 향 0.3 g을 첨가한 시료 C가 가장 높았고 복분자 진액 60 g, 향 0.3 g 첨가한 시료 A가 가장 낮은 경도를 보여 복분자 진액 첨가함량이 낮을수록, 복분자 분말 첨가함량이 높을수록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냈다. 색도는 복분자 진액 첨가량이 증가하고 복분자 분말 양이 감소할수록 명도가 증가하는 반면, 복분자 분말 함량이 증가할수록 적색도와 황색도가 증가하는 경향을 보이면서 진한 보랏빛으로 변하였다. 관능평가 결과 복분자 진액 30 g, 복분자 분말 5 g, 복분자 향 0.3 g을 첨가하여 제조한 시료 D가 종합적 기호도에서 가장 높은 점수를 나타냈고$(3.87{\pm}0.99)$, 향 관능평가에서는 복분자 농축액(향) 함유비율이 높은 시료 D가 유의적으로 높은 점수를 보였다. 또한 색도의 경우 시료 D가 복분자 고유의 색이 잘 나타나 가장 높은 점수를 나타냈고 적색도가 낮고 명도가 높은 연보라색의 시료 A(복분자 진액 60 g, 분말 무첨가)가 유의적으로 낮은 선호도를 보였다. 경도에서는 수분함량이 높고, 낮은 경도를 보이는 시료 A의 선호도가 높았다. 이상과 같이 분석결과를 종합하여 보면 다크초콜릿 530 g, 화이트초콜릿 300 g, 휘핑크림 130 g, 카카오버터 40 g, 복분자 진액 30 g, 복분자 분말 5 g, 복분자 향 0.3 g을 첨가한 시료 D가 복분자 고유의 향미와 색, 부드러운 질감을 느낄 수 있어 복분자초콜릿의 최적 레시피로써 적합하다고 사료된다.

성숙단계별 복분자딸기의 이화학적 특성 (Physicochemical Characteristics of Rubus coreanus Miquel during Maturation)

  • 윤예리;박필재;최혜란;김병삼;차환수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9권4호
    • /
    • pp.476-479
    • /
    • 2007
  • 복분자딸기(Rubus coreanus Miq.) 과실부의 성숙시기(미숙과, 중간숙과, 완숙과)에 따른 이화학적 특성을 조사하였다. 수분함량은 복분자딸기가 완숙과가 되었을 때 100g당 81.4g으로 가장 크게 증가하였으며, 단백질${\cdot}$회분${\cdot}$식이섬유는 미숙과일때가 중간숙과와 완숙과에 비하여 약간 높은 함량을 나타내었다. 과실이 성숙 할수록 당도와 유리당 함량은 증가하였으며, 산도는 중간숙과 일 때 3.38%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복분자딸기 미숙과, 중간숙과, 완숙과에서는 17종의 아미노산이 분리되었으며, 이 중 aspartic acid의 함량이 가장 높았으며 각각 546.55, 383.56, 375.08 mg% 함유되어 있었다. 총 아미노산 함량의 경우도 과실이 성숙될수록 아미노산 함량이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무기질 함량은 과실의 성숙도와 관계없이 전체적으로 칼륨의 함량이 가장 높았으며, 그 외 Ca > Mg > P > Na > Fe 순으로 함유되어 있다. 또한 총 무기질 함량은 미숙과가 중간숙과나 완숙과에 비하여 높은 값을 나타내었다.

복분자 열매(Rubus coreanus Miquel)의 항산화 활성 및 생리활성물질 (Antioxidant Activity and Effective Compounds of Black Raspberry (Rubus coreanus Miquel) Extracted by Different Solvents)

  • 진동혁;성종환;이영근;김동섭;정헌식;김한수
    •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지
    • /
    • 제33권3호
    • /
    • pp.474-482
    • /
    • 2016
  • The black raspberry (Rubus coreanus Miquel) contains anthocyanin, tannins, gallotannin, gallic acid, ferulic acid and phenolics. It brightens the eyes and protects the liver and kidneys. It was effective for anti-aging. Thu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form the excellence of black raspberry and to screen antioxidant activity to ensure the possibility as a functional material. In this study, bioactive compounds in black raspberry were determined. Additionally, black raspberry was extracted by CM (chloroform:methanol, 2:1, v/v), 70% methanol and 70% ethanol, and were investigated and compared in vitro methods. Total phenol and flavonoid contents were measured to compare each different solvents. In addition, DPPH radical scavenging activity and ABTS radical scavenging activity, ferric reducing antioxidant power, reducing power were determined to measure the antioxidant activity. The results were the highest in 70% ethanol extracts, and the higher the concentration showed a significantly higher antioxidant capacity. When observe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study, antioxidant activity of black raspberry was supposed to affect by the anthocyanin, phenol and flavonoid contents.

Novel Anti-Angiogenic Activity in Rubus coreanus Miquel Water Extract Suppresses VEGF-Induced Angiogenesis

  • Kim, Eok-Cheon;Kim, Hye Jin;Kim, Tack-Joong
    • 대한의생명과학회지
    • /
    • 제20권4호
    • /
    • pp.209-220
    • /
    • 2014
  • Vascular endothelial growth factor (VEGF) is a key factor involved in the induction of angiogenesis and has become an attractive target for anti-angiogenesis therapie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lucidate the anti-angiogenic activity of Rubus coreanus Miquel water extract (RCME). Rubus coreanus Miquel has long been employed as a traditional medicine, and recent studies have demonstrated that it has measureable biological activities. Thus, we investigated for the first time the effect of RCME on angiogenesis and its underlying signaling pathways. The effects of RCME were tested on in vitro models of angiogenesis, namely, proliferation, migration, invasion and tube formation of human umbilical vein endothelial cells as well as an ex vivo model of vessel sprouting from the rat aorta in response to VEGF. We observed that VEGF-induced angiogenesis was strongly suppressed by RCME treatment compared to that of the control group. Moreover, we found that RCME inhibited VEGF-induced activation of matrix metalloproteinases and phosphorylation of extracellular signal-regulated kinase and p38, and also effectively inhibited phosphorylation of VEGF receptor 2. These results indicated that RCME inhibits angiogenesis by suppressing phosphorylation of the VEGF receptor and may be useful for the treatment of angiogenesis-dependent diseases such as cancer and diabetic retinopathy.

복분자 에탄올 추출물의 항산화 및 항용혈 효능 (Antioxidant and Antihemolytic Activity of Ethanol Extracts of Rubus coreanus Miquel)

  • 장태수;양재찬;임선영;김보애
    •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지
    • /
    • 제31권1호
    • /
    • pp.130-135
    • /
    • 2014
  • 천연에서 유래한 항산화 및 항용혈 소재개발을 위해 복분자 에탄올 추출물의 생리활성 효능 평가를 실시하였다. 복분자를 에탄올 추출한 후, 획득한 추출물을 섬유아세포주인 HS68에 처리하여 DPPH 라디칼 소거능과 SOD 유사 항산화 효능을 평가하였다. 또한 Sprague Dawley 렛트 적혈구 세포에 과산화수소로 산화를 유도한 후 추출물의 항용혈 효능을 살펴보았다. 그 결과 추출물은 농도 의존적으로 DPPH 라디칼 소거능과 SOD 유사 활성이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렛트 적혈구를 이용한 항용혈 평가에서는 과산화수소를 단독으로 처리한 양성대조군보다 추출물을 처리한 군에서 항용혈율이 농도 의존적으로 유의하게 증가하였다. 이들 결과는 복분자 추출물이 항산화효능과 항용혈 약용 식물 소재로서의 가능성을 내는 것으로 사료된다.

복분자 딸기 추출물의 효능에 관한 연구 (The Study on the Effect of Rubus coreanus Miquel Extract as a Comsetic Ingredient)

  • 박창민;정민석;양다운;최종완
    • 대한화장품학회지
    • /
    • 제33권1호
    • /
    • pp.41-45
    • /
    • 2007
  • 통상적으로 식물의 열매, 잎, 뿌리 등의 추출물이 가지는 다양한 효능이 밝혀짐에 따라 점차 천연소재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본 연구에서는 복분자 딸기로부터 얻은 4종(미숙과, 완숙과, 잎/줄기, 뿌리의 에탄을 추출물)의 각기 다른 추출물에 대한 항산화, 미백, 항주름 효과를 비교하였다. 복분자 딸기의 항산화 및 항염 효과에 대한 몇몇의 보고가 있지만 효능에 대한 연구는 충분하지 않다. 따라서 복분자 추출물의 화장품적 효능 효과를 비교한 결과, 미백효과 및 주름개선효과에 있어, 미숙과부위의 추출물이 다른 부위의 추출물에 비하여 효과가 높은 것으로 관찰되었다. 이 결과를 바탕으로 복분자 딸기의 미숙과는 완숙과나 잎/줄기, 뿌리보다 화장품 원료로 더 높은 응용 가능성을 가지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